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8 글 목록 (2 Page)

2018/08 225

시리아 이들리브 위치

시리아 이들리브 위치 이들리브에는 300만명 이상이 살고 있다. 알카에다와 연계한 무장조직과 내전 초기부터 터키의 지원을 받아온 반군 병력도 수만명에 달한다. 지난해 이들리브가 긴장완화지대로 설정되면서 수많은 민간인들이 이곳으로 향했고, 각지에서 패퇴한 반군세력도 이들리브를 피란처 삼았다. ■관련기사 시리아군 ‘이들리브’ 공격 예고…군사 충돌, 러시아가 ‘변수’

청년희망펀드 기부금액

청년희망펀드에 모인 기부금액 은행연합회는 28일 청년희망펀드 모금액(약 438억원)과 사업권을 9월 초 청년희망재단으로 모두 이관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31일 기준 청년희망펀드에 모인 기금은 약 1464억원에 달한다. 치매 국가책임제를 위한 관련 예산이 1400억원인 것을 감안하면 작지 않은 규모다. ■관련기사 관치금융의 몰락…은행권, ‘청년희망펀드’ 31일부터 판매 중단

교사 가구·일반 가구 자산 비율

교사 가구와 일반 가구 자산구성 비율 교사 가구의 전체 자산 중 65.7%는 부동산이었으며, 금융 자산과 기타 자산(귀금속, 그림 등)은 각각 29.6%와 4.7%였다. 특히 부동산 자산 등을 제외한 금융 자산은 1억3272만원으로, 일반 가구(1억1248만원)보다 2024만원 많았다. ■관련기사 교사 가구, 일반 가구보다 자산 많고 노후도 든든

러시아 보스토크 훈련 규모

러시아 2014·2018 보스토크 훈련 규모 비교 올해 보스토크 훈련은 참가 병력은 물론 운용 무기, 훈련 실시 지역 범위 등 모든 면에서 사상 최대 규모다. 훈련 동원 병력 30만명은 러시아군 전체 병력의 3분의 1에 달한다. 2014년 보스토크 훈련에 동원된 병력 15만5000명(나토 추정치)의 약 2배다. 무기는 군용기 1000대, 탱크 900대를 포함해 총 3만6000기를 선보일 예정이다. ■관련기사 미국 보란 듯…러시아의 냉전 후 최대 군사훈련에 중국도 참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이동 경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이동 경로 고난의 여정이지만, 동시에 희망의 여정이기도 했다. 피란 중에도 독립운동 활동은 계속됐다. 김구 선생 등 임시정부 요인들은 당시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 정부와 협력하면서 활로를 모색했다. 류저우에 머물던 1939년 3월1일엔 중학교 강당을 빌려 3·1운동 20주년 기념대회를 열었다. ■관련기사 [대한민국 임시정부 99돌]독립, 그 이상의 꿈을 보았다

수소 제조비용 비교

제조방법에 따른 수소 제조비용 비교 수소를 만들려면 비용도, 환경오염 문제도 만만찮다는 게 문제다. 보고서는 “천연가스 개질법의 경우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이지만 생산비용이 가솔린보다 2배가량 높다”고 지적했다. 천연가스 개질법의 경우 수소를 만드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CO2)를 발생시켜 수소차가 친환경차라는 논리를 무색케 한다. ■관련기사 수소경제의 귀환, 이번엔 안착할까

김학범·박항서 감독 프로필

김학범·박항서 감독 프로필 김학범 감독과 박항서 감독은 K리그에서 자주 대결을 펼치며 서로를 잘 알고 있다. 2005년 성남 일화(현 성남 FC)에서 감독 생활을 시작한 김 감독은 이후 강원 FC, 성남, 광주 FC 등을 거쳤다. 박 감독은 김 감독보다 1년 늦은 2006년 경남 FC 사령탑으로 취임한 뒤 전남 드래곤즈, 상주 상무 감독을 역임했다. ■관련기사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학범슨 vs 박항서 매직…결승 길목 ‘코리안 더비’

2019년 일자리 예산 구성

정부 일자리 예산 규모, 2019년 일자리 예산 구성, 예산이 투입되는 주요 일자리 사업 일자리 예산 중 단일 항목으로 가장 많이 늘어난 분야는 실업급여다. 실업급여 예산은 올해 6조2000억원에서 내년 7조4000억원으로 증가한다. 청년 구직자가 구직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돕는 청년구직활동지원금도 2000억원 규모로 신설된다. 월 50만원을 최대 6개월간 지급한다. ■관련기사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부모 멘토링사업 첫 실시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

OECD 주요국 고령사회 진입 시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 일반정부 부채는 국가 간 재정건전성을 비교하는 지표로, 국가채무에 비영리 공공기관 채무까지 포함한 수치다. 국회예산정책처가 OECD 통계를 분석한 자료를 보면, 한국의 고령사회 진입 시점인 2017년 국가채무 비율은 38.9%지만 미국의 경우 고령사회에 진입한 2013년 국가채무 비율은 105.1%에 달했다. ■관련기사 [2019년도 예산안] 국가채무, OECD 주요국 대비 ‘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