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10 글 목록

2020/03/10 6

전국 코로나19 확진자

전국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9일로 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나온 지 50일을 맞았다. 국내 유입 초기에는 확진자가 크게 증가하지 않으면서 안도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지만 ‘31번째 확진자’가 나오면서 하루 확진자가 최대 1000명에 육박하는 등 상황은 급변했다. 전 사회적인 ‘잠시 멈춤’ 운동 속에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확진자 수 증가폭은 한풀 꺾였다. 하지만 취약층 집단거주시설을 중심으로 전국 곳곳에서 소규모 집단감염이 계속 발생하고, 해외에서 확진자 수가 폭증하는 국가가 늘어나면서 역유입을 차단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관련기사 [‘코로나19’ 확산 비상]한풀 꺾인 확산세…‘소규모 집단감염·해외 역유입’ 불안 여전

월별 전국 공항 운항

월별 전국 공항 운항 현황 코로나19로 경제적 피해가 전 산업으로 퍼지고 있지만 특히 관광·여행업계가 체감하는 피해는 심각하다. 얼어붙은 소비심리로 잇따라 예약이 취소되고 있으며 수요는 거의 ‘제로’에 가깝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하나투어에 따르면 2월 해외여행객 숫자는 약 4만9000명으로 지난해 동월 대비 약 85% 줄었다. 앞서 하나투어는 1월 해외여행 수요가 18만700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49.7% 감소했다고 밝힌 바 있다. 또 한국여행업협회가 최근 여행사 100여곳을 조사한 결과, 3월부터 6월 사이 외국인 관광객 예약 77%가 취소됐다. 올 상반기 여행업계의 희망이었던 일본 여행 수요도 꺾이면서 업계의 시름은 한층 깊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코로나19’ 확산 비상]예약 취소에 여행 수..

연평균 국고채 조달금리

연평균 국고채 조달금리 및 이자 지출 저금리 기조 속에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국고채 평균 조달금리가 지난해 1% 중반대로 하락했다. 이에 국가채무가 늘어도 이자비용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재정운용을 할 수 있는 여력은 그만큼 커졌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고채 평균 조달금리는 1.7%를 기록했다. 국고채 금리는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꾸준히 낮아지고 있다. 2012년 3.2%였던 금리는 2015년에 2%대로 진입한 뒤 2016년에는 1.6%까지 낮아진 데 이어 올해 다시 1%대 중반대로 내려왔다. 이에 따라 국가채무 규모가 매년 늘어도 이자비용은 줄어들었다. 중앙정부가 발행한 국고채 잔액은 2015년 485조1000억원에서 2019년에는 611조5000억원으로..

상장사의 자사주 매입·소각

주요 상장사의 자사주 매입·소각 국내 증시가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으면서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 행렬이 잇따르고 있다. 돌발변수인 코로나19에 따라 급락한 주가를 방어해 투자자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조치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와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 등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6일까지 자사주 취득 결정을 공시한 상장사는 47곳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1곳과 비교하면 2배를 웃돈다. 자본력이 있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대규모 자사주 취득이 늘고 있다. 특히 주가가 급락한 SK 계열사들이 적극적이다. ■관련기사 주가 급락 막아라…자사주 매입 러시

국내 증권시장 추이

국내 증권시장 추이 코로나19 확산과 국제유가 급락으로 코스피지수가 1950선으로 추락했다. 8개월 전 수준으로 되돌아간 셈이다. 지수변동성을 반영하는 ‘공포지수’는 8년여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이날 하루 증시 시가총액 67조6782억원이 증발했다. 9일 시장에서 코스피는 85.45포인트(4.19%) 폭락한 1954.77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은 이날 1조3125억원어치를 팔아치워 국내 증시 사상 최대 순매도를 기록했다. 코스닥지수도 28.12포인트(4.38%) 떨어진 614.60으로 밀렸다. 이 같은 ‘검은 월요일’은 주말 미국과 유럽에서 코로나19 환자가 빠르게 늘면서 세계 경제의 수요·공급이 교란되고 경제성장이 크게 꺾일 것이라는 공포심에서 비롯됐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가 원유 감산 합의에 ..

마스크 수급 대책 내용

마스크 수급 대책 내용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지난달 말부터 정부가 내놓은 마스크 수급대책이 ‘마스크 구매 5부제’ 시행으로 일단락됐다. 그간 정부는 약국·농협·우체국을 통한 공적마스크 판매 계획을 내놓으면서 구매 가능일을 잘못 고지하고, 마스크 5부제에 따른 대리구매 대상 범위를 한정했다가 다시 확대하는 ‘오락가락’ 정책으로 혼선을 빚어왔다. 정부가 시민들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못하고 마스크 수요·공급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데 따른 결과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관련기사 마스크 사러 삼만리…‘숨 막혔던’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