한계기업 비중 추이 한계기업’들에 대한 구조조정이 제때 이뤄졌다면 전체 제조업 노동생산성이 1% 이상 상승했을 것이라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수년간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들이 시장에 계속 머물면서 정상기업으로의 인적·물적 자원 이동을 제약하는 등 노동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송상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이 발표한 ‘2010∼2018년 한계기업이 우리나라 제조업(7만6753개 기업 대상) 노동생산성에 미친 영향’ 보고서를 보면 한계기업 비중은 2010년 7.4%에서 2018년 9.5%로 2.1%포인트 늘었다. 보고서는 한계기업을 3년 이상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면서(이자보상배율 1 미만) 업력이 10년 이상인 기업으로 정의했다. 이 중 이자보상배율 1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