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926 Page)

분류 전체보기 12097

이슬람국가·알카에다 연계조직 활동지

2017년 10월 17일(현지시간) 시리아 쿠르드와 아랍계가 주축이 된 시리아민주군(SDF)이 락까를 탈환하면서 IS 칼리프 국가의 수도로서의 락까는 종말을 맞았다. 문제는 IS가 쫓겨난 지금부터다. 수니파 쿠르드, 시아파 무슬림, 기독교 등 다문화 인구 약 30만명이 모여 살던 시리아의 6번째 도시 락까는 7년째 접어든 내전과 3년이 넘는 IS 점령으로 인프라 등 그야말로 도시의 ‘모든 것’이 무너진 상황이다. 주민들 대부분은 도시를 탈출해 난민캠프 등에서 국제기구의 지원으로 살아가고 있다. ■관련기사 ‘문명의 교차로’ 락까, 10년 사이에 폐허로

최근 4년간 전국 귀농·귀촌 가구 수

귀농·귀촌 가구는 2010년(4067가구)을 기점으로 급증, 지난해 33만5383가구로 증가하며 ‘양적 성장’을 이뤘다. 다만 젊은층의 비중은 높지 않다. 지난해 전국 귀농인 1만312명 중 40대 미만은 10명 중 1명꼴인 1174명(11%)에 불과했다. 은퇴 전·후인 50대와 60대가 전체의 61%를 차지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도시 지역 40·50대 및 은퇴자를 중심으로 귀농의 양적 확대에 치중하다 보니 청년층의 요구를 반영한 체계적인 교육과 지원사업이 부족했다”면서 “도시에 비해 부족한 인프라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창간 기획-구해줘, 농촌] (3) 귀농·귀촌 정책 한계 - 볼거리·먹을거리·쉴거리 다 부족…청년들이 오지 않는다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로드맵

2017년 10월 18일 오후 코 워킹(Co-Working) 사무실 '헤이그라운드'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하는 일자리위원회 3차 회의가 열렸다. 앞서 일자리위원회의 ‘일자리 100일 플랜’과 1·2차 회의는 공공부문 81만개 일자리 만들기와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 체계 등 ‘체질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이번 3차 회의에서 발표한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은 고용정책의 핵심인 민간부문 일자리를 어떻게 창출할지에 초점을 맞췄다. ■관련기사 [일자리 로드맵]문재인 대통령이 성수동 '공유사무실'에 간 까닭은...

중국 공산당 19차 전국대표대회 일정

중국 국가주석이 향후 5년간의 집권 2기의 토대를 마련하는 제19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는 18일 개막해 24일까지 일주일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리며, 전국 당원 8875만명 중 2287명의 대표가 시진핑 2기 체제를 논의한다. 미리 선출된 주석단(243명), 그중 주석단 상무위원회(42명)가 회의를 주도하게 된다. ■관련기사 [중국 19차 당대회]차기 지도부, 기자회견 등장 순서로 ‘서열’ 가늠

시진핑 주석의 19차 당대회 보고 주요 내용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18일 개막한 중국 공산당 19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 보고를 통해 집권 2기 청사진을 제시했다. ‘샤오캉(小康·모든 국민이 편안하고 풍족한 생활을 누림) 사회의 전면적 실현’과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으로 요약된다. 이를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라는 통치 이념으로 설명했다. ■관련기사 [중국 19차 당대회]시진핑, 3시간 반 연설 “사회주의 현대화·부국강병” 청사진

헌법재판소 재판관 구성 및 임기 현황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유남석 광주고등법원장(60)을 신임 헌법재판소 재판관에 내정한 것은 8인 재판관, 소장 권한대행 체제 등 비정상적으로 운영돼온 헌재 구성에 대한 비판을 누그러뜨려는 조치다. 청와대로선 헌재 9인 체제를 복원함으로써 급한 불을 끄고 시간을 벌겠다는 생각도 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유 내정자를 신임 헌재소장에 지명할지는 밝히지 않아, 권한대행 체제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헌재 9인체제 복원]재판관 공석 ‘급한 불’ 껐지만…새 헌재소장은 여전히 ‘물음표’

주요 국가의 전자담배 세율

궐련형 전자담배의 세금이 궐련형 일반담배의 90%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궐련형 전자담배 판매가 대비 세금 비율은 69%까지 올라가게 된다. 이는 전 세계 주요국 중 최고 수준으로 이어서 사업자들이 줄어든 수익을 만회하기 위해 현행 4300원인 궐련형 전자담배 가격을 인상할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궐련형 전자담배 세금 곧 인상…가격은 얼마나 오를까

대기업 법 위반 처벌 건·과징금 액수

공정위 대기업집단 법 위반 처벌 건공정위 대기업집단 과징금 액수 2017년 10월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정위에서 받은 ‘2013년 3월~2017년 5월 대기업집단별 법위반 건수’를 보면 법 위반으로 공정거래위원회 제재를 가장 많이 받은 대기업집단은 롯데, 과징금을 가장 많이 부과받은 대기업집단은 현대자동차였다. ■관련기사 [단독]박근혜 정부서 공정위 제재 가장 많이 받은 대기업? 롯데

추가경전예산 일자리 과제 및 현황

정부는 2017년 7월 11조원이 넘는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하며 산불예방진화대 등 산림재해와 관련된 일자리를 1만2000개가량 늘리겠다고 했다. 정부의 ‘일자리 추경 효과’는 특히 노인 일자리에서 부각되고 있다. 통계청이 이날 공개한 9월 고용동향을 보면 60대 이상 취업자가 437만5000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반면 추경의 온기가 제대로 전해지지 않는 분야도 많다. 특히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일자리가 대표적이다. 최근 경제개혁연대가 발표한 설문조사에서는 20·30대 남성을 중심으로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실효성이 없다’는 응답률이 각각 56.9%, 59.7%에 달했다. ■관련기사 일자리 추경, 청년보다 고령층서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