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성장률 추이 전분기 대비 GDP성장률 추이 26일 한은이 발표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을 보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398조3351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0.7% 증가했다. 전 분기 대비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 마이너스 0.2%에서 올 1분기 1.0%로 반전됐지만 다시 축소됐다. ■관련기사 2분기 성장률 0.7%…투자 감소가 ‘발목’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7
플라스틱 폐기물·재활용률 추이 한국의 1인당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 및 재활용률 추이 국내 하루 평균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2003년 3956.4t에서 2016년 5445.6t으로 40% 가까이 늘어난 상태다. 배달음식에 딸려 오는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와 비닐봉지, 숟가락과 포크 등은 음식물이 묻어 재활용되지 않고 폐기되는 경우가 많다. ■관련기사 [‘배달 천국’의 민낯]포장 족발, 일회용품 16종…‘편리함’이 쌓는 플라스틱 쓰레기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7
EMME/2 미세먼지 감소효과 교통수요모형 ‘EMME/2’ 시나리오에 따른 미세먼지 감소효과 토론회에 앞서 공개한 한진석 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박사의 발표 자료를 보면 교통수요모형인 ‘EMME/2’ 활용 시나리오에 따른 효과 분석 결과 4~5등급 차량 운행 제한 시 도로 수송부문의 미세먼지 배출량이 27.6% 줄어드는 것으로 예측됐다. ■관련기사 4~5등급 노후차량 운행 제한 땐 서울 도로 미세먼지 27.6% 감소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7
여름철 최대 전력 실적 최근 5년 여름철 최대 전력 실적 전력거래소의 ‘전력수급 현황’을 보면 지난 25일 오후 4~5시 평균 전력 수요는 9040만㎾로 전력예비율은 9.8%를 기록했다. 최대전력수요가 사상 최대치인 9248만㎾를 찍고 전체 전력에서 여유 전력 비중을 뜻하는 예비율이 7.7%로 집계된 전날에 비하면 한시름 놓은 것이다. ■관련기사 전력수급 ‘7말8초’엔 한숨 돌린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6
5월 출생아 수 5월 출생아 수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인구동향’을 보면 출생아 수는 2만79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400명(-7.9%) 감소했다. 매년 5월 출생아 수 추이를 따져볼 때 통계청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0년 이후 가장 적은 규모이다. ■관련기사 출생아 26개월째 최저 행진…인구절벽 ‘성큼’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6
라오스 댐 건설 현황 라오스 수력발전댐 건설 현황 라오스통신에 따르면 2017년 현재 라오스에 46개 수력발전소가 가동되고 있다. 현재 건설 중이거나 계획 단계에 있는 발전소만 54개다. ■관련기사 라오스, 메콩강 쥐어짠 댐 건설 ‘재앙’으로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6
배달원 산재처리 현황 음식배달 종사자의 교통사고 경험 여부, 배달원 산재처리 현황 지난해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7년 6월까지 음식업 배달원의 산재사고 사상자 규모는 8447명에 달한다. 이 중 사망자는 164명이다. 이 같은 숫자에 배달대행업체와 계약을 맺은 이들은 포함돼있지 않다. 개인사업자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배달 천국’의 민낯] (2) 배송속도 무한전쟁 - “빨리빨리” 음식점 독촉에 배달 노동자들 ‘목숨 건 속도전’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6
역대 최고기온 순위 역대 최고기온 순위 기상청에 따르면 한반도 공식 최고기온은 일제강점기인 1942년 8월1일 대구의 40도였다. 1994년의 압도적 폭염이나 최근의 기후변화 추세를 보면 진작 깨졌을 법도 한데 그대로다. 지난 23일 비공식 기록으로 경북 경산 하양읍의 AWS에서 39.9도가 관측됐지만, 0.01도가 모자랐다. ■관련기사 설마 했던 40도 아마 넘을지도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6
배달앱 광고료 및 수수료 배달앱 광고료 및 수수료 시장점유율 1위 업체 배달의민족은 가맹점주로부터 기본 광고비 월 8만원과 건당 외부결제수수료로 3%를 받고 있다. 2위 요기요의 수수료는 12.5%의 중개료와 3%의 외부결제 등 총 15.5%에 달한다. 배달통은 기본 광고비 3만~7만원과 중개·외부결제로 5.5%의 수수료가 추가된다. ■관련기사 [‘배달 천국’의 민낯] (1) ‘갑’이 된 배달앱 - “1만5000원짜리 치킨 한 마리, 배달앱 수수료 최대 2325원”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6
배달앱 시장 점유율 배달앱 시장 점유율 배달앱 시장도 급성장 중이다. 올해 전체 배달음식 시장의 약 30%인 3조원을 찍고, 수년 내 10조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시장조사기관들은 내다보고 있다. ■관련기사 [‘배달 천국’의 민낯] (1) ‘갑’이 된 배달앱 - “1만5000원짜리 치킨 한 마리, 배달앱 수수료 최대 2325원”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