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철강·알루미늄 관세 유예 미국 국가별 철강·알루미늄 관세 유예 사유 미국은 이들 나라가 자국에 양보할 수 있는 경제적 이익을 저울질해 최종 면제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특히 한·미 FTA 개정협상 중인 한국은 NAFTA 재협상으로 유사한 처지에 놓인 캐나다나 멕시코와 직접적 비교 대상이 되고 있다. ■관련기사 미 “철강관세 일시 유예” 하루 만에 FTA 압박…고민 깊어진 정부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3.26
국내 건조기 시장 규모 국내 건조기 시장 규모 삼성·LG전자 외에 다른 전자 업체들도 잇따라 건조기 시장에 뛰어들면서 시장 규모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국내 건조기 시장은 100만대 규모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전기료 줄이고 용량 늘려’ 건조기 시장 폭풍 성장세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3.26
한국의 수출·수입 비중 세계경제에서 중국과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 한국의 수출.수입 국가별 비중 한국은 국내총생산(GDP)의 무역 의존도가 68.8%에 달한다. 중국과 미국이 세계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2.5%이다. 한국은 수출의 36.8%, 수입의 29.9%가 중국과 미국을 상대로 이뤄진다. 세계 평균보다 미·중 의존도가 높다. ■관련기사 ‘고래싸움에 새우 신세’…미·중 통상마찰에 한국 경제 ‘찬바람’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3.26
화훼산업 추이 화훼산업 추이 국세청의 생활밀착업종 사업자 등록 현황을 보면 전국의 꽃가게는 지난 5년간 꾸준히 늘어 2017년 12월 기준 2만611개로 2013년 1만8995개에서 약 8.5% 증가했다. 김영란법이 시행된 2016년(2만393개) 전후와 비교하더라도 1% 늘었다. 같은 기간 국내 꽃 판매액과 재배농가 수, 재배면적이 일제히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다. ■관련기사 꽃, 향기롭게 소비하는 법… 꼭, 선물만 있는 게 아냐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3.26
이명박 전 대통령 독거실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제공되는 독거실 독방에는 TV, 거울, 침구류(이불, 매트리스), 식탁 겸 책상, 사물함, 싱크대, 청소용품 등이 비치돼 있다. 이 전 대통령은 이곳에서 수의 상의 왼쪽 가슴에 적힌 수인 번호 ‘716번’으로 불리게 된다. ■관련기사 [이명박 구속 수감] ‘716번’ 이명박…아들·딸은 면회 왔다 영치금만 넣고 갔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3.26
미.중이 예고한 관세 부과 내역 미.중이 예고한 관세 부과 내역 중국도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지지기반인 미국 농업계를 겨냥해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방식의 대응에 나섰다. 상무부는 23일 30억달러(약 3조2400억원)에 이르는 보복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일, 견과, 와인 등에 15%, 미국산 돈육과 폐알루미늄 등에 25% 관세를 단계적으로 부과하는 방안이다. ■관련기사 [미·중 무역전쟁]미, 시진핑 역점 IT 정조준…중, 트럼프 지지기반 농업 겨냥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3.26
청소년 게임이용 비율 청소년 게임이용 비율, 연도별 초등학생 게임과몰입군 비율 게임산업진흥법의 경우 게임과몰입의 개념과 이에 대한 예방 등의 규정이 있어도 산업을 진흥하는 데 보다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보니 예방 등을 위한 조치 마련이나 규제는 상당 부분 업계 자율에 맡겨둔 상태다. 청소년보호법의 경우 ‘인터넷 게임 중독’에 대한 개념이 명시돼 있지만 어디까지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다보니 법 적용에 한계가 있다. ■관련기사 게임중독, 질병으로 인정하나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