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리핑 차일드 체크 슬리핑 차일드 체크 통학버스 제일 뒷자리에 버튼을 설치하고 운전자가 이 버튼을 눌러야만 시동을 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어린이 통학버스 승·하차 여부 문자로 전송 받는다 오늘의 뉴스/시사 키워드 2018.07.20
오존주의보 발령 횟수 7월 전국 오존주의보 발령 횟수 오존 상황은 더 심각하다. 7월 들어 전국에 오존주의보가 47회 발령됐는데 그중 43회가 영남권에 몰렸다. 19일 최고값을 기록한 울산 전하동에선 0.159PPM으로 ‘매우 나쁨’(0.151PPM 이상)을 훌쩍 넘겼다. ■관련기사 폭염 덮친 데 오존까지 기승…영남의 ‘잔인한 7월’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0
인버터(inverter) 인버터(inverter) 직류 전기(DC)를 교류(AC)로 바꿔주는 장치. 생활가전 핵심부품인 모터와 컴프레서 운동 속도를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LG전자는 직류에 기반한 인버터 모터를 쓰는데, 같은 속도로만 도는 정속형 모터와 달리 상황에 맞춰 회전속도를 조절해 에너지 효율이 높고 소음이 적으며 섬세한 동작 구현이 장점이다. 마모성 부품을 없애 약점이던 내구성을 강화했다. ■관련기사 인버터 덕분에…‘녹색상품’ 휩쓴 LG 오늘의 뉴스/시사 키워드 2018.07.20
‘열돔’(Heat Dome) ‘열돔’(Heat Dome) 올해 북반구에서 보이는 기록적인 더위의 원인은 ‘열돔’(Heat Dome) 현상 때문이다. 대기권 상층부에서 발달한 고기압이 느리게 이동하면서 마치 솥뚜껑(돔)처럼 뜨거운 공기를 지상에 가두는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주변의 찬 공기가 유입되지 못해 기온이 계속 올라가게 된다.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지역도 열돔의 울타리에 갇혀 있다. ■관련기사 [여적]열돔(Heat Dome) 오늘의 뉴스/시사 키워드 2018.07.20
국가·청해진해운 손배 책임 유족들이 주장한 국가·청해진해운 손배 책임에 대한 법원 판단 법원이 국가의 총체적인 구조 실패 책임을 인정하지 않은 것을 두고 유가족은 반발했다. 소송을 대리한 김도형 변호사는 “민사상 국가의 불법행위 책임은 넓게 인정할 수 있는데도 김 전 정장의 형사사건 유죄 판결만 근거로 내세웠다.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 판결”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304명의 희생자…국가 책임자는 1명뿐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7.20
개인사업자 추이 개인사업자 추이 19일 국세청이 공개한 국세통계를 보면 개인사업자는 지난해 634만2420명으로 전년 대비 32만2088명 늘어났다. 2013년 537만9731명에서 4년 만에 100만명가량 늘어난 것이다. 개인사업자의 대부분은 자영업자로 분류된다. ■관련기사 이미 ‘포화’인데…자영업자, 4년 새 100만명 늘었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0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율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율 노동부는 지난해 7월부터 올 상반기까지 공공부문에서 13만2673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고 19일 밝혔다. 2020년까지 전환하기로 했던 인원 17만4935명의 75.8%에 해당한다. ■관련기사 “사원증 받으니 소속감·희망 생겨” 13만명의 삶이 달라졌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0
북유럽 산불 발생 지역 북유럽 산불 발생 지역 스웨덴 웁살라는 7월 평년 낮 최고기온이 21.9도지만 지난 16일 34.4도로 197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노르웨이 스노사는 지난 16일 낮 최고기온이 역대 최고인 31.6도까지 올랐고 지난 17일 핀란드 투르쿠는 1914년 이후 최고인 33.3도를 기록했다. 모두 평년 기온보다 10도 이상 높은 수치였다. ■관련기사 열받은 북유럽, 동시다발 산불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7.20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 차량별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 현대·기아차는 모델별로 쏘나타 41만~68만원, 제네시스 EQ900은 137만~288만원씩 낮아진다. 기아차 스포티지는 39만~54만원의 개소세 인하 혜택이 주어진다. ■관련기사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 누리려면…올 연말까지 차량 인도 받아라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7.20
보이스피싱 현황 보이스피싱 현황 금감원은 “어떠한 경우에도 ‘검찰’ ‘경찰’ ‘금감원’ 등이 전화상으로 자금 이체와 개인의 금융거래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며 “일단 의심하고, 전화를 끊고, 해당 기관의 대표번호로 직접 전화해 진위를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관련기사 사지도 않은 ‘안마기 결제 문자’로 신고 유도, 검경 사칭 “범인 잡는데 필요하니 돈 보내라”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