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 글 목록 (3 Page)

2019/01 226

예타 면제 탈락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탈락 주요 사업 반면 전남은 ‘남해안 신성장 관광벨트 사업’이 4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되면서 실망을 감추지 못했다. “일자리 만드는 것은 없어지고 ‘토건사업’만 하게 됐다”는 평가가 나오며, 김영록 전남지사는 “다소 부족하지만 만족한다”는 논평을 내놨다. 지역균형이라는 기준에 따라 원칙적으로 제외된 수도권 일부 지역은 반발이 거세다. ■관련기사 [24조 예타 면제 논란] 충북·전북 등 환영…일부 수도권 지자체들 “역차별” 반발

중국 AI 스피커 판매량

중국 AI 스피커 판매량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가 공개한 세계 AI 스피커 시장 점유율(판매량 기준)을 보면 2018년 1분기 20%였던 중국 시장 규모는 그해 3분기 29.4%로 증가해 2위로 올라섰다. 같은 기간 45.6%에서 42.1%로 점유율이 하락한 1위 미국과 대조된다. 중국 중상산업연구원은 “중국 AI 스피커 시장이 2017년 2억위안(약 330억원)에서 2020년 11억위안(약 1800억원)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AI 스피커’ 시장 커진 중국에, 후발주자 애플 ‘홈팟’ 도전장

두통·편두통 예방 수칙

소아의 두통·편두통 예방을 위한 부모 수칙 김병건 회장은 “두통이 발생했을 때 무조건 통증을 참으면 오히려 스트레스로 이어지고, 이는 결국 두통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김 회장은 “진통제는 두통이 발생했을 때 가급적 빨리 복용하는 것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며, 주 2회 이내로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머리 지끈지끈…어릴 때 못 잡으면 성인 돼도 지속

KBO 연봉 최대 삭감액

KBO리그 역대 연봉 최대 삭감액 TOP5 KIA는 29일 2019년 연봉 재계약을 발표하며 윤석민과 2억원에 계약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윤석민의 연봉은 12억5000만원. 10억5000만원이 줄어든 것으로 프로야구 역대 삭감액 신기록이다. 이전까지는 지난해 투수 장원삼이 5억5000만원 삭감된 것이 기록이었다. 삼성에서 뛰던 장원삼은 7억5000만원에서 2억원으로 연봉이 줄었다. ■관련기사 KIA 윤석민, -10억5천 ‘역대급 마이너스 계약’

미국 유대인 인구분포

미국의 유대인 인구분포 경제적 이유 말고도 플로리다에는 친이스라엘 주지사를 뒷받침해줄 또 다른 요소가 있다. 유대인 주민들이다. 플로리다의 유대인은 약 62만명으로 전체 주민의 3.2%를 차지한다. 비중만 보면 미국 50개 주 평균 수준이다. 하지만 유대인 주민 숫자로 보면 뉴욕 176만명, 캘리포니아 123만명에 이어 세번째다. ■관련기사 [구정은의 수상한 GPS]에어비앤비·이스라엘 싸움에 미 플로리다 주지사가 왜?

국가별 이주자 정책

민족주의·반이민에 일손 부족, 경제활동에 외국인 노동자 활용 일본은 정부 차원에서 요르단 등지에 머물고 있는 시리아 난민 지원에도 적극적이다. 이는 고질적인 구인난 문제를 향후 난민 수용으로 해결해보겠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에티오피아 의회는 지난 20일 난민들에게 취업·은행계좌 개설·운전면허 취득 등을 대폭 허용하는 새 난민법을 통과시켰다. ■관련기사 이주자 정책 따라 울고 웃는 경제

대한민국 임시정부

좌우통합으로 시작한 임시정부 독립운동 진영의 좌우통합은 결과적으로 실패했다. 이는 해방 후의 좌우 ‘이념 갈등’으로 이어졌다. 1948년 분단 이후 남북 간 대립과 갈등은 참혹했다. 민족상잔의 전쟁 참화도 겪었다. 그러나 평화와 화해, 소통의 움직임은 대립과 갈등에 짓눌리면서도 생명력을 잃지 않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신년기획 - 다·만·세 100년] 우리는 독립운동가입니다 ⑦ 우리가 몰랐던 임시정부의 ‘두 날개’ - ‘좌우통합’의 길…공화국 100년 ‘미완의 꿈’

베이징 주요 대학 취업률

베이징의 명문대 졸업생들의 베이징 취업률 28일 중국청년보가 34개 중국 주요 대학의 취업 데이터를 집계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베이징의 주요 대학들의 베이징 내 취업률은 50%를 크게 밑돈다. 2018년도 졸업생 기준으로 베이징대 39%, 칭화대 40%, 인민대 46%에 불과했다. 5년 전인 2013년만 해도 베이징대 졸업생 중 베이징에 취업하는 비중이 72%에 달했다. ■관련기사 [박은경의 베이징 리포트]베이징을 떠나는 베이징 명문대 졸업생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