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887 Page)

오늘의 뉴스 11681

신용회복 소요기간, 취약차주의 은행 비은행별 대출 비중, 취약 차주들이 대출을 많이 받은 비은행 금융기관

한국은행이 2017년 11월 30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면서 취약 차주와 영세 자영업자들의 이자상환 부담이 커지게 됐다. 특히 이들 다수는 대출금리가 더 높은 비은행권 대출이 많다. 한은은 지난 9월 말 가계대출 잔액을 기준으로 “금리가 0.25%포인트 오르면 가계의 연간 이자부담은 2조3000억원가량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했다. ■관련기사 [기준금리 인상]비은행권 대출 많은 영세 자영업자들 ‘발등에 불’

한·미 기준금리 추이

한국은행이 2017년 11월 30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며 사상 최저금리 시대에 마침표를 찍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린 것은 2011년 6월 이후 6년5개월 만이다. 이는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기준금리 인상 행렬에 동참하는 것이면서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경기 부양책과 맞물려 저금리에 의지해온 국내 경제의 운용 기조가 바뀌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관련기사 ‘초저금리 잔치’ 막 내린다…한은, 기준금리 1.5%로 인상

4차 산업혁명 분야별 과제 목표

정부는 2017년 11월 30일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혁신성장을 위한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을 발표했다. 지능화 혁신을 기반으로 산업 생산능력을 높이고 고질적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삶의 질을 높여 성장동력으로 연결하겠다는 것이다. 지능화에 초점을 맞춰 ‘I-KOREA 4.0’이라는 정책 브랜드도 개발했다. 문재인 정부 내 달성할 세부 목표도 구체적으로 밝혔다. ■관련기사 드론 순찰대·간병 로봇…5년 내 일상에서 본다

백화점 3사 출점 현황, 최근 5년간 국내 백화점 매출 추이,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3사 대형마트 점포 수

대형 백화점과 대형 마트 시대가 저물고 있다. ‘가성비’ 트렌드 확산과 온라인·모바일 쇼핑의 급성장, 의무휴업 등 유통규제 강화 등으로 유통산업을 주도하던 대형 오프라인 매장의 성장시대가 끝났다는 분석이 나온다. ■관련기사 백화점·대형마트 전성시대가 저문다

장기 소액 연체자 현황

정부가 원금 1000만원 이하 금액을 10년 이상 연체하고 있는 채무자 159만명을 상대로 소득 심사를 거쳐 빚을 탕감해주기로 했다. 빚 갚을 능력이 없는데도 오랫동안 소액 연체 때문에 고통을 받고 있는 취약계층을 보호하자는 취지다. 정부 예산 투입 없이 금융회사 등의 자발적 기부금을 활용하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관계부처 간 논의를 거쳐 2017년 11월 29일 이 같은 내용의 ‘장기 소액 연체자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 관련기사 [장기 소액연체자 빚 탕감]‘천만원 이하, 10년 이상’ 연체 대상…“부실대출, 사회가 책임져야”

전 세계 평균 연봉 상위 5개 스포츠구단 순위

영국 스포츠조사업체 스포팅인텔리전스가 최근 발표한 ‘2017 글로벌 스포츠 급여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오클라호마시티 선더 선수들의 평균 연봉은 929만7504달러(약 100억6000만원)로 조사 대상인 16개국 29개 리그 465개 팀 가운데 가장 많았다. 전체적으로 연봉 상위 10개 구단 가운데 7개를 NBA 구단이 차지했다. 축구팀은 3개였고, 미국 메이저리그 등 야구팀은 한 곳도 없었다. ■관련기사 평균이 100억…‘연봉 갑’ 오클라호마시티

도핑 기록을 상세하게 기록한 그리고리 로드첸코프의 일기

미국 뉴욕타임스는 2017년 11월 29일 단독 보도를 통해 러시아가 조직적으로 도핑을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그리고리 로드첸코프가 도핑 기록을 상세하게 정리한 일기를 공개했다. 러시아 반도핑기구(RUSADA) 산하 모스크바 실험실 소장으로 일한 로드첸코프는 지난해 1월 모스크바 법원이 체포영장을 발부하자 미국으로 망명한 뒤 자신이 어떻게 도핑을 도왔는지 등을 폭로했다. ■관련기사 러시아, 이번엔 ‘도핑 일기’ 발각

국가정보원법 개정안 주요 내용

국가정보원이 2017년 11월 29일 발표한 국정원법 개정안은 정치개입·인권침해·부정부패 요소를 제거해 순수 정보기관으로 거듭나겠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대공수사권 폐지, 직무 범위 구체화, 대공·대정부전복 업무 제외, 대외안보정보원으로 명칭 변경, 정치개입 근절조항 강화, 불법도청 금지, 예산통제 강화 등이 개정안 방향을 가리킨다. 국가안보와 관련된 순수 정보활동 기능만 남겨 오·남용 여지를 없애고 예산도 투명하게 편성·집행하겠다는 각오도 곁들였다. ■관련기사 [국가정보원법 개정안 발표]고문·조작에 악용 ‘대공수사’ 근거조항 통째 들어내 ‘원천 봉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