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249 Page)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5379

자치경찰제 도입 협의안

자치경찰제 도입 당·정·청 협의안 자치경찰본부장과 자치경찰대장 임명권은 시·도지사가 갖는다. 지역 주민들의 투표로 뽑힌 시·도지사가 자치경찰을 임명하게 되기 때문에 경찰에 대한 민주적 통제가 가능해지는 측면도 있다. 당·정·청은 자치단체장의 권한 남용을 방지하고 자치경찰의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독립된 합의제 행정기관인 시·도경찰위원회를 설치해 자치경찰본부를 관리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닻 올린 자치경찰제]‘주민 밀착형 치안’ 목표…검경 수사권 조정도 속도 낼지 주목

남북경협 투자비 추산

한반도 신경제구상 10대 남북경협사업의 20년간 투자비 추산 사업별로 보면 개성공단 확장 및 추가 공단 조성 비용이 15조8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에너지협력 사업(15조7000억원), 철도도로연결 사업(11조1000억원), 서해평화경제지대 조성(6조9000억원), 농수축산 협력사업(5조2000억원), 금강산국제관광벨트 사업(4조3000억원) 순이다. ■관련기사 [한반도가 경제다] ⑥ ‘개성공단 확대’가 남북경협 효과 가장 크다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계획 동아시아철도공동체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8·15 경축사에서 제안한 것으로, 동북아시아를 철도로 연결해 경제공동체를 만든 뒤 이를 통해 평화공동체로 가자는 구상이다. 간선축은 동북아 대도시를 잇는 ‘다롄~선양~창춘~하얼빈(921㎞)’과 ‘심양~평양~개성~서울(695㎞)’로 이를 통해 고부가 특송화물을 운송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동아시아철도공동체 동북아 5국 협의부터”

폐로 검토 중인 원전

일본에서 폐로 결정 또는 검토 중인 원전 규슈전력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도입된 새로운 규제기준에 따른 안전대책비가 9000억엔(약 9조1000억원)에 이르는 데다, 규제기준에 맞춘 테러대책시설의 토지 확보가 불가능하다는 점 등을 고려해 폐로를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일본 원전 엇박자…정부선 ‘확대’, 기업은 ‘축소’

KBO리그 황금세대

역대 KBO리그 황금세대 본격적으로 ‘황금세대’로 명명된 이들은 박찬호를 중심으로 한 ‘92학번 세대’다. 박찬호와 정민철, 임선동, 조성민 등이 주목받았다. 한국프로야구 마지막 ‘황금세대’는 ‘88둥이’ 좌완 3인방이다. 한 살 많은 류현진과 SK 김광현, KIA 양현종이 오랫동안 리그를 대표하는 에이스 역할을 해 왔다. ■관련기사 류현진·김광현·양현종 이후 10년…새 ‘황금세대’ 탄생 기대감

세종·부산 스마트시티

세종·부산 스마트시티 공간 구상 세종시 연동면 5-1 생활권(274만㎡)에 들어서는 시범도시는 ‘시민의 일상을 바꾸는 스마트시티’가 목표다. 모빌리티, 에너지·환경, 문화·쇼핑 등 7대 서비스를 구현할 공간계획을 세우고 있는데, 자율주행이나 공유 기반의 교통수단 전용도로가 만들어진다. ■관련기사 세종 ‘AI·블록체인’ 부산 ‘로봇·물관리’ 스마트시티 만든다

로컬푸드 마케팅

외식업계 로컬푸드 마케팅 도미노피자는 지난달에는 영남 및 광주 의 20개 매장에서 국내산 문어와 가쓰오부시를 얹은 ‘참맛 문어피자’를 한정판매하며 50대 이상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기도 했다. 본도시락을 운영하는 본아이에프는 여수에서 공급받은 꼬막을 사용한 ‘여수 꼬막 불고기 도시락’을 출시한 지 4일 만에 1만개 이상의 판매량을 올리기도 했다. ■관련기사 농가 좋고 기업 좋고…상생의 ‘로컬푸드’ 줄잇는다

서울시내 수소충전소

서울시내 새로 생기는 수소충전소, 규제 샌드박스 1호 사업 4가지 국회 수소충전소는 차량 접근이 편리한 국회 경비대 옆 200~300평 부지를 활용해 하루에 승용차 50대를 충전할 수 있는 250㎏ 규모로 설치된다. 양재와 탄천에 들어서는 수소충전소는 국회보다 3~4개월가량 늦게 완공될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세계 첫 ‘국회’에 수소충전소…“국민 불안감 해소 도움 줄 것”

남북 국제평화역

남북 국제평화역 현재 경의선 철도를 이용해 북측으로 이동하려면 남측 도라산역과 북측 판문역에서 두 번 정차해 출입국심사를 거쳐야 하므로 장시간이 소요된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측 중간지점에 국제평화역을 건설해 남북이 공동관리하는 방안을 구상한 것이다. ■관련기사 경기, DMZ에 ‘남북 국제평화역’ 설치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