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248 Page)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5379

고교학점제 운영 체계도

고교학점제 학사제도 운영 체계도 고교학점제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교육공약 1호다. 제도의 핵심은 ‘학점’이 아닌 ‘선택권’이다. 대부분의 학생이 학기 초 나오는 시간표에 따라 동일한 과목을 공부하는 현재 고등학교 교육체계를 벗어나 대학생처럼 자신의 흥미에 따라 수업시간표를 짤 수 있게 선택권을 넓혀주자는 것이다. ■관련기사 학점 아닌 ‘선택권’ 방점…학생 평가방법 큰 변화 ‘기대 반 우려 반’

공화주의 핵심 특징

윤평중·김호기 교수의 공화주의 '강의' 현대적 공화주의는 세 가지가 핵심 요소이다. ‘시민적 덕성’과 ‘법의 지배’, 그리고 ‘비지배적 자유’가 그것이다. 시민적 덕성과 법의 지배는 전통적 공화주의에서도 강조돼왔던 사항이다. 공화주의는 자유주의와 비교할 때 의미가 선명해진다. ■관련기사 [신년기획]다·만·세 100년, 대립 개념 오해 받지만 ‘민주’ 옆엔 ‘공화’가 단짝이었죠

김정은 시찰 유력지

김정은 국무위원장 시찰 유력지 로이터는 김 위원장의 방문 예정지로 박닌성과 하이퐁을 꼽았다. 하노이에서 각각 약 45㎞, 110㎞ 정도 떨어져 있는 대규모 산업단지다. 이들 도시는 도이머이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연평균 6~7%대에 이르는 높은 경제성장률을 견인하는 곳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김정은, 도이머이 성공 견인 산업도시 둘러보며 경제 공부”

공화주의 역사

공화주의 역사 1919년 4월11일 중국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된 직후인 4월23일 경성에서 국민대회가 열렸다. 일단의 학생들이 깃발을 들고 만세를 부르다가 일경에 체포됐다. 그리고 100년 가까운 시간이 흐른 2016년과 2017년 서울 광화문광장.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수백만 시민의 촛불집회가 이어졌다. ■관련기사 [신년기획]다·만·세 100년, 만세시민이 쏘아올리고 촛불시민이 되살린 ‘공화주의’

스피릿과 오퍼튜니티

화성과 달의 탐사 로버들이 이동한 거리, 숫자로 보는 스피릿과 오퍼튜니티 지난 15년 동안 오퍼튜니티가 촬영해 지구로 보낸 사진은 360도 컬러 파노라마 사진 15장을 포함한 21만7594장이다. 오퍼튜니티는 평균 이동속도는 초속 1㎝가량인데 15년여 동안 움직인 거리가 마라톤 전체 구간보다 긴 45.16㎞다. 이는 화성과 달에 착륙한 탐사 로버들 중 가장 긴 기록이다. ■관련기사 태양계에 잠든 ‘오퍼튜니티’와 ‘케플러’…후배들의 도전은 계속된다

전세자금 안심대출

전세보증보험의 상환보증과 반환보증 차이, 전세자금 안심대출 주요 내용, 개정된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주요 내용 반환보증은 앞선 윤씨의 경우처럼 계약이 종료됐는데도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주지 않을 때 보증기관이 대신 전세금을 돌려주는 상품으로, HUG가 보증하는 ‘전세자금 안심대출’이 대표적이다. 이 상품은 보증금 분쟁이 발생해도 HUG가 채권보전 절차를 전담해 세입자는 크게 신경 쓸 일이 없다는 것도 장점이다. ■관련기사 전세자금 대출받을 때 ‘반환보증’도 가입해두면 일단 ‘안심’

LH 매입·전세임대주택 공급안

한국토지주택공사(LH) 올해 청년·신혼부부 대상 매입·전세임대주택 공급 계획 신혼부부 전세임대주택은 입주자가 원하는 전셋집을 LH가 집주인과 계약을 맺은 뒤 저렴한 비용으로 재임대하는 방식이다. 최초 임대기간 2년이 지나면 2년 단위로 9번 재계약이 가능해 최대 20년간 살 수 있다. LH는 올해 이 같은 방식으로 청년 및 신혼부부에게 매입·전세임대주택 7892가구를 공급한다. ■관련기사 청년·신혼부부 위한 ‘매입·전세임대주택’ 문턱 낮췄다

건강기능식품 이용법

안전한 운동 보충제, 건강기능식품 이용법 굳이 전문 해외직구 사이트를 찾지 않아도 구글에 성분명을 검색해보면 국내 주요 온라인 쇼핑몰에 해외직구로 구매할 수 있는 관련 상품 목록이 수십개 뜨기도 했다. 국내선 의약품에 해당되는 수입 보충제들이 온라인에 버젓이 팔리다가 적발되는 등 논란이 일기도 한다. ■관련기사 안전하다는 헬스 보충제, 알고보면 ‘금지 성분’ 수두룩

NFC 유치 신청 지자체

축구종합센터 유치 신청 지자체 경기도 6곳(이천시, 안성시, 김포시, 하남시, 여주시, 용인시), 경상북도 6곳(경주시, 문경시, 영천시, 영주시, 상주시, 예천군), 경상남도 3곳(양산시, 남해군, 합천군), 전라북도 3곳(군산시, 남원시, 장수군), 전라남도 1곳(순천시) 등 대한민국 전역에서 신청을 했다. ■관련기사 ‘제2의 NFC를 품어라’

로힝야 마을 교육 실태

박탈된 교육의 기회 로힝야 마을 주민들은 대체로 정규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 아디와 인터뷰한 춧핀 마을 주민 40명 중 9명만 학교를 다녔다. 9명 중 5명은 초등교육을 마치지 못했다. 최고학력은 10학년(고1)이었다. 뚤라똘리 마을에서도 78%의 주민이 정규교육을 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로힝야 학생들은 대학입학 시험도 치를 수 없었다. ■관련기사 [단독] [로힝야 학살 보고서] (3) 뿌리 깊은 차별과 박해 - “우리 아이들은 학교·병원도 못 간다”…혐오와 탄압, 결국 학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