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무원 여성 비율 국가공무원 중 여성 비율 추이 2017년 연보에서는 국가공무원 65만149명 중 여성 비율이 49.8%(32만3575명)였다. 국가공무원 중 여성 비율은 2014년 49%, 2015년 49.4%로 소폭이지만 꾸준히 증가해왔다. ■관련기사 국가직 공무원 여성 비율 사상 첫 50% 돌파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08
순자산·가처분소득 지니계수 순자산·가처분소득 지니계수 순자산 지니계수는 20~24세가 0.691로 가장 높았고, 85~89세(0.684)와 75~79세(0.679)가 뒤를 이었다. 이는 연령별 가처분소득 지니계수 추이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는 20~24세, 25~29세가 각각 0.308이었으며 75~79세(0.526)까지 꾸준히 증가하다 이후 낮아졌다. ■관련기사 젊을수록, 늙을수록 세대 내 자산 격차…‘U자형’ 뚜렷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08
은행 수수료 수익 현황 2017년 주요 은행 수수료 수익 현황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ATM 주 이용 고객들이 수수료 혜택을 받지 못하는 불합리한 구조”라며 “은행은 유지 관리 비용을 줄이고 서민들의 비용 부담을 줄이는 은행 공동 ATM 체계 도입 등의 방안이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ATM 수수료 부담’ 외면하는 대형은행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08
SK바이오텍 실적 SK바이오텍 최근 3개년 실적, 아일랜드 스워즈 공장 현황 특히 고부가가치 의약품의 제작 공정이 복잡해지면서 글로벌 제약회사들은 SK바이오텍 같은 위탁생산기업(CMO)에 원료의약품 생산 기능을 맡기는 추세다. 2025년까지 CMO 시장은 매년 6.8%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SK바이오텍도 스워즈 공장 증설을 준비하고 있다. ■관련기사 ‘세계 10위권’ 꿈이 영그는 SK바이오텍의 글로벌 전초기지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07
기업 연장노동수당·총 급여 비교 2019년 최저시급 8000원 통상시급 5000원 기업의 연장노동수당·총 급여 비교 예를 들어 내년도 최저시급을 8000원으로 가정할 경우 근로계약서나 취업규칙을 변경해 통상시급을 5000원으로 정해놓으면 주 40시간을 초과한 노동의 경우 50%를 가산해도 시급은 7500원에 불과하다. ■관련기사 [단독]“연장노동시급이 최저시급보다 적을 수도 있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07
크라우드펀딩 조달금액 크라우드펀딩 조달금액 추이 2016년 처음 도입된 크라우드펀딩 시장 규모는 급증하고 있다. 2016년에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자금조달 실적이 115건, 174억원 규모였다. 지난해에는 183건, 278억원으로 증가했다. ■관련기사 중소기업도 ‘크라우드펀딩’ 허용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07
고용감소 추정치 최저임금 해마다 15% 인상 시 고용감소 추정치 공약대로라면 현재 55%인 중위임금 대비 최저임금 비율이 2019년 61%, 2020년 68%로 급증한다. 최경수 KDI 선임연구위원은 이 같은 상황에서는 일자리안정자금 등의 집행이 없다면 2019년 9만6000명, 2020년 14만4000명의 일자리가 줄 것으로 추정했다. ■관련기사 [최저임금 논란]“최저임금 인상에 고용 크게 줄 것” “외국 자료로 추정, 무리”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05
상품군별 온라인 매출 성장률 상품군별 지난 3년간 온라인 매출 평균 성장률 2017년 음식료 관련 온라인 매출은 전년 대비 34%나 증가했는데, 주요 고객층인 1인가구의 증가 및 간편식 선호 현상이 계속되면서 두 자릿수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관련기사 편의점 1위가 신선식품 시장 뛰어든 까닭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05
삶의 질 만족도 8대 분야별 '삶의 질 만족도' ‘전반적으로 현재의 삶에 얼마나 만족하는가’를 0~10점 척도로 묻는 질문에 응답자 답변은 평균 6.4점을 기록했다. 19~29세가 6.8점으로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은 5.9점으로 가장 낮아 연령대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떨어졌다. ■관련기사 한국인 ‘삶의 질’ 만족도 10점 만점에 평균 6.4점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05
30세 미만 가구 부채 현황 소득1분위 30세 미만 가구 월평균 소득, 30세 미만 가구 부채 현황 청년가구가 떠안은 부채도 급증하고 있다. 위의 조사를 살펴보면 30세 미만 가구의 부채 보유액은 2385만원으로 전년(1681만원)보다 무려 41.9% 늘어났다. 2010년 이후 7년 동안 30세 미만 청년의 부채는 154.8%나 급증했다. ■관련기사 [표지 이야기]청년층 삶의 각종 지표는 최악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