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방 범죄 현황 PC방 범죄 현황 한편, 강서구 사건을 이유로 PC방을 범죄의 온상으로 보는 건 타당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2017년 경찰청 범죄통계에 따르면, PC방 범죄는 전체 범죄의 0.3%에 불과했다. 지난해 PC방에서는 강력범죄가 51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발생건수만 따지면 슈퍼마켓(75건), 종교기관(81건), 화장실(138건)보다도 적었다. ■관련기사 ‘치안의 사각지대’ 주택가 PC방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07
검토 중인 다자 자유무역협정 한국이 추진 중이거나 참여 검토 중인 주요 다자 자유무역협정 CPTPP는 규모가 꽤 큰 자유무역협정이다. 역내 인구는 5억명에 세계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1%다.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옛 NAFTA),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MERCOSUR) 등이나 아세안, 유럽연합(EU)과 같은 경제공동체와 비교해도 크게 밀리지 않는다. ■관련기사 다자 자유무역협정, 수출 구세주?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11.07
미국 대이란 제재 비교 미국 대이란 1·2차 제재 비교 이날 복원된 미국의 대이란 2차 제재는 이란의 숨통을 죄는 데 목적이 있다. 이란의 주 수입원인 원유 수출을 막고, 무역 거래의 근간인 국제 금융시스템으로의 접근을 아예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미 ‘이란 제재’ 전면 복원] 미국 ‘고립작전’에 이란 ‘자급경제’로 저항…중동 정세 요동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11.07
이란산 원유 수입국 이란산 원유 주요 수입국 중국, 인도, 한국, 터키, 이탈리아, 일본은 이란 원유 수입량 상위 1~6위 국가다. 지난 5월 미국이 제재를 예고한 이후 한국·일본·인도 등은 원유 수입을 일시 중단하거나 줄이는 한편, 피해 최소화를 위한 제재 면제를 요청해왔다. ■관련기사 [미 ‘이란 제재’ 전면 복원] 8개국 원유 수입 제한 ‘한시적 예외’ 왜…북핵 해결 파트너·친분 등 고려된 듯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07
국정상설협의체 합의사항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 12개 합의사항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들은 이날 청와대에서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 회의를 열고 “정부와 여야는 경제·민생 상황이 엄중하다는 공통된 인식 아래 국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입법과 예산에 초당적으로 협력한다”며 이러한 내용의 합의문 12개 항을 채택했다. ■관련기사 “탄력근로 확대 적용, 비핵화 초당적 협력”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11.07
거대IT 업체 과징금 부과 거대IT 업체 과징금 부과 세계적 정보기술(IT) 기업인 구글은 지난해 한국에서만 적게는 3조2000억원에서 최대는 4조9000억원 정도 매출을 거둔 것으로 추산된다. 역시 최대 실적을 거둔 네이버(4조6785억원)를 웃돌 수도 있다. 그러나 구글이 한국에 낸 세금은 고작 200억원도 못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의 법인세 4231억원의 5%도 채 안된다. ‘소득 있는 곳에 세금 있다’는 원칙을 다국적 IT 기업들에도 적용하자는 국내외 요구가 빗발치자 정부도 움직이고 있다. ■관련기사 ‘소득 있는 곳에 세금’ 원칙 세울 구글세, 한국도 과세 ‘시동’ 오늘의 뉴스/사건일지 2018.11.06
일감 몰아주기 제재 현황 김상조 공정위원장 취임이후 일감 몰아주기 제재현황 공정위 고위 관계자는 “일감 몰아주기가 한국 대기업 집단에서만 나타나는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총수일가가 ‘승계’에 집착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대기업 총수일가의 일감 몰아주기 행태는 세부 영역에까지 뻗어 있다. 한진그룹은 올해 공정위에 신고하지 않은 총수일가 계열사를 통해 담요, 슬리퍼까지 공급받은 행태가 드러났다. 앞서 한진그룹 총수일가는 자신들이 지분을 갖고 있는 회사를 통해 가방, 볼펜, 시계 등 판촉물을 대한항공에 독점적으로 공급한 사실이 확인되기도 했다. ■관련기사 교묘해지는 일감 몰아주기…공정위 ‘그물망’ 더 촘촘히 짠다 오늘의 뉴스/사건일지 2018.11.06
강제징용 소송일지 일제 강제징용 소송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인 이춘식씨(94) 등 4명이 일본 철강기업 신일철주금(구 일본제철)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이 소송 제기 13년8개월 만에 원고 승소로 최종 결론이 났다. 이씨 등은 2005년 서울중앙지법에 일본 기업을 상대로 다시 소송을 냈지만, 1·2심 모두 원고 패소였다. ■관련기사 [일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 대법, 1·2심 뒤집고 파기환송…‘재판거래 의혹’으로 5년 또 허송 오늘의 뉴스/사건일지 2018.11.06
전문직 여성 내 성추행 통계 전문직 여성 내 성추행 관련 통계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49.0%·497명)가 ‘상대방이 고의로 신체 부위를 건드리거나 일부러 몸을 밀착시키는 등의 행위를 했거나 시도한 경우’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직장 내 성폭력 타깃…전문직 여성도 예외 없었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06
효성 한수원 접대비리 효성 한수원 접대비리 효성과 한수원 간의 유착 비리는 고리나 월성 등 사업소 직원뿐 아니라 본사 직원들도 마찬가지였다. 효성은 고리 2호기에 이어 울진 1·2호기, 신고리 3·4호기 등 발주가 있을 때마다 본사 직원을 상대로 룸살롱 등에서 접대를 했다. 김 전 차장이 상대한 한수원 직원 중 접대에 불편해한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다. ■관련기사 [단독]‘철제 외함’ 빠진 변압기 납품받고 묵인한 한수원 오늘의 뉴스/사건일지 2018.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