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시장 점유율 알뜰폰 가입자 및 시장 점유율 알뜰폰은 2011년 7월 이동통신 3사의 통신망을 도매대가로 빌려 기존의 통신요금보다 30%가량 저렴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로 시작됐다. 알뜰폰 가입자 수는 꾸준히 증가했고 지난 4월 기준 752만명(12.2%)을 넘어섰다. ■관련기사 알뜰폰 ‘이름 바꾸고 전파사용료 면제’되면 살아날까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09
포괄임금제 적용 현황 포괄임금제 적용 현황 문제는 ‘계산이 편하다’는 이유로 포괄임금제가 남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2016년 기준으로 전체 사업장 중 30.1%가 포괄임금제를 활용한다. 10인 이상 사업장만 따지면 52.8%나 된다. 포괄임금제가 장시간 노동을 부추긴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관련기사 [포괄임금제 논란] 연봉에 초과 근로수당 미리 포함…기업엔 ‘공짜 야근 자유이용권’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09
철강업체 지역별 수출량 2018년 한국 철강업체 지역별 수출량 지난 8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한국 철강업계는 올해 미국으로부터 263만t의 수출 물량 쿼터를 배정받았다. 이는 2015~2017년 3년간 미국 수출량의 70% 수준에 불과하다. 그나마 물량을 배정받았음에도 국내 최대 업체 포스코는 올해 열연강판과 냉연강판의 미국 수출을 접었다. ■관련기사 보호무역에 전기료 인상 임박…철강업계 ‘내우외환’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09
삼성전자 실적 추이 삼성전자 실적 추이 삼성전자는 올 2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 58조원, 영업이익 14조8000억원의 잠정 실적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14조700억원보다 5.2% 늘었지만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전분기(15조6400억원)보다는 5.4% 줄었다. ■관련기사 삼성전자, 실적 신기록 행진 ‘스톱’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09
자유한국당 지지도 추이 자유한국당 수도권·중도 지지도 추이 2017년 4월 마지막 주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한국당 지지율은 서울 11%, 인천/경기 12%를 기록했다. 중도는 4%였다. 한국당에는 중도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된 것이다. 친박이 득세한 2012년 총선부터 한국당은 끊임없이 TK(대구·경북)를 지향했다. ■관련기사 [표지 이야기]친박 득세할수록 수도권·중도 등돌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06
자치구별 월 소비 현황 서울 자치구별 월 소비 현황 자치구별로는 서초구가 202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강남구(195만원), 용산구(161만원), 송파구(156만원) 등의 순이었다. 중앙값에 가장 근접한 자치구는 양천구(142만원)였다. ■관련기사 서울시민, 한 달에 143만원 쓴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06
출생아 수 인구 변화 전망 출생아 수 인구 변화 전망 지난해 40만명 선이 최초로 붕괴됐던 연간 출생아 수 역시 올해 32만명으로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2000년대 중반부터 지금까지 1∼3차 저출산 대책을 5년 단위로 내놓은 데 이어 이날 당장 내년부터 실행할 ‘단기 대책’을 발표한 이유다. ■관련기사 [저출산 대책]올해 신생아 32만명 예상…출산율 1명 이하로 떨어질 듯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06
극장 관객 연령대별 비중 극장 관객 연령대별 비중 극장을 찾는 10~30대 관객이 감소하고 있다. 지난 5일 CGV 리서치센터 자료를 보면, 2012년 10대 이하 관객의 비중은 전체 관객 중 4.6%였다. 그러나 점차 줄어 지난해 3.0%, 지난 5월 기준 2.8%까지 떨어졌다. ■관련기사 극장을 벗어나는 Z세대의 영화…“인터랙티브 무비 등 외연 확장”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06
교자만두 시장 점유율 국내 교자만두 시장 점유율 현황 최근 시장조사기관 링크아즈텍에 따르면 국내 교자만두 시장에서 CJ제일제당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5월까지도 50%가 넘는 시장점유율을 보이며 압도적인 1위에 올라섰다. ‘비비고 왕교자’의 성공 비결로 풍부한 식감을 들었다. ■관련기사 ‘비비고 왕교자’가 왕입니다요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06
불법체류자 현황 불법체류자 현황 지난 5월 말 기준 불법체류자는 31만2346명으로 지난해 말(25만1041명) 대비 24.4% 증가했다. 특히 태국인 불법체류자는 57%나 증가해 1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태국인 불법체류자’ 정부·태국 공동대응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