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통계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278 Page)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4307

한국광물자원공사 재무구조 전망

한국광물자원공사와 한국광해관리공단 통합기관의 재무구조 전망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백재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일 광해관리공단 등에서 제출받은 ‘통합기관 재무전망 추정치’를 보면 두 회사를 합친 통합기관의 자본 총계는 2017년 마이너스 66억원, 2018년 마이너스 2843억원, 2019년 마이너스 1570억원, 2020년 마이너스 3553억원, 2021년 마이너스 3573억원 등으로 자본잠식 상태를 벗어나지 못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단독]“광물자원공사, 광해공단과 합쳐도 자본잠식 지속될 것”

2018년 제주 관광객 추이

2018년 제주 관광객 추이 한국은행제주본부가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를 보면 올해 2분기 제주 방문 내국인 관광객(360만명)은 전년 동기에 비해 0.4% 줄었다. 2014년 2분기 이후 4년 만에 감소로 전환된 것이다. 문제는 관광객 감소세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여름 성수기인 7월과 8월에도 각각 5.7%, 7.3% 줄었다. ■관련기사 제주도, 내국인 관광객 4년 만에 줄었다

2030세대 주택 마련 평균 기간

2030세대 주택 마련 평균 기간 2030세대는 버는 돈을 한 푼 안 쓰고 15년4개월 동안 모아야 서울에서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4년 1분기엔 10년이 걸렸으나 2015년 4분기엔 12.3년, 지난해 4분기에는 13.7년으로 길어졌다. 2030세대의 소득 증가속도가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추석 이후 부동산] 2030, 서울 아파트 마련에 15년4개월

한부모 가구

한부모 가구 지난해 한부모 가구는 전체 가구의 7.8%를 차지했으며 미혼모가 미혼부보다 2.6배가량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1일 내놓은 ‘계간 KOSTAT 통계 플러스 가을호’를 보면 지난해 한부모 가구는 153만3000가구였다. 한부모 가구란 한부모의 법적인 혼인상태가 미혼·이혼·사별 중 하나이고, 미혼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가구를 뜻한다. ■관련기사 한부모 가구 153만…미혼모가 미혼부보다 2.6배 많아

만5세미만 인구 비중 지역 순위

만5세미만 인구 비중이 10% 이상인 지역 순위 국토연구원은 “2017년 말 기준 전체 거주자 대비 5세 미만 영·유아(이하 영·유아)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경북 구미시 산동면”이라며 “영·유아 숫자가 가장 많은 곳은 경기 화성시 동탄 4동”이라고 28일 밝혔다. 산동면의 영·유아 비중은 12.6%였고, 화성시 동탄 4동 영·유아 수는 8575명이었다. ■관련기사 일자리 많은 동네, 아이들 웃음소리 컸다

1인 가구 주거 점유형태 추이

1인 가구 주거 점유형태 변화추이 통계청이 28일 공개한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 가구의 현황 및 특성’ 중 점유형태별 비중을 보면 2015년 기준 보증금 있는 월세를 내고 사는 1인 가구는 36.0%였다. 2000년(21.2%)에 비해 14.8%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보증금 있는 월세는 1인 가구의 점유형태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관련기사 미혼 1인 가구 절반 ‘월세살이’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현황

주요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현황 시장금리의 지속적인 상승 여파로 국내 주요 시중은행의 잔액 기준 코픽스 연동 주담대 금리는 현재 4%대 중·후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미 연준이 오는 12월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이럴 경우 주담대 최고금리는 연내 5%를 넘어설 수 있다. ■관련기사 [미국 기준금리 인상 ]미, 12월 추가인상 예고…주담대 금리 연내 ‘5% 벽’ 뚫리나

신규 공직자 재산 총액

6·13 지방선거 신규 공직자 재산 총액 신고 대상자 가운데 오거돈 부산시장이 87억1448만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다. 오 시장은 본인 명의로 경기 여주시와 경남 김해시 등지에 29필지(실거래액 8억3555만원)의 토지를 갖고 있었다.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는 본인 명의로 된 아파트 한 채(11억1200만원)도 있다. ■관련기사 6·13 지방선거 당선 신임 공직자 평균 재산 8억여원

유통채널별 실질수수료율

유통채널별 중소·대기업 간 실질수수료율, 실질수수료율 1위 업체 대형마트(오프라인 기준)도 중소기업에는 22.3%를 부과하면서도 대기업에는 20.5%만 적용했다. TV홈쇼핑도 대기업에는 30%를, 중소기업에는 30.2%를 부과했다. 대형 유통업체들이 중소기업과 대기업에 각기 다른 실질 수수료율을 부과하는 가장 큰 이유는 협상 경쟁력과 상품 유형 때문이다. ■관련기사 대형 유통업체들, 납품 수수료율 갑질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더 허리 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