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통계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367 Page)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4307

3대 연예기획사 최근 3년간 주식 흐름

국내 아이돌 가요 시장은 SM, YG, JYP 등 3대 기획사가 이끌고 있다. 매출액 기준으로 보면 로엔 엔터테인먼트 등이 앞서지만,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문화 콘텐츠를 창출해 내는 영역에서 세 회사가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각 회사의 올 상반기 매출 현황을 보면 자연스레 국내 아이돌 시장의 흐름이 드러난다. 트와이스 대박은 재무제표에도 나타났다. 아티스트들의 군 입대로 부진을 겪던 SM은 다시 기지개를 펼 준비 중이다. YG는 빅뱅 이후 회사를 이끌어 나갈 아티스트의 육성에 힘써야 할 때로 보인다. ■관련기사 JYP ‘대박’ YG ‘주춤’ SM ‘반전’

주요국 대미 무역흑자

올해 상반기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30%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무역흑자 감소폭은 미국의 10대 교역국 가운데 가장 컸다. 3일 미국 상무부 자료를 보면 올해 상반기 한국의 대미 상품수지 무역흑자는 112억400만달러(약 12조5541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1.9% 감소한 수치다. ■관련기사 [한·미 FTA 어디로]한국, 올 상반기 대미 무역흑자 32% 줄었다

2016 두원공대 재정지원사업 수혜실적 , 두원공대 전문대학 평가 각종순위

교직원과 학생을 상대로 ‘도 넘는 갑질’을 한 두원공과대학이 국고 지원금을 교직원의 해외 공짜관광과 기업단체 접대비 등으로 유용한 정황이 드러났다. 매년 100억원이 넘는 지원금을 받은 두원공대가 국고를 사금고처럼 탕진하는 동안 교육부는 형식적으로 작성된 서류만 믿고 단 한번도 비리를 적발하지 못했다. 교육부의 부실한 감독 탓에 국민 세금이 ‘눈 먼 돈’처럼 엉뚱한 곳으로 새나간 셈이다. ■관련기사 [단독]두원공대, 국비를 해외 관광·접대비에 썼다

65세 이상 인구 추이·인구 비율

한국이 지난달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2000년 ‘고령화사회’가 된 지 17년 만이다. 행정안전부는 8월 말 기준 한국의 주민등록 인구 5175만3820명 중에 65세 이상 인구가 725만7288명(14.0227%)을 차지했다고 3일 밝혔다. 한국은 세계적으로도 고령화 진척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로 기록됐다. 앞서 가장 빨랐던 일본은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할 때 25년이 걸렸다. ■관련기사 한국 ‘고령사회’ 진입 속도 가장 빨랐다

2017년 9월 4일 프로야구 중간순위

거인의 진격이 계속되고 있다. 1위 KIA는 불펜 때문에 브레이크가 걸렸다. 롯데는 3일 프로야구 사직 한화전에서 이대호의 쐐기 홈런 등을 발판 삼아 7-2로 이겼다. 롯데는 지난달 4일 이후 27경기에서 22승5패의 승률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같은 기간 승률이 무려 8할1푼5리다. 고척에서는 넥센이 KIA에 1-7로 뒤지다 9회말 7득점을 쏟아내 역대 9회말 최다 득점차 역전승 신기록을 세우며 8-7로 승리했다. ■관련기사 [프로야구] 진격의 거인…충격의 KIA

비용 대비 편익 분석 1 미만인 고속도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도입한 1999년 이후 건설되거나 추진 중인 고속도로 27개 노선 중 41%는 경제적 타당성이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민간투자 고속도로는 5개 중 4개가 경제성이 없었다. ‘묻지마’ 투자로 재정부담이 눈덩이처럼 늘어나고 있다. 재정사업으로 진행된 고속도로의 적자는 한국도로공사의 부담이 되고, 공공기관 부채는 결국은 국민 부담으로 돌아온다. ■관련기사 “1999년 이후 건설 고속도로 41%는 경제적 타당성 없어”

8·2 부동산 대책 후 전주 대비 서울 주요 지역 집값 변동률 추이

가격 상승을 주도해오던 강남지역 아파트의 하락세는 8·2 대책 한 달 만에 달라진 부동산 시장 분위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대출·청약·세금 등 전방위에 걸쳐 옭아맨 8·2 대책은 끝 모르게 치솟던 집값을 진정시키는 데는 일단 효험을 봤다. 정부가 조만간 내놓을 추가 대책에서 장기적으로 집값을 안정시킬 근본 대책과 실수요자를 위한 보완책까지 내놓을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투기수요 걷어냈지만 실수요자 대책 보완 필요”

국내 주요 공항 항공기 지연율

제주국제공항에서 운항하는 항공기의 8대 중 1대가 지연운항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를 보면 올 들어 지난 7월까지 제주공항에서 운항한 항공기는 총 9만5762편으로 이 중 13.4%인 1만2866편이 지연운항(출발시간 30분 초과) 했다. 30분 이상 지연운항 하는 항공기가 8대 중 1대라는 의미다. ■관련기사 제주공항 항공기 8대 중 1대꼴 지연 운항

유소년·고령인구 및 노령화지수 추이

2016년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를 처음으로 추월했다. 통계청 당초 예상보다 1년 앞당겨진 것으로 그만큼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의미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 결과’를 보면,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국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677만5000명으로 0∼14세 유소년 인구 676만8000명을 넘어섰다. 저출산 고령화 영향으로 유소년 인구는 13만8000명(2.0%) 줄어들고 고령인구는 20만6000명(3.1%) 증가하면서 고령인구가 유소년 인구를 넘어선 것이다. ■관련기사 65세 이상 고령인구,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 첫 추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