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별 기준금리 추이 금리는 종종 ‘무딘 칼’로 비유된다. 경제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면서도 곧바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기 때문이다. 0.25%포인트 금리인상 자체는 크지 않지만 지금까지 아래쪽으로 향했던 무딘 칼이 이제는 위쪽을 향하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금리인상기가 시작됐다. ■관련기사 금리인상, 시장의 동요는 없었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7.12.14
스타벅스 '사이렌오더' 이용 고객 현황,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시간대 ‘조용한 소비’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금융권을 휩쓸었던 ‘비대면 거래’에 이어, 유통업계에서도 ‘언택트(Un-tact) 마케팅’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최근 누적 주문건수가 3000건을 돌파한 스타벅스의 ‘사이렌오더’는 모바일 앱을 통해 미리 주문과 결제를 하고 매장에서는 음료만 받아가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다. 스타벅스가 최근 사이렌오더 이용 고객 비율을 조사한 결과, 20~30대가 86%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고객님, 혼자 마음껏 둘러보세요~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7.12.14
최근 한달 내 O2O 서비스 이용 경험, 연령대별 최근 한 달 내 O2O 서비스 이용 경험 ‘조용한 소비’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금융권을 휩쓸었던 ‘비대면 거래’에 이어, 유통업계에서도 ‘언택트(Un-tact) 마케팅’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2016년 말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가 전국 45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O2O(Online to Offline) 이용 경험 조사에서 20대의 61.6%가 배달앱 등 O2O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있다고 답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이어 30대가 48.5%, 10대가 45.9% 순이었다. ■관련기사 고객님, 혼자 마음껏 둘러보세요~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7.12.14
검찰의 적폐청산 수사 현황 법원이 2017년 12월 13일 새벽 김태효 전 청와대 대외전략비서관(50)과 전병헌 전 청와대 정무수석(59)에 대한 구속영장을 기각하면서 전·현 정부를 넘나들던 검찰 수사에 다시 제동이 걸리는 분위기다. 검찰로서는 ‘이명박 정부 안보실세’로 불린 김 전 비서관의 신병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이명박 전 대통령(75)으로 향하는 수사에 차질이 불가피해 졌다. 현 정부 청와대 수석을 끌어내리면서 강행한 전 전 수석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가 두 번 연속 기각된 점도 검찰로선 큰 부담이 되고 있다. ■관련기사 번번이 법원 문턱 걸린 윤석열호, 오늘 고비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7.12.14
지역별 안전등급 행정안전부는 2017년 12월 13일 전국 시·도와 시·군·구별 7개 분야의 ‘2017년 지역 안전지수’를 공개했다. 2015년 도입된 지역 안전지수 평가는 지자체의 분야별(교통사고·화재·범죄·자연재해·생활안전·자살·감염병) 안전 수준을 1~5등급으로 계량화한 수치다. 안전등급이 ‘1’에 가까울수록 사고 발생 건수나 사망자 수가 적어 ‘5’에 가까운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대구 달성 전국서 ‘가장 안전’…부산 중구 ‘최하위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7.12.14
체감 일자리 불안과 우울증의 연관성 일자리가 불안정하면 우울증 발병 위험이 뚜렷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동조합에 가입한 대기업 정규직 노동자도 일자리를 잃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상당했고, 이는 우울증으로 이어져 건강을 해쳤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갈라놓은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가 굳어지는 가운데 훨씬 큰 고용불안에 시달리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건강에는 이런 환경이 더욱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추론이 나온다. ■관련기사 고용불안 노동자 ‘우울증 위험’ 고용안정 때보다 2.7배 높아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7.12.14
정부의 가상화폐 관련 대책 정부가 2017년 12월 13일 내놓은 가상화폐 긴급 대책은 거래를 전면 금지하는 대신 소비자 보호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풀이된다. 전면 규제보다 ‘관리’에 치중하겠다는 입장이다. 개인 간 거래를 전면적으로 막을 명분은 없는데 10대 청소년에게까지 도박처럼 투기 열풍이 번지면서 ‘고육지책’으로 미성년자 거래 금지 대책을 내놓았다. 하지만 이번 대책으로 가상화폐 투기 열풍이 가라앉을지는 미지수다. ■관련기사 ‘가상화폐 고육책’ 전면 금지 대신 관리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7.12.14
임대소득구간별 납부금액 국토교통부가 2017년 12월 13일 발표한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 방안은 임대주택 등록에 따른 집주인들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다만 준공공임대로 등록해 8년 이상 장기임대를 해야 사업자들이 얻는 혜택이 크도록 설계했다. 정부는 내년까지 유예했던 주택임대소득 연 2000만원(월 167만원) 이하 임대소득자에 대한 분리과세를 예정대로 2019년부터 시행하기로 했으나 임대사업자 등록 여부에 따라 필요경비율을 차등 조정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 방안]세금·건보료 감면 확대 ‘당근’…임대사업자 등록 ‘유인’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7.12.14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 방안 주요 내용 국토교통부는 2017년 12월 13일 발표한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 방안’에서 다주택자의 임대사업자 등록을 유도하기 위해 지방세(취득·재산세) 감면기한을 확대하고 건강보험료 인상분을 최대 80% 감면하는 등의 지원방안을 내놨다. 세간의 관심이 쏠렸던 임대등록 의무제와 전·월세상한제 도입은 2020년 이후로 미루는 대신 향후 추진과제로 못 박았다. 다주택자를 옥죄기보다 혜택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임대료와 임대기간을 제한해 집주인과 세입자가 상생할 수 있는 임대시장 환경을 만들겠다는 취지다. ■관련기사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 방안]세금·건보료 감면 확대 ‘당근’…임대사업자 등록 ‘유인’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7.12.14
'윈 플래닛 서밋'에서 발표된 기후변화대응 계획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파리기후협정에서 탈퇴했지만 세계 각국은 더욱 단결하고 구체적인 기후변화 대응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와 유엔이 협정 체결 2주년을 기념해 2017년 12월 12일(현지시간) 파리에서 연 ‘원 플래닛 서밋’에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90억유로(약 11조5400억원) 상당의 기금을 조성하겠다고 선언하는 등 각종 계획이 쏟아졌다고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관련기사 트럼프의 미국 없이도…기후변화대응 계획 쏟아졌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7.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