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출하량 추이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추이 사실 삼성전자뿐 아니라 대부분의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수요 정체’라는 난제에 맞닥뜨린 상태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분석에 따르면 올 1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3억600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했다. ■관련기사 역성장 앞둔 스마트폰 시장…폴더블폰·5G, 돌파구 될까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27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업체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올 1분기 삼성전자는 전 세계 점유율 22%를 차지하며 1위를 지켰지만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화웨이와 오포, 비보, 샤오미 등 중국 4개 업체의 점유율을 합치면 30%를 넘어선다. 특히 샤오미의 경우 인도지역의 성장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9% 급성장했다. ■관련기사 역성장 앞둔 스마트폰 시장…폴더블폰·5G, 돌파구 될까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27
공시지가와 보유세액 9개 광역시·도 상위 100곳 공시지가와 보유세액 서울·경기 등 9개 지자체별 개별지 공시지가 상위 100곳의 공시지가 총액은 7조4000억원이었다. 전체 개별지 900곳 중 164곳(18%)만 종부세를 냈고 나머지 82%는 종부세 대상이 아니었다. 하지만 공시지가의 2.7배에 달하는 시세 총액 20조2701억원을 적용하면 종부세 대상은 367곳(40.7%)으로 증가했다. ■관련기사 공시지가 현실화 불발…여전히 ‘기울어진 보유세’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27
뷰티 브랜드 판매 신장률 2018년 상반기 중소 뷰티 트랜드 화장품 판매 신장률, 주요 중소 뷰티 브랜드 판매 신장률 H&B스토어 올리브영에 따르면 자연유래 성분으로 주목받은 ‘마녀공장’의 경우 작년 11월 입점 이래 최근까지 매출이 600% 이상 껑충 뛰었다. 신생 뷰티 브랜드인 에이바자르는 귀걸이형 마스크팩을 히트시키며 월평균 50% 넘는 판매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관련기사 가격·성분 ‘착한’ 중기 화장품, 국내 뷰티 시장서 ‘돌풍’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27
간편결제 일일 평균 이용금액 간편결제 일일 평균 이용금액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8년 1분기 중 전자지급 서비스 이용현황’을 보면, 1분기 간편결제 이용금액은 하루 평균 1000억3600만원(이하 하루 평균)으로 전 분기보다 10.4% 증가했다. ■관련기사 스마트폰 간편결제 하루 1000억원 돌파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26
대학생이 일하고 싶은 기업 2018 대학생이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 취업포털 인크루트는 전국 대학생 1100명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2018 대학생이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 설문조사에서 CJ가 6.2%의 득표율로 총 170개 기업 중 1위에 올랐다고 25일 전했다. 이어 한국전력공사·삼성전자(각 4.6%), 인천국제공항공사(4.4%)가 ‘톱5’를 차지했다. ■관련기사 ‘일하고 싶은 기업’ CJ가 1위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26
터키 대선·총선 결과 터키 대선·총선 결과 에르도안은 전날 실시된 대선에서 52.6% 득표율로 승리했다. 과반 득표에 성공해 결선투표 없이 대통령 당선을 확정지었다. 에르도안은 지난해 개헌으로 장기집권을 향한 포석을 놓았다. 대통령 임기를 5년으로 하고 중임까지만 허용한 헌법을 개정해 이번 대선부터 재적용하도록 했다. ■관련기사 장기집권 가는 길 카펫 깐 ‘술탄’ 에르도안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26
경주·포항 여진 발생 추이 경주·포항 지진의 여진 발생 추이 경주·포항 지진은 응력의 영향으로 기존 단층대가 재활성화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진성 단층운동의 중요한 사례라는 것이다. 포항 지진의 여진은 본진 발생 이후 지난 2월28일까지 1350회 확인됐으며 경주 지진의 여진은 같은 시기까지 총 2232회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경주·포항 지진보다 더 큰 지진 언제든 발생 가능”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26
국내 어종 어획량 변화 국내 주요 어종 어획량 변화 통계청은 수온 상승에 남획과 주변국과의 경쟁 등이 겹쳐 연근해 어획량 지도가 달라졌다고 설명했다. 동해에서 주로 잡히던 대표적 한류성 어종인 명태의 어획량은 1970년 1만3418t에서 지난해 1t으로 급감했다. ■관련기사 뜨거워진 바다, 줄어드는 물고기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26
소셜미디어 평균 이용시간 주요 소셜미디어 일일 평균 이용시간 이에 따르면 응답자들이 하루에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시간은 평균 35.5분으로, 지난해 하루 평균 42.9분에서 7.4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기기에서는 낙폭이 더 커서 지난해 44.0분에서 올해 35.8분으로 8.2분 감소했다. ■관련기사 피로도 높아진 SNS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