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쟁점과 결론 삼성바이오는 2014년 갑자기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에 미국 바이오젠사가 50% 주식을 살 수 있는 콜옵션(주식매수청구권)이 있다는 공시를 했다. 증선위는 그러나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처음부터 바이오젠사와 공동으로 지배하는 회사였다고 판단했다. ■관련기사 [삼성바이오 분식회계]‘단독지배’로 포장했던 회사, 자본잠식 피하려 ‘공동지배’로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11.15
WYI 유가 추이 WYI 유가 추이 지난 13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오는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4.24달러(7.1%) 급락한 55.6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WTI는 12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며 지난해 11월16일 이후로 1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관련기사 트럼프 “OPEC 석유 감산 안 할 것”…유가 1년 만에 최저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15
임종헌 주요 범죄 혐의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 주요 범죄 혐의 임종헌 전 차장에게 적용된 죄명은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공무상 비밀누설, 형사사법절차 전자화촉진법 위반, 허위공문서 작성 및 행사, 직무유기,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국고손실, 공전자기록 등 위작 및 행사다. ■관련기사 임종헌, 범죄 혐의만 30여개…공소장 242쪽, MB보다 3배나 많아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11.15
윤석헌 임명 전문가 의견 윤석헌 금융감독원장 임명에 대한 전문가 주요 의견 박상인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독립성에 의심을 받던 금감원이 감독기관으로서 원칙을 지키며 제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졌다”고 평가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감독체계 문제 외에도 정부의 금융정책이나 방향성이 없어 기관 간 엇박자가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윤석헌 금감원장 6개월…조직 안정화 ‘성과’ 장악력은 ‘글쎄’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11.15
4대 회계법인 현황 4대 회계법인 현황 외부 회계법인은 해당 회사가 회계처리를 제대로 했는지 따져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논란에서 회계법인들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으로 삼성바이오의 사업가치가 커지자 삼성바이오가 자본잠식에 빠지지 않도록 회계 기준을 변경하는 데 직·간접적으로 개입했다. ■관련기사 [삼성바이오 분식회계]분식회계 개입한 회계법인 ‘솜방망이 처벌’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15
삼성 IM부문 영업이익 삼성전자 IM부문 영업이익 추이 (2012년~2018년 3분기까지) 삼성전자가 IM부문에서 가장 좋은 실적을 낸 건 2013년이었다. 2013년 삼성전자는 IM에서 한 해 25조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하지만 거기까지였다. 곧 애플을 꺾을 듯했던 삼성의 기세는 애플이 2014년 화면을 4.7인치로 키운 ‘아이폰6’를 선보이면서 꺾이기 시작했다. ■관련기사 삼성이 쫓아가기엔 너무 먼 애플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15
자치경찰제 도입 방안 자치경찰제 도입 방안 자치분권위원회가 13일 내놓은 자치경찰제 도입방안은 현행 경찰조직 체계를 유지하면서 지방자치단체에 자치경찰을 신설해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을 이원적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자치경찰이란 국가 전체를 관할하는 국가경찰과 달리 지자체에 소속돼 지역주민의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을 말한다. ■관련기사 [경찰개혁] 국가·자치 경찰 이원화, 역할 분담에 성패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11.14
무역수지 현황 무역수지 현황, 2018년 상반기 유망 신산업 수출 통계 1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 1~10월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6.4% 증가한 5053억달러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반면 13대 주력품목 중 자동차와 선박, 휴대전화, 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 등의 수출은 부진했다. 올 1월부터 지난달 20일까지 자동차 수출액은 314억65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6% 감소했다. ■관련기사 [긴급진단 한국 경제의 위기] ① ‘경제 버팀목’이라는 수출도…반도체 빼면 짙은 ‘먹구름’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14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 숙박, 음식점업 생산지수 올해 1분기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15년을 100으로 봤을 때 93.7%였다. 2005년 1분기 90.9% 이후 최저 수준이다. 자연히 고용도 줄어든다.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는 2017년 4분기 604만명에서 올해 2분기 598만명으로 줄었다. 현재 전체 자영업자의 70%(403만9000명)가 1인 사업자인데, 이 비율이 더 늘 것으로 예측된다. ■관련기사 [긴급진단 한국 경제의 위기] ① 현장에서 본 위기론 - “한 달 100만원 넘게 손해” 식당 주인 한숨…명품 매출은 ‘날개’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