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복 세대별 구매 비율 밸리·재즈·살사댄스복, 세대별 구매 비율 판매를 끌어올린 큰손은 4050세대다. 40대와 50대의 지난해 댄스복 판매 신장률은 각각 5배와 8배 증가한 409%와 715%였다. 전체 판매 비중에서 40대가 45%, 50대가 27%로 전체의 72%에 달한다. ■관련기사 “건강·취미 한번에”…4050, 춤에 꽂혔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13
광주 봉선동 아파트 거래가격 광주 남구 봉선동 ㄱ아파트 거래가격 1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광주 봉선동 ㄱ아파트 전용면적 84.9㎡가 지난 7월 7억5800만원에 팔렸다. 2016년 12월 입주한 이 아파트는 2017년 1월 3억9000만원에 거래된 뒤 1년 만인 지난 1월 4억3000만원에 팔려 4000만원 올랐다. ■관련기사 광주 봉선동 아파트값 ‘수상한 급등’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13
연령별 취업자 증감 추이 8월 연령별 취업자 증감 추이 40대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5만8000명 감소했다. 지난 6월과 7월 각각 12만8000명, 14만7000명이 줄어든 데 이어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으로 10만명 넘게 취업자 수가 감소한 것이다. 감소폭으로 보면 1991년 12월(25만9000명) 이래 27년 만에 최대치다. ■관련기사 이번에도 ‘직격탄’ 맞은 40대 초반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13
산업별 취업자 증감 현황 8월 산업별 취업자 증감 현황, 8월 도·소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 감소율 상위 지역 제조업 취업자 수는 조선업·자동차 등의 구조조정 여파로 1년 전보다 10만5000명 감소했다. 제조업 일자리는 지난 4월부터 5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 최저임금 인상 영향이 큰 건물 청소원이나 경비원 등이 속하는 사업시설 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의 취업자는 11만7000명 줄었다. ■관련기사 도미노처럼…조선·자동차 등 제조업 위기, 자영업까지 타격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13
신규 취업자 증가 추이 2018년 월별 신규 취업자 증가 추이 올해 취업자 증가폭은 1월 33만4000명에서 2월 10만4000명으로 대폭 하락한 뒤 5개월 연속 10만명대 안팎에 머물렀다. 지난 7월 취업자 증가폭은 5000명에 그쳤고 8월에는 증가폭이 더 축소되면서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했다. ■관련기사 고용, 끝모를 추락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13
네이버웹툰 작가 연평균 수익 네이버웹툰 작가 연평균 수익 네이버웹툰은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작품을 연재한 웹툰 작가 300여명의 수익을 11일 밝혔다. 작가 개인의 외부활동을 제외한 네이버웹툰이 지급한 금액이 기준이다. 등단 1년 미만 신인 작가의 연평균 수익은 9900만원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네이버웹툰 연재 작가들, 연평균 수익 2억2000만원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12
노인 보행자 사고 다발지역 2015~2017년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부산 부전시장 일대로 42건의 사고가 발생해 1명이 숨지고 42명이 다쳤다. 그다음으로는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청과물도매시장(39건), 충북 청주 육거리시장(27건), 경기 의정부 의정부제일시장(23건), 전남 여수 중앙시장(21건) 일대 순이었다. ■관련기사 노인 보행 중 교통사고, 1위는 부산 부전시장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12
GDP 대비 공교육비 현황 국내총생산 대비 공교육비 현황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공교육 비용이다. 2015년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초등~고등교육 공교육비는 5.8%로 OECD 평균인 5.0%보다 높았다. 고등교육(전문대학 이상)에 대한 공교육비만 따지면 GDP 대비 1.8% 수준으로 평균보다 0.3%포인트 높았다. ■관련기사 부모 공교육비 부담 OECD 평균의 2배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12
대도시 신주택보급률 대도시 주요 시.군.구 신주택보급률 11일 경향신문이 입수한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기반 주택보급률 시·군·구별 자료를 보면 2015년 기준으로 서울에서는 강남(100.6%), 용산(105%), 서대문(102.5%)구의 주택보급률이 높았다. 서울 외에 대구 수성(104.1%), 부산 해운대(102.2%)도 주택보급률이 높았다. ■관련기사 집값 비싼 동네, 주택보급률 100% 넘었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12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 추이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올해 8월 말 기준 아파트 평균가격 KB국민은행 부동산 통계를 보면 올 들어 8월까지 서울 아파트 가격은 6.85% 상승했다. 반면 광주(1.90%), 대구(1.23%), 대전(0.60%) 등은 제자리걸음을 했고, 부산은 되레 1.06% 떨어졌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2016년 이후 2년 넘게 6대 광역시를 압도하고 있다. ■관련기사 가파르게 오르는 서울, 체념한 지방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