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책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 대책 주요 내용 내년부터 5인 미만 소상공인에게 지급하는 일자리안정자금을 현행 월 13만원에서 15만원으로 올린다. 근로장려금을 받는 가구의 소득·재산 기준을 완화해 지원 대상을 현행 자영업자 57만가구에서 115만가구로 늘리기로 했다. ■관련기사 정부, 소상공인·자영업자에 6조원 직접 지원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23
동영코엘스와 현대중공업 분쟁 동영코엘스와 현대중공업 하도급 분쟁 주요 쟁점 동영의 경영 상태가 기울기 시작한 것은 2015년이다. 국내 조선업이 본격적인 침체에 들어간 시기이기도 하다. 현대중공업은 2015년 2월 기존에 12개 업체가 나눠서 납품하던 해상 배전반을 2개 업체에 ‘일괄 발주’하겠다고 선언했다. ‘을’과 ‘을’이 가격경쟁을 통해 2곳만 살아남으라는 주문과 다름없었다. ■관련기사 [제조업 일자리 붕괴의 공범 - 불공정거래] 연매출 380억…지난 3월 문 닫은 울산 동영코엘스 “원청사 ‘단가 후려치기’에 하도급 직원·가족 1500명 생계 위협”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23
덕수궁 내측 보행로 덕수궁 내측 보행로 덕수궁 돌담길은 총길이가 1.1㎞이다. 대한문~덕수궁길~미국대사관저~영국대사관 후문~덕수궁 내 보행로(신규 개방 70m)~영국대사관 정문~세종대로로 이어지는 길로 성인 기준 걸어서 20분 정도 소요된다. ■관련기사 올가을엔 ‘완전한’ 덕수궁 돌담길 걸어요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23
전기요금 영향 분석 전년 동기 대비 전기요금 영향 분석 금액별로 ‘2만원 미만’이 484만가구(55.4%), ‘2만원 이상∼5만원 미만’ 129만가구(14.8%), ‘5만원 이상∼10만원 미만’이 35만가구(4.0%)였다.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6만가구(0.7%), ‘20만원 이상’이 6만가구(0.7%)로 10만원 이상 증가한 가구는 12만가구로 전체의 1.4%다. ■관련기사 전기료 폭탄 주장은 ‘공포탄’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23
일반담배·궐련형 전자담배 비교 일반담배와 궐련형 전자담배의 사용시 차이점 일반담배는 불을 붙여 흡입할 때 온도가 800도까지 올라가고 연기와 재를 생성한다. 반면 궐련형 전자담배는 제품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300∼350도 내외로 담배를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킨다. 과학적으로 연소가 일어나려면 최소 400도 이상 되어야 하고, 연소가 유지되려면 600도 정도 되어야 한다. ■관련기사 [건강 이슈](1) 궐련형 전자담배“안전한 담배는 없다” vs. “유해성 감소” 논란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23
기내판매점 매출액 기내판매점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기타) 연도별 매출액 게다가 기내면세점 매출은 출국장 면세점 변수를 제외하더라도 이미 감소추세다. BNK증권은 “2018년 기내판매점 예상 매출액은 2867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2.1% 역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입국장 면세점’ 가능성 높아졌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23
입국장 면세점 설치 계획 입국장 면세점 설치 계획 일찌감치 1터미널에 190㎡(약 57평) 넓이의 ‘터’ 2곳을 1층 수하물 수취지역에 비워놨고, 2터미널 1층에도 326㎡(약 100평) 자리를 잡아놨다. 규모로 보면 출국 면세점에 비해 협소한 편이다. ■관련기사 ‘입국장 면세점’ 가능성 높아졌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23
은행권 모바일뱅킹 현황 주요 은행권 모바일뱅킹 현황 신한은행은 기존 S뱅크, 써니뱅크 등 6개 앱을 통합한 모바일뱅킹 플랫폼 ‘쏠(SOL)’을 지난 2월 출시해 7월 말 현재 가입자가 600만명을 돌파했다. 여러 앱의 다양한 기능들을 하나로 묶어 은행 업무를 한눈에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관련기사 은행권, 모바일 경쟁 뜨거워졌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23
개인정보 법적 개념 체계 개인정보의 법적 개념 체계 개인정보는 이름·주민등록번호 등 바로 누구인지 알 수 있는 정보이고, 익명정보는 아예 누구인지 알 수 없는 정보다. 반면 가명정보는 일부의 정보만 생략한 것이다. ■관련기사 가명정보 3자 제공 “동의가 먼저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8.22
7월 생산자물가 상승 품목 7월 생산자물가 상승 주요 품목, 생산자물가와 농림수산품 물가 상승률 추이 한편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2018년 7월 생산자물가지수’를 보면, 농산물 가격은 전달 대비 7.9% 올랐다. 특히 시금치(130.4%), 배추(90.2%), 무(60.6%), 풋고추(37.3%), 수박(13.2%) 등이 많이 올랐다. 계란은 폭염으로 인한 산란 저하로 22.7%, 닭고기는 복날 수요로 14.3% 상승했다. ■관련기사 태풍 접근에 ‘떠는’ 수확기 농작물…뛰는 장바구니 물가 잡기 또 악재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