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통계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72 Page)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4307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 정부의 ‘2·4 공급대책’ 발표 전, 수도권 집값이 상승할 것이란 심리가 5년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1월 부동산시장 소비자심리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달 수도권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전달(143.0)보다 1.4포인트 오른 144.4로 집계됐다. 2015년 4월(145.7) 이후 5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서울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도 1월 142.8을 기록하며 전달(141.8)보다 1포인트 더 올랐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7월 155.5까지 치솟았다 9월 129.5를 기록하며 일시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지만, 10월(131.4) 반등 이후 4개월 연속 올랐다. ■관련기사 대규모 공급 예고에도 치솟는 수도권 ..

세계 곡물가격지수

세계 곡물가격지수 국제 유가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고, 곡물가격지수가 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는 등 국제 원자재 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다. 코로나19로 시중에 풀린 유동성 효과까지 맞물려 물가 상승 압력이 빠르게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내 가공식품업계는 원가 상승 등을 이유로 연초부터 가격 인상 릴레이에 돌입했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2.1% 오른 59.47달러에 마감했다. 1년 전보다는 16.2% 올랐고 코로나19 충격으로 유가가 배럴당 10달러까지 급락했던 지난해 4월과 비교하면 6배로 급등했다.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1조9000억달러 규모의 추가 경기부양책을 추진하면서 경기회복 기대감이 ..

온라인 식품시장 거래액

온라인 식품시장 거래액 코로나19 영향으로 온라인 식품시장이 역대 최대 호황을 누리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식품의 신선도를 직접 확인하던 소비 행태가 온라인으로 무게중심을 옮기는 모습이다. ‘가치 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유기농 식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소비자도 급증했다. 15일 통계청과 식품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 식품 거래액은 43조4000억원으로, 전년(26조7000억원)보다 62.4% 늘었다. 이 가운데 음식 서비스 거래(17조4000억원) 증가율이 78.6%로 가장 높았다. 이어 농축수산물(71.4%), 음식료품(48.3%) 등의 순이었다. 거래 수단별로는 모바일쇼핑 거래액이 35조1000억원으로 70.0%, 인터넷쇼핑이 8조3000억원으로 36.5% 증가했다. 비대면 소비 확산은 고객들..

최근 1년 계란값 추이

최근 1년 계란값 추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영향으로 오르기 시작한 달걀값이 어느새 8000원을 넘보고 있다. 정부가 미국산 달걀 수입 등 특단의 공급대책을 내놨지만, AI 살처분 농가가 계속 늘면서 시장 불안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한국농식품유통공사 농축산물 가격정보를 보면 특란 30알 기준 평균 소비자가격은 설연휴 직전인 10일 7481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27일 6761원이던 달걀 가격이 하루 만에 7253원으로 뛰어오른 뒤 계속해서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앞서 특란 10개 도매가격은 지난 9일 2000원을 돌파했는데 특란 10개 도매가격이 2000원을 넘은 것은 2016∼2017년 AI ‘달걀 파동’ 이후 처음이다. 정부는 성수기인 설 전에 수입 달걀 2000만개를 수입한 ..

쿠팡 연도별 실적 추이

쿠팡 연도별 실적 추이 온라인 쇼핑몰·플랫폼 쿠팡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을 공식화하면서 이르면 다음달 뉴욕증시에 데뷔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베일에 가려 있던 쿠팡의 경영 상황도 상장 신고서 등을 통해 속속들이 공개됐다. 쿠팡이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을 위해 제출한 신청 서류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은 119억7000만달러(약 13조2500억원)로 2019년 7조1000여억원보다 91% 정도 늘었다. 적자 규모는 4억7490만달러(약 5257억원)로 2019년 7205억원보다 1500억원 정도 줄었다. 쿠팡 매출은 해마다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2013년에는 478억원에 그쳤지만 2년 만인 2015년 1조130억원으로 1조원을 돌파했고 2017년에는 2조6813억원으로 2조..

국내 기업인의 재산증가율

국내 기업인의 재산증가율 세계 부자 순위 500위 안에 드는 국내 최고 부자 6명의 재산이 최근 1년간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최소 약 27조원, 약 80%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 10일 기준 블룸버그가 집계하는 세계 500대 부자 순위에 오른 한국인 6명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51위),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177위), 넥슨 창업자인 김정주 NXC 대표(201위),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330위), 권혁빈 스마일게이트 창업자(401위),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411위)이다. 이재용 부회장 일가는 재산이 1년 전(70억달러)의 4배인 약 280억달러(약 31조원)로 늘었다. 지난해 10월 별세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재산을 상속한 것으로 간주됐다. 재벌닷컴에 따르면 이재용 부회..

2021년 1월 쉬었음 인구

2021년 1월 쉬었음 인구 지난 1월 구직 자체를 단념하고 ‘그냥 쉬었다’는 20~30대가 전년 대비 30% 넘게 증가했다. 통상 은퇴 후 휴식을 취하는 고령층이 주로 포함되는 ‘쉬었음’ 인구에 젊은층이 급증한 것이다. 1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활동 계획이 없이 ‘쉬었음’이라고 답한 사람은 총 271만5000명으로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 준비·가사·육아 등 특별한 이유 없이 말 그대로 그냥 쉰 비경제활동인구를 의미한다. 지난해 20~30대 쉬었음 인구는 전체 27.3%(74만1000명)로 전 연령층 가운데 60세 이상(42.8%)에 이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20~30대 쉬었음 인구의 증가세도 두드러졌다. 지난해 1월과 비교해 31.2%(17만6000명)..

쿼드 4개국의 중국 수출

쿼드 4개국의 중국 수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전화 통화에서 ‘쿼드’(Quad)를 통한 긴밀한 협력을 강조했다. 쿼드는 미국이 중국을 압박할 목적으로 일본·호주·인도와 결성한 인도·태평양 지역의 4개국 안보협의체다. 바이든 대통령의 쿼드를 통한 중국 압박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백악관은 8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자유로운 항행, 영토의 보전, 쿼드에 기반한 역내 세력 강화 등을 포함한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정책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또 “바이든 대통령은 민주적 가치에 대한 공동의 헌신은 양국 관계의 기반이라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각국 정상과 통화하면서 직접 쿼드를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비트코인 가격 추이

비트코인 가격 추이 코로나19 사태 대응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돈이 많이 풀리면서 화폐가치가 떨어지고, ‘테슬라 팬덤 효과’까지 더해지면서 가상통화 대표 격인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2017년 말 ‘1차 비트코인 랠리’ 이후 본격적으로 ‘2차 비트코인 상승 랠리’가 진행 중이다. 비트코인이 강세를 보이면서 가치저장 수단으로서 왕좌를 지켜온 금의 자리를 넘볼 수 있을지에 대한 의견도 분분하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변동성이 여전히 큰 데다 개인이 온전히 손실을 떠안아야 하는 만큼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9일 국내 가상통화 거래소 빗썸과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1개 가격이 한때 5000만원을 넘어섰다. 4000만원을 돌파한 지 한 달여 만이고, 지난해 말 가격이 3160만원대였던 것을 감안하면..

서울시 청년수당 규모

서울시 청년수당 규모 서울시가 청년수당과 청년월세지원 등 현금 형태로 청년을 지원하는 정책을 지난해보다 서둘러 시행한다. 특히 청년수당 조기 집행은 코로나19 장기화로 고용쇼크 등을 겪고 있는 청년들의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다만 서울시가 과거 공언했던 것보다는 두 사업 모두 지원 규모가 축소됐다. 서울시는 지난 8일 시 홈페이지와 서울청년포털 등에 ‘2021년 서울시 청년수당 사업 모집 공고’를 냈다. 만 19~34세 서울 거주 미취업자 중 최종학력 졸업 후 2년 경과자가 지원 대상이다. 시는 소득기준과 중복지원 여부 등을 검토한 후 2만명 내외를 선정해 월 50만원씩 3~6개월간 체크카드로 지급한다. 접수기간은 이달 23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이고, 4월 첫 지급이 이뤄진다. ■관련기사 서울, 코로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