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김정은 시즌별 성적 비교 김정은은 올 시즌 11경기를 뛰는 동안 경기당 평균 12.9득점(9위)에 4.4리바운드, 3.4어시스트(6위)를 기록 중이다. 시즌 개막 2연패를 당하며 불안하게 출발한 우리은행이 이후 5연승, 1패 뒤 다시 3연승으로 반등한 데에는 되살아난 김정은의 역할이 컸다. 바닥까지 떨어진 지난 2년간을 떠올리면 충분히 부활이라고 표현해도 어색하지 않다. ■관련기사부활 날개 활짝 김정은 “아직은 70점”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7.12.08
러시아 불참시 평창올림픽 메달순위 그레이스노트가 예상한 평창올림픽 메달순위 ‘동계올림픽 강국’ 러시아가 평창올림픽에 불참하면 메달 경쟁에서 노르웨이, 독일이 득을 가장 많이 볼 것으로 전망됐다. 세계적인 데이터분석 업체 ‘그레이스노트’는 2017년 12월 7일 평창올림픽에서 러시아가 완전히 불참할 경우 메달 순위를 예측했다. 러시아가 정상적으로 출전해 따낼 수 있는 메달은 21개로 전망됐다. 그 중 15개가 종합순위 10위 이내 국가에 재분배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IOC, 러시아 ‘평창 출전’ 불허]한국은 ‘반사이익’ 없을 듯러시아 완전 불참시 예상해 본 ‘평창 메달 순위’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7.12.08
SRT 회원 지역별 분포, SRT 승차권 발권 방식 SRT가 2000만 고객 달성을 목전에 두고 2017년 12월 9일 개통 1주년을 맞이한다. 혁신과 안전, 신뢰를 핵심가치로 내걸고 첫걸음을 뗀 지 만 1년을 맞이한 SRT는 개통 1년 동안 1882만의 고객이 이용하는 탁월한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KTX와 비교해 평균 10% 저렴한 운임과 10분 빠른 도착, 10가지 특별한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혁신경영은 철도산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계기가 됐다. ■관련기사 SRT 개통 1주년…연 2000만 고객 달성 ‘초읽기’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7.12.08
2017 경향신문 광고대상 수상작 2017년 한 해도 신문은 브랜드와 소비자를 이어주는 플랫폼으로 제 역할을 해냈다. 지금으로부터 130년 전 광고가 처음 신문에 실린 초기에는 ‘고백(告白)’이란 말과 함께 쓰였다. 2017년 경향광고대상은 이렇게 기업과 브랜드가 소비자를 향해 진솔하게 전달한 수많은 고백 중에서 우수한 작품을 선정해 광고산업과 신문광고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 수고를 격려하고 기념하고자 했다. ■관련기사[2017 경향광고대상] 심사평 - 광고는, 기업과 브랜드의 가슴 떨리는 ‘고백’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7.12.08
한양건설·삼보종합건설 과징금 감경 의혹과 공정위 해명 내용 공정거래위원회가 담합으로 걸린 건설업체들의 과징금을 감경해주면서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고, 명확한 근거도 없이 해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시멘트업체 성신양회에 대해 제출 자료의 오류를 적발하지 못해 과도하게 과징금을 깎아준 사실이 드러난 데 이은 것이어서 공정위 과징금 감경 절차에 허점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관련기사 [단독]공정위, 건설사 2곳 담합 과징금 절차·근거 없이 감경 의혹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7.12.08
아이폰 모델별 내장메모리 최대 용량 변화 2017년 12월 7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이르면 내년도 삼성전자 ‘갤럭시S9’이나 애플 ‘아이폰’ 신제품의 내장메모리는 현재의 두 배 수준인 512GB(기가바이트)가 될 가능성이 유력하다.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대중화되기 시작한 아이폰3G 모델의 용량이 16GB였던 점을 감안하면 10여년 만에 스마트폰 메모리가 32배 커진 것이다. 저장 능력이나 처리 능력이 월등해져 그동안 정보를 획득하는 기기로서 주로 기능했던 스마트폰이 노트북PC처럼 정보를 생성하는 도구로 탈바꿈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관련기사 폰이 접히고 용량 커지면 노트북 대신할 수 있을까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7.12.08
스마트폰 전작 대비 가격 인상률 최상위 주력 모델 전작 대비 가격 인상률 과거 피처폰,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PMP, 전자사전, 내비게이션 등을 스마트폰이 흡수한 데 이어 PC 영역까지 노리게 된다. 기술 발전에 따른 산물로도 볼 수 있지만 일부 신흥국을 제외하면 90% 이상 스마트폰이 보급된 상황에서 제조사들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수익성을 확대하기 위해 초프리미엄 전략을 펴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작 관건은 높아지는 가격만큼 소비자를 설득시킬 혁신성이 있느냐다. ■관련기사 폰이 접히고 용량 커지면 노트북 대신할 수 있을까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7.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