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전시회 추이 4차 산업혁명 관련 전시회 증가 추이 코엑스는 4차 산업 전시회가 눈에 띄게 늘었다고 26일 밝혔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로봇, 드론 등을 비롯해 전기자동차, 스마트 공장, 스마트 시티 등에 관한 전시가 2010년 13회에서 2011년 15회로 늘었고, 2016년 30회로 5년 만에 다시 2배 증가했다. ■관련기사 젊은층, 전시장 ‘개별 관람’ 급증… “시대의 트렌드를 간파할 수 있죠”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27
아시안게임 수영 메달 현황 2018 아시안게임 수영 메달 현황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수영 종목 최고 스타는 일본의 이케에 리카코(18)다. 여자 접영과 자유형 50m, 100m 4종목에서 금메달을 땄고, 여자 400m 계영과 혼계영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관련기사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일본·중국이 금 19개씩 싹쓸이…한국 수영, 희망의 씨앗 틔워라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27
LCD TV 패널 시장점유율 해상도별 LCD TV 패널 시장점유율 추이 (2015~2024년) 올해 OLED TV 세계 시장 규모는 250만대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LG전자가 처음 올레드 TV를 양산하기 시작한 2013년에는 30만대 수준이었다. 5년 만에 8배로 커졌다. 2022년에는 935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TV, 어디까지 커질래?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27
국내 아열대 과일 재배현황 국내 아열대 과일 재배현황 통계청 사회통계국 농어업동향과는 “사과, 복숭아, 포도, 인삼 등은 (기후변화로 인해) 재배 가능지가 점차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과, 복숭아, 포도 등이 북쪽으로 올라가면 남은 자리는 아열대 작물이 채울 수 있다. ■관련기사 [커버스토리] 생태계가 바뀐다 (1) 남녘 농장의 재배기 - “현실 아열대, 안녕 파파야”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27
국내 아열대 작물 농가수·면적 지역별 아열대 작물 농가수, 면적 농진청은 2020년에는 아열대 작물 재배 면적이 1000ha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아열대 작물에 대한 사람들의 선호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서다. 장기적으로는 기후변화 때문에 아열대 작물 재배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커버스토리] 생태계가 바뀐다 (1) 남녘 농장의 재배기 - “현실 아열대, 안녕 파파야”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27
국내 아열대 채소 재배현황 국내 아열대 채소 재배현황 여기에 기후변화라는 요인이 겹쳐지면서, ‘제주도 바나나’를 넘어 생소했던 아열대 작물들의 재배는 계속 늘고 있다. 온난화대응연구소에서 지난해 말 파악해 보니 전국 1725농가가 354.2ha의 땅에서 아열대 작물을 키우고 있었다. ■관련기사 [커버스토리] 생태계가 바뀐다 (1) 남녘 농장의 재배기 - “현실 아열대, 안녕 파파야”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27
서울지역 부동산 거래 추이 서울지역 상업용 부동산 거래 및 수익률 추이 RCA(Real Capital Analytics)는 올 상반기 분석과 함께 ‘6월 말 기준 직전 12개월(2017년 7월~2018년 6월) 동향 분석 자료’도 내놓았다. RCA는 이 자료에서도 “한국의 상업용 부동산 거래량은 187억달러(20조9440억원)로 2016년 7월~2017년 6월 거래량 대비 12% 증가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아태지역 ‘3대 투자처’로 급부상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27
박근혜 삼성 뇌물수수 인정액 박근혜 삼성 뇌물수수 인정액 1·2심 비교 박근혜 전 대통령(66)이 24일 항소심에서 징역 25년에 벌금 200억원으로 1심보다 높은 형을 선고받은 이유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50)이 박 전 대통령에게 줬다고 인정된 뇌물 액수가 1심 72억9427만원에서 항소심 86억8081만원으로 13억8654만원 늘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박근혜 항소심 25년 선고]“이재용 승계작업 존재했고 박근혜에 ‘묵시적 청탁’ 있었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27
오프라인·온라인별 식품 구매액 국내 가구당 오프라인·온라인별 식품 연간 구매액 농식품 구매액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비교한 결과,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가구당 온라인 농식품 구매액은 354.6% 증가했으나, 오프라인 구매액은 6.5% 늘었다. 특히 최근에는 쌀·쇠고기·돼지고기·포장김치·우유 등을 온라인을 통해 구매하는 소비자가 크게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요즘 장보기 트렌드는… 온라인·가정간편식·새벽배송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24
소득 5분위 배율 추이 소득 5분위 배율 추이 통계청이 이날 공개한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전국 2인 이상 가구)을 보면 올 2분기 5.23배였다. 이는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2008년 2분기 5.24배를 기록한 뒤 2분기 기준으로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관련기사 2분기 소득 양극화, 10년 만에 ‘최악’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