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3 글 목록 (16 Page)

2018/03 179

치매국가책임제 주요 내용

치매국가책임제 주요 내용 정부는 올해를 ‘치매국가책임제’ 원년으로 삼고 다양한 치매 관련 사업을 벌이고 있다. 그동안 가족이 떠안아 온 치매노인의 부양 부담을 국가가 나누겠다는 취지다. 전국에 치매안심센터를 252개로 확충해 치매상담과 검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치매안심형 요양시설 등 인프라를 늘리겠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경증 치매환자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을 확대하고, 중증 치매환자의 경우에는 자기부담금을 경감한다는 계획도 포함돼 있다. 치매를 국가 주요 현안으로 보고 적극적 정책 시행에 나섰다는 점에서 기대가 모아지지만, 서비스 질보다는 양적 공급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우려와 치매환자를 인간적으로 돌보는 방식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시된다. ■관련기사 [우리는 충분히 ‘돌봄’ 받고 있..

리오넬 메시 600호 골 기록

리오넬 메시 통산 600호 골 기록 무려 600골이다. 1년에 30골을 몰아쳐도 20년이 걸리는 시간. 그는 13년 만에 해냈다.리오넬 메시(31·바르셀로나)가 5일 홈구장 캄프누에서 개인 통산 600호골의 금자탑을 쌓아올렸다. 메시는 이날 2017~2018 스페인 프리메라리가 27라운드 홈경기에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상대로 전반 26분 프리킥으로 결승골을 터트렸다. 2005년 5월2일 ‘외계인’ 호나우지뉴의 어시스트로 프로 첫 골을 터뜨린 메시는 13년 만에 600골 고지에 올랐다. 2004년 바르셀로나에서 프로에 데뷔해 원클럽맨으로 뛰고 있는 메시는 리그와 챔피언스리그 등 각종 무대에서 539골(624경기)을 기록했다. 아르헨티나 대표팀에서 61골(123경기)까지 더해 대망의 기록을 만들었다. ■관..

흔들리는 트럼프 정부

흔들리는 트럼프 정부 트럼프 대통령과 참모들 간의 공개적인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절대 충성을 바라는 트럼프 대통령과 바른 소리를 하겠다는 참모들이 충돌하면서 ‘콩가루 정부’를 연출하고 있는 것이다. 당장 개리 콘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수입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에 반대하며 사퇴할 수 있다며 배수진을 쳤다고 한다.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3월 사퇴설’이 돌고 있다. 그는 지난달 17일 뮌헨안보회의에서 러시아의 대선 개입은 “논란의 여지가 없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곧바로 트위터에서 “선거 결과가 러시아에 의해 영향받거나 바뀌지 않았다는 말을 잊었다”고 비판하면서 긴장관계가 표면화됐다. ■관련기사 트럼프 집권 2년 ‘혼돈 그 자체’

중국 국방예산·경제성장률 추이

중국 국방예산·경제성장률 증가 추이 중국은 지난해에는 초안에 국방 예산 증가율과 총액을 밝히지 않았다. 당초 예상치(7%)를 훌쩍 넘는 증가율은 시 주석이 지난해 10월 제19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 개막 보고에서 30년 안에 세계 일류 군대를 건설하라는 목표를 제시한 것과 무관치 않다. ■관련기사 미국 들으라는 듯…중국 “강군 건설·자유무역 수호해야”

평창 동계패럴림픽 알쓸신잡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알쓸신잡 오는 9일 개막하는 평창 동계패럴림픽은 올림픽과는 종목은 물론 경기 진행 방식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번 패럴림픽 정식 종목은 새로 도입된 스노보드를 비롯해 아이스하키, 휠체어 컬링, 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스키, 바이애슬론 등 6개다. 종목은 거의 비슷하지만 세부적으로 다른 점이 많다. ■관련기사 [평창 동계패럴림픽]“영미~” 없어도 감동 이어갈 휠체어 컬링 온다

세계 조선업계 수주량 순위

세계 조선업계 수주량 순위 미포조선·삼호중공업까지 더한 현대중공업그룹은 747만5000CGT(표준화물선 환산톤), 211척 수주잔량을 보유해 세계 1위는 지켰지만, 전달(218척)보다 12만CGT 감소했다. 2위를 자랑하던 대우조선해양은 일본 이마바리조선에 밀린 3위로, 한때 3위였던 삼성중공업은 7위까지 떨어졌다. ■관련기사 한국 ‘조선 빅3’ LNG선 잇단 수주…다시 ‘봄날’ 올까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비교, 노인장기요양보험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비교, 노인장기요양보험 우리나라 치매환자들은 대부분 치매를 진단받은 후 가정과 재가방문서비스, 주간보호시설, 병원, 요양시설을 반복적으로 이용하다 사망에 이른다. 서비스와 시설 면에서 치매환자에게 알맞은 돌봄을 제공하는 요양시설이 많지 않을뿐더러 적지 않은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것은 치매 돌봄가족들이 필연적으로 겪게 되는 어려움이다. 권용진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장(임상부교수)은 “전반적으로 치매전문 요양시설이 부족하고, 특히 신체기능이 비교적 건강한 중증치매 환자들이 갈 곳이 없다”고 지적한다. ■관련기사 [우리는 충분히 ‘돌봄’ 받고 있는가] (1) 노인 치매 환자들, 갈 곳이 없다 - ‘간병 실직’ 넘치는데…국공립 시설은 대기 순번 1000번대

미국발 글로벌 무역전쟁

미국발 글로벌 무역전쟁 미국이 촉발시킨 무역전쟁으로 전 세계 곳곳에서 전운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 우선주의’를 전면에 내세웠지만 정작 미국 내에서도 비판하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취임 직후부터 중국을 겨냥한 대응 조치에 나섰다. 중국이 세계 무대에서 영향력을 키워가는 것을 견제하겠다는 것이다. 중국의 지식재산권 침해 여부를 조사하고, 지난 1월 세탁기·태양광 패널에 대한 세이프가드 발동, 지난달 중국산 알루미늄 포일에 최고 106% 반덤핑 관세 부과 등 압박 조치를 가해왔다. ■관련기사 [미국발 무역전쟁]안에서 말리고, 밖에서 반발해도…‘독불장군 트럼프’ 강공

미투 주요 일지

대학가·스쿨 미투 주요 일지 교사가 학생을 상대로 한 ‘스쿨미투’도 연이어 나오고 있다. 학생들은 교내에 대자보를 붙이거나 SNS를 이용해 교사들의 비위를 폭로했다. 여전히 ‘나는 고발한다’는 2018년을 넘어 2019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표지 이야기]미투, 사회 곳곳에서 터지다 국제 미투 주요 일지 미투를 강하게 만든 것은 결국 여성들의 연대였다. 지난해 11월에는 여성 농장 노동자 70만명이 성폭력과 싸우는 할리우드의 여성과 남성에게 공개적인 지지 서한을 보냈다. 서한을 받은 할리우드도 이에 화답했다. 미투 운동은 성폭력 피해가 나만의 문제가 아님을 드러내고, 수치심을 극복하게 하며, 서로 다른 배경의 피해자들을 하나로 묶어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관련기사 [미투]'연대의 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