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가계대출 증가액 올해 5대 시중은행 가계대출 증가액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주택담보대출을 포함한 가계대출은 8월 들어 다시 급증세를 보였다. 4일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달 말 가계대출 잔액은 552조3921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달에 비해 8월 한 달 새 4조6549억원 늘었다. ■관련기사 주담대·신용 이어 퇴직금 중간정산…부동산 열기에 ‘영끌 대출’ 용어 등장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05
8월 소비자물가동향 8월 소비자물가동향 통계청이 4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상승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2017년 9월(2.1%) 이후 11개월 연속 1%대 상승률을 보였다. 폭염이 한반도를 덮치면서 농산물 가격은 지난해 8월보다 7.0% 올랐다. ■관련기사 농산물 값 폭등에도…물가지수 1%대 왜?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05
사당역~남태령고개 버스전용차로 서울 사당역~남태령고개 중앙버스전용차로 연장 서울시 동작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BRT)가 오는 7일 확대 개통된다. 서울시는 동작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사당역(동작대로 방배경찰서)에서 과천대로 남태령고개(서울시계)까지 2.8㎞ 연장해 이날 오전 4시 개통한다고 4일 밝혔다. ■관련기사 서울 동작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7일 확대 개통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9.05
담낭 질환 치료 비교 초기 10년과 후기 10년의 담낭 질환 치료 비교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간담췌 외과 신준호·이성열 교수팀이 1997년부터 2016년까지 수술을 시행한 8000건의 담낭 절제술을 분석한 결과 담낭염이 86.7%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11.6%는 담낭 용종과 같은 양성 종양, 1.7%는 담낭암으로 진단받았다. 치료법의 발전으로 개복 수술의 비율이 크게 감소했다. ■관련기사 무리한 살빼기, 윗배 쥐어짜는 ‘담석증’ 부른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05
한국 대이란 교역 현황 한국 대이란 교역 현황 대이란 교역은 매년 수출보다 수입이 많아서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7월 한국의 대이란 교역은 수입과 수출이 각각 38억9393만달러와 19억4119만달러로 19억5274만달러 적자다. ■관련기사 미국 제재 고삐에…이란중앙은행 원화배정 중단 ‘미수금’ 늘어나 수출기업, 밤잠 설친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04
추석 성수품 가격 동향 주요 추석 성수품 가격 동향 지난달 하순 기준 사과(아오리) 10㎏당 도매 가격은 4만2123원으로 평년 대비 66% 높다. 배(원황)도 15㎏ 기준 4만2338원으로 평년 대비 39% 상승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기상불량의 영향으로 상품 과일의 비중이 감소하면서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추석 3주 남았는데…성수품 물가 벌써 폭등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04
중국·아프리카 무역 규모 중국-아프리카 무역 규모 추이, 숫자로 보는 중국-아프리카 협력 아프리카 시장에 수십년간 공을 들여온 중국은 현지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중국과 아프리카 간 무역액은 2000년과 비교해 무려 17배 증가했고 중국의 아프리카에 대한 투자도 100배 이상 늘어났다. ■관련기사 시진핑 “중국과 아프리카는 운명공동체”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04
아슈라프 마르완 프로필 이스라엘의 스파이 아슈라프 마르완 프로필 마르완은 1966년 7월 모나와 결혼하면서 나세르의 사위가 됐다. 그의 보좌관으로도 일했다. 동시에 ‘천사’라는 암호명으로 이스라엘 정보기관 모사드에 협력한 스파이기도 했다. ■관련기사 넷플릭스 영화 ‘코드명 엔젤’로 재점화, 아슈라프 마르완 미스터리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9.04
2018년 서울 아파트 가격상승률 2018년 기준금리 및 서울 아파트 가격상승률 3일 KB국민은행 자료를 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달에 비해 1.17% 상승했다. 지난 3월(1.25%) 이후 5개월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다. 올 들어 8월까지 누적으로는 6.85% 올라 지난해 상승률(5.28%)을 추월했다. ■관련기사 저금리·집값 폭등…‘2006년 악몽’ 재현?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04
2005년 서울 아파트 가격상승률 2005년 기준금리 및 서울 아파트 가격상승률 한은은 2005년에도 경기 진작을 이유로 저금리를 고수했다. KB국민은행의 자료를 보면 2005년 서울 아파트 가격상승률은 2월에 1%를 넘어서며 본격 상승하기 시작했다. 6월에는 2.20%까지 뛰었다. ■관련기사 저금리·집값 폭등…‘2006년 악몽’ 재현?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