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통계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279 Page)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4307

노년부양비 추이

노년부양비 추이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가 늘어나고 출산율은 낮아지면서 노년부양비와 노령화지수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노년부양비는 올해 19.6명에서 2060년 82.6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노년부양비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인구)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를 의미한다. ■관련기사 65세 이상 고령자 “노후 생활비, 직접 마련” 응답 60% 처음 넘어

100대 그룹 배우자 출신 비중

100대 그룹 배우자 출신 비중 반면 재계끼리의 결혼은 절반이 넘는 52.5%로 부모 세대에서 49.3%였던 것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혼맥을 통한 ‘정경유착’이 상당 부분 해소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지만, 동시에 ‘강해진 금권’을 바탕으로 한 ‘끼리끼리 혼맥’이 강화된 것으로 볼 수도 있는 부분이다. ■관련기사 재벌가 ‘끼리끼리 결혼’ 늘었다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국내 사업자들은 한국 정부의 공공 데이터를 미국 정부가 들여다볼 수 있다는 정보 주권 침해 가능성을 제기했다. 해외 사업자를 견제하려는 여론전 성격이 크지만 전문가들은 근거 없는 우려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 ■관련기사 공공·금융분야 문 열어준 민간 클라우드 시장 장악한 미국계 빅4 기업이 잠식 우려

신규 주택 공급 전망

서울·수도권 신규 주택 공급 전망 국토교통부는 수도권 공공택지를 확보해 30만호, 도심개발을 통해 4만호 등 34만호를 추가로 공급하기로 했다. 이 중 20만호는 서울과 1기 신도시(분당·일산) 사이에 만들어지는 대규모 택지를 통해 공급된다. 시장에서는 위례신도시(677만㎡)의 절반 규모란 점에서 ‘미니신도시’로 받아들이고 있다. ■관련기사 [수도권 주택 공급 대책] 서울 옆 ‘신도시’ 2022년 첫 분양될 듯…신혼희망타운 올 12월에

수도권·비수도권 양극화 지표

수도권·비수도권 양극화 지표 일자리 중에서도 양질의 일자리가 수도권에 더 많다. 2014년 국내 1000대 기업의 본사 중 736개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다. 임금도 수도권이 높았다. 2016년 수도권의 월평균 임금은 315만원이었으나 지방은 89% 수준인 280만원이었다. 2015년 연구·개발(R&D) 투자의 67.3%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관련기사 [수도권 주택 공급 대책] 고만고만하던 서울·지방 집값 차이, 20년간 ‘악어 입’처럼 벌어졌다

아파트 거래가격 변동률

1998년 기준 연도별 아파트 거래가격 변동률 1998년 8월 대비 2018년 8월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전국이 168.32%다. 그러나 서울과 지방의 오름폭은 달랐다. 서울이 237.49% 오르는 사이 6대 광역시는 159.56% 상승에 그쳤다. 1억원 하던 아파트 가격이 서울에선 3억3749만원으로 오르는 사이 6대 광역시에선 2억5956만원으로 상승했다. ■관련기사 [수도권 주택 공급 대책] 고만고만하던 서울·지방 집값 차이, 20년간 ‘악어 입’처럼 벌어졌다

아동수당 신청률

아동수당 수혜 대상자 수 아동수당 제도의 첫 혜택을 받게 될 아이들이 192만여명으로 집계됐다. 보건복지부는 오는 21일 아동수당 첫 급여를 받는 아동이 총 192만3000명이라고 18일 밝혔다. 아동수당 신청률은 전북이 96.7%로 가장 높았고, 서울이 88.6%로 가장 낮았다. 서울에선 특히 강남구나 서초구, 송파구의 신청률이 낮았다. ■관련기사 아동수당 첫 수혜자 192만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