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 매출 신장률 2017년 과일 매출 신장률 이마트의 지난해 매출 신장률을 보면 칼 없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바나나, 딸기, 체리 같은 과일 매출이 증가한 반면, 사과, 수박, 배, 복숭아, 오렌지 등 칼이 필요한 과일 매출은 전년 대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관련기사 딸기 매출이 오렌지 이긴 까닭? “칼 쓸일 없이 바로 먹기 좋아요”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4.13
관광객 서울 주요 방문지 외국인 관광객 서울지역 주요 방문지 외국인 관광객들은 명동(85.2%)과 N서울타워(56.5%), 4대 고궁(55.0%)을 많이 찾았다. 이어 롯데면세점(51.5%), 롯데백화점(48.7%), 동대문시장(45.7%), 인사동·삼청동(40.0%), 동대문디자인플라자(37.0%) 순이었다. ■관련기사 외국인 관광객, 평균 5일 체류…쇼핑·식도락 즐겨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4.13
한국은행 거시경제 전망 한국은행 거시경제 전망 또 실업률은 올해 3.8%, 내년 3.7%로 전망했다. 이 총재는 금통위 회의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중국인 관광객 회복세가 더디고 일부 산업별, 기업별로 구조조정이 이어지면서 지난 2∼3월 취업자 수 증가 규모가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고용이 예상보다 심상찮나…한은, 기준금리 연 1.5% 또 동결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4.13
도시별 임금·고용 현황 도시별 임금수준 및 고용 현황 각 지역 거주자들의 임금과 고용률을 분석한 결과, 인구증가도시는 인구감소도시보다 임금근로자 임금이 12만원 이상 더 많았다. 지난해 상반기 인구감소도시의 월평균 임금은 208만3000원, 인구증가도시는 220만5000원이었다. ■관련기사 인구증가도시, 감소도시보다 월평균 임금 35만원 더 많았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4.12
국내 편의점 시장규모 편의점 품목별 성장률, 국내 편의점 점포수 및 시장규모 추이 2012~2015년 3년간 국내 편의점 내 식품 관련 매출액은 연평균 7%씩 성장한 것으로 집계된다. 업계 관계자는 “편의점에서 물건을 사는 소비습관을 들인 20~30대가 향후 40~50대 소비자가 될 경우 슈퍼마켓 대신 편의점을 찾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과일·채소…웬만한 건 다 있어 “이제는 장보러 편의점 갑니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4.12
3월 고용동향 3월 고용동향 지난달 실업률이 4.5%로 1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나쁜 일자리는 줄어들고 있지만 청년 4명 중 1명이 일자리를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상황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3월 실업률 4.5%로 17년 만에 최악…청년 4명 중 1명 ‘실질적 실업상태’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4.12
삼성증권 투자자 손실액 삼성증권 유령 주식 사태에 따른 투자자 손실액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일 삼성증권의 평균매도가액은 3만7730원이다. 보상기준(3만9800원)과 비교해보면 투자자들은 주당 평균 2070원 손실을 봤다. 이날 전체 매도물량이 2081만주이므로 손실액은 모두 431억원가량 된다. 이 중 개인은 1464만주를 매도했기 때문에 최대손실액은 303억원으로 추산된다. ■관련기사 삼성증권 손실액 430억원 될 듯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4.12
프리랜서 노동환경 실태 프리랜서 노동환경 실태 프리랜서 71.7%의 월수입은 200만원 미만이었는데, 이 가운데 14.1%가 월평균 50만원도 받지 못하고 있었다. 반면 조사 대상자 중 5.8%는 400만원 이상 받는다고 응답했다. ■관련기사 프리랜서 대부분 최저임금도 못 받는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4.12
3월 미세먼지 영향 비율 3월 미세먼지 국내외 영향 비율 즉 외국에서 온 오염물질에 국내에서 나온 오염물질이 합쳐지고 여기에 대기 정체라는 기상조건이 겹쳐 ‘미세먼지 대란’을 일으켰다는 뜻이다. 대기가 정체되고 습도가 높게 유지되면서 2차 생성이 활발히 일어나는 조건이 만들어졌고, 미세먼지 농도가 급격히 증가했다고 국립환경과학원은 설명했다. ■관련기사 3월 미세먼지, 오전엔 중국·오후엔 국내 탓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4.10
한국산 대미 수출 추이 한국산 철강·자동차 ·송유관 및 유정용 강판 대미 수출 추이 연평균 대미 철강 수출이 FTA 발효 이전(2007~2011년) 32억3500만달러에서 발효 이후(2012~2016년) 52억7500만달러로 63.1% 증가했지만 이는 미국의 관세 장벽이 낮아져서 생긴 변화가 아니라는 것이다. ■관련기사 “철강·차 대미 수출 급증은 FTA 효과 아닌 수요 증가 때문”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