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20 글 목록

2016/09/20 4

김영란법 관련 통계뉴스

김영란법 1년 만에 학부모 83% '촌지관행 사라져" 교직원 64%(복수응답)는 ‘교직원과 학부모들의 인식이 개선됐다’는 점을 가장 큰 변화로 꼽았다. 이어 ‘금품을 제공하는 행위가 없어졌다’ ‘경조사나 인사발령 때 떡이나 난을 보내는 문화가 개선됐다’ ‘학교 안 하급자나 직무관련자로부터 접대받는 문화가 개선됐다’ 등을 구체적인 변화로 꼽았다. 전체적으로 청탁금지법이 정착했다는 응답률은 학부모 87%, 교직원 95%였다. 교육현장에 긍정적 변화를 준다는 응답은 학부모 95%, 교직원 92%였다. ■관련기사 김영란법 1년 만에 학부모 83% '촌지 관행 사라져" 김영란법 이후 첫 스승의날… 학부모 75% “선물 계획 없다” 이른바 ‘김영란법’ 시행 후 첫 스승의 날을 앞두고 학부모 대부분은 자녀의 선생님들..

김영란법 관련 만평

[장도리] 2018년 1월 9일 [김용민의 그림마당] 2017년 12월 25일 [장도리]2017년 12월 12일 [장도리] 2017년 11월 21일 [장도리]2017년 10월 3일 [장도리] 2017년 7월 17일 [김용민의 그림마당] 2017년 5월 18일 [김용민의 그림마당]2016년 10월11일 [김용민의 그림마당] 2016년 8월 29일 [김용민의 그림마당] 2016년 8월 4일 [김용민의 그림마당] 2016년 8월 3일 [장도리]2016년 8월 2일 [장도리] 2016년 7월 29일 [김용민의 그림마당] 2016년 5월 10일 [장도리] 2016년 5월 3일 [장도리] 2015년 3월 5일 [장도리] 2015년 3월 4일 [김용민의 그림마당] 2015년 3월 4일

원전 관련 시사 키워드

원전의 해체, 폐로(廢爐) 원자로의 기능을 영구히 정지시키고, 시설을 철거해 자연상태로 되돌리거나 다른 시설로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국내에서는 해체와 폐로라는 용어가 함께 사용되고 있으나 폐로는 원자로를 멈춘다는 좁은 의미로 받아들여지기 쉽고, 일본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유로 점차 해체 쪽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원자력산업법상의 해체는 “허가 또는 지정을 받은 시설의 운영을 영구적으로 정지한 후, 해당 시설과 부지를 철거하거나 방사성 오염을 제거함으로써 이 법의 적용대상에서 배제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말한다. 또 국제원자력기구는 원전 해체를 시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규제 관리에서 제외하기 위한 기술적·행정적 조치로 정의하고 있다. 방사성 물질 우라늄·플루토늄·라듐 등 방사선을 방출하는 물질 방사..

김영란법 관련 그래픽뉴스

〈스승의 날 선물, 된다? 안된다?〉 ■ 어린이집 교사에게 선물? 어린이집 보육교사는 법 적용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선물을 받아도 된다. 그러나 어린이집 원장은 청탁금지법상 공무수행인사에 해당되기 때문에 작은 선물도 받을 수 없다. ■ 유치원 교사에게 선물? 유치원은 청탁금지법에서 정한 공공기관에 해당되기 때문에 선물을 받을 수 없다. 다만, 아이가 유치원을 졸업한 뒤에는 5만원을 넘는 선물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 스승의날 카네이션? 개별 학생이 교사에게 카네이션을 주는 것은 안된다. 대신 학생들이 정한 대표가 공개적인 자리에서 전달하는 것은 가능하다. 담임교사뿐 아니라 교과목 담당교사와 기간제교사에게도 같은 원칙이 적용된다. ■ 반 학생들끼리 모아서 선물? 아무리 적은 액수의 선물이라도 안된다. 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