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통계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38 Page)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4307

올해 은행 가계대출 증가액 추이

올해 은행 가계대출 증가액 추이 8월 한 달간 은행 가계대출이 6조2000억원 늘어 전월에 비해 증가 규모가 축소됐다. 기타대출이 일시적으로 크게 줄어든 영향인데, 주택담보대출은 여전히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어 가계대출 증가 추세가 꺾였다고 보기는 아직 이른 상황으로 풀이된다. 한은은 “주택매매 및 전세 관련 자금 수요가 지속되고 집단대출 취급도 이어지면서 전월과 비슷한 규모로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가계대출, 증가폭 줄었지만 ‘주담대’는 역대 4번째로 늘어

연평균 주택담보대출 금리

연평균 주택담보대출 금리 현재 기준금리는 연 0.75%로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된 2018년 말 1.75%보다 여전히 낮은 상태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지난 7월 기준 연 2.81% 수준으로 2018년 당시 3.39%를 밑돈다. 국토연구원이 지난 8월 발표한 ‘부동산시장 조사분석’을 보면 일반 수요자 중 53.7%는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4~6% 이상될 때 가격 하락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했다. ■관련기사 잡으려 할수록 뛰는 ‘집값’…마지막 카드, 금리도 쉽잖네

5대 은행 주택담보대출 현황

5대 은행 주택담보대출 현황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7일 “전세대출 증가세가 보증금 상승으로 설명할 수 없는 수준으로 과도해 제한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리 연 2%대인 전세대출을 먼저 받은 뒤 신용대출을 자산투자의 레버리지로 활용하는 경우 등 전세대출 일부가 실수요가 아닌 투자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KB국민 등 5대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8월 말 현재 작년 말 대비 14.0% 이상 증가하면서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4.1%) 증가율을 3배 이상 웃돌았다. ■관련기사 금융당국, 전세대출도 규제 카드 꺼내나

보건, 복지, 고용 예산 증가율

보건, 복지, 고용 예산 증가율 문재인 정부가 집권 초부터 두 자릿수를 유지해온 보건·복지·고용 분야 예산(복지 예산) 증가율을 내년도 마지막 예산안(2022년 회계연도)에서는 한 자릿수인 8.5%로 줄였다. 임기 마지막 해에 복지 예산 증가율이 뚝 떨어지는 것은 보수정권 때인 이명박·박근혜 정부 당시 나타났던 패턴이다. ■관련기사 문 정부 내년 복지 예산 증가율 8.5% ‘최저’…임기 말 소극적 복지’ 보수정권 패턴 되풀이

민주당 순회경선 득표율

민주당 순회경선 득표율 더불어민주당 대선 충청지역 순회경선에서 이재명 경기지사가 압승한 것은 본선에서 이길 만한 후보를 밀어주자는 권리당원과 대의원의 전략적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지사 측은 “민심과 당심이 다르지 않다”고 평가하며 일반 국민이 대거 참여하는 오는 12일 1차 시민선거인단 경선에서 승부를 조기에 결론내겠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길 만한 후보 밀어주자’ 민주당 권리당원 전략적 선택

온라인쇼핑 거래액 증가율

온라인쇼핑 거래액 증가율 코로나19 재확산과 도쿄 올림픽 등으로 실내 활동이 대폭 늘어나면서 7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1년 전보다 25% 가까이 증가했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7월 온라인쇼핑 동향을 보면 7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 동월 대비 24.9% 늘어난 16조199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1년 이래 최대 규모다. ■관련기사 코로나 재확산에 도쿄 올림픽 특수…지난달 배달 음식 거래액 72% 급증

자녀와 게임하는 학부모 비율

자녀와 게임하는 학부모 비율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게임 이용자가 크게 늘어난 가운데 자녀가 있는 학부모 절반 이상이 아이와 함께 게임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3일 발간한 ‘2021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년간 국민 71.3%가 게임을 통해 여가를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나도 한때 PC방 좀 다녔지”…자녀랑 게임하는 부모 57%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 추이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 추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아파트값 상승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개발 호재가 있는 수도권은 7주 연달아 최고 수준의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국부동산원이 2일 8월 다섯째주(3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31% 올랐다. ■관련기사 금리 올렸지만 집값 안 꺾였다

미국 집값 추이

미국 집값 추이 전 세계에서 인플레이션 신호가 강력하게 감지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맞서기 위한 각국의 경기부양책이 경제 위기를 넘기는 데 일조했지만 시장에 풀린 돈이 부메랑이 돼 물가 상승으로 돌아온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실업률은 팬데믹 이전으로 회복되지 못했고, 소비자신뢰지수도 떨어지는 등 비정상적 호황 패턴이 나타나고 있다. ■관련기사 팬데믹에 맞서 돈 풀자…부메랑이 된 ‘물가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