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출하량 순위 올해 2분기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순위 1일 시장조사기관인 IHS마켓 등의 보고서를 보면 올해 2분기 화웨이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5400만대로 삼성전자(7100만대)에 이어 2위로 올라섰다. 그동안 2위를 지켜온 애플은 4100만대로 화웨이에 밀려 3위가 됐다. ■관련기사 화웨이, 스마트폰 시장 애플 제치고 2위 올라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02
삼성전자 실적 추이 삼성전자 실적 추이, 2018년 부문별 영업이익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매출 58조4800억원, 영업이익 14조8700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일단 매출이 전 분기 60조5640억원에서 3.4% 줄어들며 5분기 만에 60조원대를 밑돌았다. ■관련기사 삼성전자, 반도체 쏠림 클수록 더 깊어지는 ‘미래먹거리 고민’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01
누진제 개편 후 요금 비교 2016년 누진제 개편 전후 전기요금 비교 예컨대 올여름 월평균 전력사용량이 350kwh인 도시 거주 4인 가구를 기준으로, 소비전력 1.8㎾인 스탠드형 에어컨을 한 달간 하루 10시간씩 틀면 평소보다 17만7000원의 요금을 더 내야 한다. 그러나 2016년 누진제 개편이 되지 않았다면 이보다 22만1000원이나 많은 39만8000원을 추가로 납부해야 했다. ■관련기사 “2016년 누진제 개편 때 주택용 이미 대폭 경감”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8.01
미분양주택 현황 전국 미분양주택 현황, 임대아파트를 제외한 전국 아파트 분양 및 예정 물량 지난 30일 국토교통부 통계를 보면, 6월 말 현재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2050가구로 집계됐다. 2016년 8월(6만2562가구) 이후 22개월 만에 최대 규모다. ■관련기사 전문가들도 혼란스러운 ‘부동산 불확실성의 시대’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31
시·도별 여성 공무원 비율 시·도별 여성 공무원 비율 여성 공무원 비율을 지역별로 보면 부산이 40.9%(7483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시(39.5%)와 경기도(38.7%), 울산(37.3%), 광주(37.2%) 등의 순이었다. ■관련기사 부산, 여성 공무원 40.9%로 ‘최고’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30
전경련 태양광발전 생산량 전경련 회관 태양광발전 생산량 지난 29일 전경련에서 입수한 ‘전경련 회관 태양광발전 전력 생산량’에 따르면 이달 1~26일 이 건물에 탑재된 태양광발전 설비의 하루 평균 전력 생산량은 1839.94kwh로 집계됐다. 이는 1318kwh를 기록한 전년 동기와 비교해볼 때 39.5% 증가한 것이다. ■관련기사 더울수록 전력 걱정 없는 건물도 있더라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30
캐시슬라이드 화면 해제 횟수 캐시슬라이드 이용자 1일 스마트폰 잠금화면 해제 횟수 NBT가 캐시슬라이드 앱 이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하루 평균 60~100회 정도 잠금화면을 들여다보고 해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연령별로는 10대가 59회, 20대 106회, 30대가 104회였다. ■관련기사 내가 그냥 잠금화면 열 때, 남들은 앱테크로 돈 벌었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30
버즈스크린 이용 비율 버즈스크린 이용자 비율 이 같은 잠금화면 광고는 20~30대가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앱서비스인 버즈스크린의 이용자 비율도 비슷하다. 20대와 30대가 각각 25%, 37%로 전체 이용자 중 62%를 차지했다. ■관련기사 내가 그냥 잠금화면 열 때, 남들은 앱테크로 돈 벌었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30
공직자 부당 해외출장 현황 공직자 부당 해외출장 지원 현황 해외출장을 부당 지원받은 공직자들을 소속기관별로 보면 국회의원 38명, 보좌진·입법조사관 16명, 지방의회 의원 31명, 상급기관 공직자 11명 등이었다. ■관련기사 피감기관 돈으로 해외 간 의원 38명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7
선거비용 청구액·감액 현황 주요 선거 선거비용 청구액과 감액 현황 인구변화 등을 고려해 선거 때마다 상한액이 변한다. 이번 지방선거 지역별 상한선을 평균 낼 경우 시·도지사와 교육감은 14억1700만원, 구·시·군장은 1억5600만원 등이다. 정해진 선거비용 제한액의 200분의 1 이상을 초과해 지출한 경우엔 당선되더라도 무효다. ■관련기사 ‘6·13’ 선거비용 보전 …‘숫자싸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