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 재산 현황 고위공직자 재산 현황 재산공개 대상 고위공직자 가운데 증가액 상위를 차지한 공직자들은 지난해 토지와 건물, 주식 등으로 자산을 수십억원에서 수백억원까지 불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재산공개 대상 공직자의 부동산, 주식을 통한 재산 증가액 평균도 약 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고위공직자 재산 평균 1억 늘었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2.03.31
민간보조사업 예산 현황 민간보조사업 예산 현황 정부의 올해 민간보조사업 지원 예산은 약 22조9000억원이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관련기사 정부, 민간사업 지원금 ‘퍼주기’ 없앤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2.03.31
외·내국인 질병 산재 신청 현황 외·내국인 질병 산재 신청 현황 하루 6시간 넘게 쪼그려 앉은 채 반복 작업을 하다가 몸을 다치고도 치료조차 받지 못하고 귀국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지난해 질병 산재 신청을 한 이주노동자는 371명으로 전체 신청자(2만4500명)의 1.5%였다. ■관련기사 [5%의 한국]② 낯선 땅, 낯선 죽음 - 숨진 이주노동자, 3명 중 1명은 ‘원인 모름’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2.03.30
서울 경력단절 여성 현황 서울 경력단절 여성 현황 28일 ‘2021 서울시 성인지 통계’를 보면, 육아·출산 등으로 일을 쉬고 있는 만 15~54세 이하 여성은 2020년 상반기 기준으로 서울에만 23만543명에 이른다. 사실상 여성들은 거의 전 연령대에 걸쳐 가정 내 돌봄 역할 탓에 일을 그만두게 되는 것이다. ■관련기사 잠시 멈췄을 뿐, 못 돌아가는 게 아냐…여성 재취업 ‘징검다리’ 있다면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2.03.29
만기연장·상환유예 대출 잔액 만기연장·상환유예 대출 잔액 정부가 중소기업·소상공인의 금융권 대출 만기연장과 원리금 상환유예 조치를 6개월 추가 연장했다. 올 1월까지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된 대출원리금은 총 291조원(116만5000건), 잔액 기준으로는 133조4000억원(70만4000건)이다. ■관련기사 “소상공인 대출, 연장·유예보다 ‘정부 재정으로 채무조정’ 필요”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2.03.29
연령별 취약차주 연체율 연령별 취약차주 연체율 다중채무자·저신용자·저소득자 등 취약 차주(돈 빌린 사람) 중에서 20~30대 청년의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대출 차주 중 취약차주의 비중을 연령별로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청년층(6.6%) 비중이 여타 연령층(5.8%)보다 높았다. ■관련기사 대출 부실 경고등 켜진 ‘청년·자영업자’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2.03.25
사회적 차별 경험률 사회적 차별 경험률 국민 10명 중 1명은 여전히 경제적 지위나 고용형태, 성별, 연령 등에 따라 사회적 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실시한 ‘국가인권실태조사’에 따르면 2020년 전체 13%에 달하는 국민이 경제적 지위 때문에 차별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나이 들고 소득 낮을수록…“외롭고 차별받는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2.03.25
보유세 완화 방안 모의분석 보유세 완화 방안 모의분석 정부가 23일 1가구 1주택자의 보유세 부담 완화 방안을 공개하면서 1주택자의 올해 재산세는 지난해와 동일하고, 종합부동산세는 주택별로 1.2~3.8%가량 소폭 인상된다. 특히 전체 공동주택 10가구 중 9가구에 해당하는 공시가격 6억원 이하 1가구 1주택자의 경우 올해 재산세가 지난해보다 낮아진다. ■관련기사 1주택 재산세, 공시가 올라도 작년 수준…6억 이하는 되레 줄어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2.03.24
광역교통 권역별 출퇴근 시간 광역교통 권역별 출퇴근 시간 직장인들은 출근하는 데 평균 52분을 쓰고, 퇴근에는 59분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발생 직후인 2020년 대중교통 이용량은 전년도 대비 26.8%까지 크게 감소했다. ■관련기사 출퇴근 ‘교통 지옥’ 1위? 서울·수도권 아닙니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2.03.24
연령별 인구 비중 연령별 인구 비중 해마다 늘어났고, 늘어나는 것이 당연해 보이던 취업자 수가 2024년부터는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는 역대 처음으로 ‘일할 사람이 줄어드는 시기’에 일자리를 만들어야 할 과제를 안게 됐다. ■관련기사 2024년 ‘취업자 마이너스 시대’…새 정부 일자리 정책 ‘저출생·고령화·지역불균형’ 대안 담아야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2.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