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통계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308 Page)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4307

노동시간 단축 쟁점

노동시간 단축 쟁점 노동시간 단축에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정부는 약 104만명의 노동자가 월평균 34만8000원가량 임금이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은 “노동자의 삶을 봤을 때 돈과 시간 중 선택해야 한다면 시간”이라며 “생산성이 오르면 임금은 다시 오르므로 초과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과도기적 임금 감소는 노동자들이 감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노동의 新새벽] ④ 노동시간 단축의 경제학 - 밤을 잊은 노동, 더 이상 ‘신화’ 아니다

단말기 자급제 비율

국가별 단말기 자급제 비율 그동안 국내 시장에서는 공단말기를 살 경우 제조사가 통신사에 공급하는 가격보다 10% 정도 비싸게 살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이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 분석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자급제 비율은 8% 수준으로 전 세계 평균 61%에 크게 못 미친다. ■관련기사 자급제폰으로 ‘호갱’ 벗어나볼까

아파트 관리비 비적정 유형

아파트 관리비 감사보고서 비적정 의견 유형, 관리비 절감 관련 지적된 사례 현재 아파트 회계감사가 이뤄지는 구조는 이렇다. 300인 이상 거주하는 아파트라면 입주자대표회의에서 감사인을 선정한다. 외부 회계감사 결과와 민원 등을 기초로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감사를 한다. 문제는 대부분 최저가 입찰을 위주로 외부 회계감사인을 선정한다는 데 있다. ■관련기사 아파트 관리비 ‘감사공영제’ 논란

민주당·자유한국당 계열 득표수

전국동시지방선거 4회부터 7회까지 민주당 계열과 자유한국당 계열 정당이 받은 총 득표수 민주당이 이번 지방선거에서 받은 총득표수는 1419만1438표다. 이 득표수는 앞서 거론한 현 민주당 계열(‘진보’)이 단독으로 받은 최대치인 2012년 문재인 후보 대선 득표 수치에 육박한다. ■관련기사 [표지 이야기] ‘민주당 압승’ 유권자들 근본적으로 달라졌나

국가별 쓰레기 수출량

국가별 쓰레기 수출량 1992년 이후 중국이 전 세계로부터 받아들인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은 약 1억600만t에 달한다. 특히 한국을 포함해 비교적 소득이 높은 유럽, 북미, 아시아 국가들이 수출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전 세계 쓰레기 수출량의 약 85%가량에 해당한다. ■관련기사 중국 수입금지로 전 세계 폐비닐·폐플라스틱 ‘어쩌나’

문화예술계 성폭력 피해유형

여성 문화예술인 성희롱·성폭력 피해유형 피해 유형을 보면 ‘예술 활동과 상관없이 신체 접촉을 하거나 요구하는 행위’가 859명(34.7%)으로 가장 많았다. 가해자를 묻는 질문에 ‘선배 예술가’라 응답한 이가 982명(64.9%), ‘기획자 및 감독(프로듀서, 편집장, 기획위원 등)’이라고 답한 이가 794명(52.5%)이다. ■관련기사 여성 문화예술인 10명 중 6명 “성희롱·성폭력 직접 피해”

사업체 규모별 임금노동자

사업체 규모별 임금노동자 수 주 52시간제는 사업장 규모가 큰 곳부터 순차적으로 도입되지만, ‘4인 이하 사업장’은 애초에 법정 노동시간 제한 적용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노동시간 단축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4인 이하 사업장은 근로기준법의 ‘사각지대’로 불린다. ■관련기사 [노동의 新새벽 ] ③ 노동시간 단축 대상서 제외된 700만명은? 4인 이하 사업장과 운송·보건업 등 5개 특례업종 ‘사각’

건설업 평균 하청업체 수

건설업 매출 구간별 평균 하청업체 수, 하도급 거래금액 비중 국내 건설업계는 하도급 구조가 원청업체→1차 하도급업체→2·3차 하도급업체 같은 식으로 층층이 얽혀 있고 규모도 크다. 경제개혁연구소가 공정위의 2005년에서 2016년 사이 하도급거래 서면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매출액 1조원 이상 규모의 건설사는 2016년 528개 하도급업체와 거래를 했다. ■관련기사 국토부, 대형건설사 하도급 실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