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통계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146 Page)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4307

2020년 예산 현황

국회에서 감액·증액된 2020년 예산 현황 SOC 예산은 국회 심의를 거치면서 9000억원이 더 늘어나 최종적으로 지난해보다 17.6% 증액됐다. 보건복지 예산은 1조원가량 감액됐지만 나라살림연구소에 따르면 대부분 ‘회계적 삭감’이다. 비용을 재산정한 결과 국민연금 급여지급 4000억원, 공무원연금 급여지급 3000억원이 줄어들었다. ■관련기사 [내년 예산 512조원]정부안보다 9000억 늘어난 SOC 예산…‘토목’으로 경기부양

11월 취업자수

11월 취업자수 증가 상·하위 업종 및 연령대 취업자는 60세 이상(40만8000명)과 20대(7만명)에서 많이 늘었다. 60대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증가(13만5000명)의 영향을 받았다. 이 중 10만개가량은 정부 노인일자리다. 전체 취업자의 24%를 차지하는 40대는 취업자가 가장 많은 17만9000명 감소했다. ■관련기사 취업자 33만명 늘었지만…40대 한숨은 더 깊어졌다

중견기업 현황

2018년 중견기업 현황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2018년 중견기업 기업경영분석(시험편제) 결과’를 보면 지난해 국내 중견기업들의 매출액 증가율은 1.4%로, 2017년 6.8%에 비해 큰 폭으로 낮아졌다. 이는 대기업(2.7%)과 중소기업(5.9%) 평균치보다 낮은 것으로, 지난 한 해 중견기업이 성장하지 못하고 정체를 겪었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중견 제조업체, 수익·성장 모두 악화

부산 아파트 가격지수

부산 아파트 매매 가격지수 변동률 추이 규제가 풀린 이들 지역의 아파트값 변화는 부산 전체 추이보다 더 두드러진다. 대개 2017년 9월부터 집값이 하락해 올해 10월 말을 기점으로 보합이나 상승세로 돌아섰다. 해운대구는 10월 마지막 주 0.06% 올라 상승세로 전환한 데 이어 조정대상지역 해제 직전인 11월 첫째 주에 보합을 기록했다 해제 이후에는 0.42%, 0.71%, 0.69%, 0.30% 올랐다. ■관련기사 치솟는 부산 집값, 정부 또 헛발질

예산 총지출 규모

2020년 예산 총지출 규모 변화, 분야별 국회 증감 규모 한국당의 반발 속에 처리된 이번 예산안은 정부가 내놓은 513조4580억원 규모의 정부 원안에서 1조2075억원을 삭감한 총 512조2504억원 규모다. 7조8674억원이 증액되고 9조749억원이 감액됐다. 올해 예산 469조6000억원보다 9.1%(42조7000억원)가 증가한 규모다. ■관련기사 유아 교육·보육 2470억 늘고…산업·에너지 2000억 줄어

사업별 여유자금 비율

적립금 많은 사업성 기금 10일 나라살림연구소가 67개 기금 결산자료를 분석한 결과 사업비 대비 여유자금의 비율이 150%가 넘는 기금은 총 11개로, 액수로는 총 14조3000억원에 이른다. 영화발전기금은 5056억5500만원을 쌓아놓고 있었으며 2000억원가량을 영화산업 모태펀드에 투자하는 데 사용했다. ■관련기사 ‘칸막이’ 뒤에서…나랏돈 14조3000억이 자고 있다

대기업 상표권 사용료

상표권 사용료 규모 상위 5위 기업, 대기업 연도별 상표권 사용료 추이, 상표권 사용료 수취회사의 총수일가 지분율 현황 공정위 분석 결과 지난해 대기업집단 내에서 거래된 상표권 사용료는 총 1조2854억원이었다. 2014년 8654억원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증가해왔다. 집단별로는 LG(2684억원)·SK(2332억원)·한화(1529억원)·롯데(1032억원)·CJ(978억원) 순으로 많았다. ■관련기사 대기업 상표권 수익 1조2854억…총수일가 부당이익 우려

가사노동자 부당 대우

가사노동자가 부당한 대우 중 가장 참기 힘든 경험, 가사서비스 일자리 제도화 시행시 참여 의향 실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4.6%(가사)~60.2%(육아)가 ‘업무 이상의 지나친 요구’를 받은 경험이 있으며, 14.8%(육아)~31.8%(가사)가 과도하게 감시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병인의 경우 특히 인간적인 무시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사람이 전체 응답자의 31.2%를 차지했다. ■관련기사 [특집]가사노동자, 헌법소원을 내다

생애주기 수지 현황

2016년 1인당 생애주기 수지 현황 노동연령층(15~64세)은 112조7000억원의 흑자를 봤다. 유소년(0~14세)은 130조4000억원, 노령층(65세 이상)은 92조4000억원의 적자로 나타났다. 1인당 평균으로 보면 한국인들은 출생부터 적자구간을 보이다 27세가 되어서야 흑자구간에 진입한다. 노동소득이 소비규모를 넘어서는 나이가 평균 27세란 의미이다. ■관련기사 한국인, 16세 때 가장 많이 지출…41세에 가장 많이 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