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통계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328 Page)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4307

화훼산업 추이

화훼산업 추이 국세청의 생활밀착업종 사업자 등록 현황을 보면 전국의 꽃가게는 지난 5년간 꾸준히 늘어 2017년 12월 기준 2만611개로 2013년 1만8995개에서 약 8.5% 증가했다. 김영란법이 시행된 2016년(2만393개) 전후와 비교하더라도 1% 늘었다. 같은 기간 국내 꽃 판매액과 재배농가 수, 재배면적이 일제히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다. ■관련기사 꽃, 향기롭게 소비하는 법… 꼭, 선물만 있는 게 아냐

한.미 기준금리 추이

한.미 기준금리 추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이날 제롬 파월 신임 의장이 처음 주재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1.25~1.50%에서 1.50~1.75%로 0.25%포인트 인상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 상단은 한국 기준금리(연 1.50%)를 웃돌게 됐다. ■관련기사 한은 ‘금리 고민’ 깊어졌다…미 기준금리 0.25%P 인상…10년 만에 역전

예금은행 평균 가계대출 금리

국내 예금은행 평균 가계대출 금리 이날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국내 예금은행의 주택담보, 집단, 신용 등 가계대출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지난해 1월 3.39%, 6월 3.41%, 12월 3.61%, 지난 1월 3.71% 등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미 연준은 기준금리를 1월 0.75%에서 6월 1.25%, 12월 1.50%로 인상했다. 국내 가계대출 금리가 미 금리 인상에 따라 함께 상승했다. ■관련기사 미 금리 또 뛰면 주택담보대출 이자 최대 6%까지 ‘껑충’

의료급여 수급현황

의료급여 수급현황, 가계직접부담 의료비 비율 2017년 한국의 절대 빈곤율은 7%(유엔 기준)이지만 정부로부터 의료지원을 받는 의료급여자는 3%에 불과하다. 생활고로 6개월 이상 건강보험료를 내지 못해 병원 가기를 포기한 생계형 건강보험 체납자는 지난해에만 400만명이 넘는다. ■관련기사 [우리는 충분히 ‘돌봄’ 받고 있는가] (6) 의료 따로, 복지 따로…‘사각지대’ 그대로

혼인건수·조혼인율 추이

혼인건수 및 조혼인율 추이, 평균 초혼연령, 연령대별 혼인 감소폭 3월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 혼인·이혼 통계’를 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26만4500건으로 전년(28만1700건)보다 1만7200건(6.1%) 감소했다. 1974년(25만9600건) 이후 가장 적다. 혼인 건수는 2012년 이후 6년째 내리 감소하고 있다. 조혼인율은 5.2건으로 1970년 통계 작성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결혼마저 포기당한 청춘 남녀

양성평등 교육 전후 비교

양성평등 교육 전후의 의식변화 특히 1~3학년생의 생각이 많이 달라졌다. ‘남자는 용감하고 씩씩해야 한다’는 항목에 대한 인식 점수는 2.41점에서 3.26점으로, ‘힘들고 위험한 일들은 남자가 해야 한다’에 대한 생각은 2.59점에서 3.36점으로 바뀌었다. 전체적으로 저학년 학생들은 교육 전 2.96점에서 교육 후 3.48점으로 올라갔다. ■관련기사 초등학교 양성평등 교육 결과…고학년보다 저학년 효과 크다

한·베트남 수출입 동향

한·베트남 수출입 동향, 세계 평균 및 베트남 경제성장률 추이 베트남은 2014년만 해도 한국의 6위 수출국이었으나 2015년과 2016년 싱가포르와 일본을 앞지르며 4위로 올라섰다. 급기야 지난해는 홍콩을 추월해 중국과 미국에 이어 3위 수출국으로 발돋움했다. 2015년과 2016년 전체 수출이 연속해서 마이너스를 기록할 때도 대베트남 수출은 24.2%와 17.5% 늘어났다. ■관련기사 한국, 베트남 수출 급증…“2년 후 미국 넘는다”

8.2 부동산 대책 이후 매매 추이

8.2 부동산 대책 직후 강남 아파트 매매 가격 추이 지난해 하반기 정부가 8·2 부동산 대책을 내놓은 뒤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중 서울 강남구의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 변동률이다. 감정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은 전국 7400개 표본으로 가격 추이를 살펴보는 통계다. 추이를 보면 8·2 대책으로 주춤하는 듯하다 9월 말부터 다시 매매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관련기사 [부동산, ‘값’부터 제대로 매기자] (2) 현실 매매가와 동떨어진 감정원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실거래가 반영률 변화 추이

아파트 실거래가 반영률 변화 추이 실례가 있다. 서울 반포 경남아파트의 실거래가는 2016년 한 해 12억5000만원에서 14억원대 중·후반까지 뛰었다. 연평균 실거래가 반영률은 67.2%인데, 실거래가 반영률은 2016년 3월 74.2%에서 같은 해 10월 61.9%까지 떨어졌다. 연중 실거래가가 대폭 뛰었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상반기 실거래가의 상쇄효과로 전체 공시가격은 끌어내려졌다. ■관련기사 [부동산, ‘값’부터 제대로 매기자] (2) 파른 가격 상승 반영 못하는 공시가격 - 나는 실거래가, 기는 공시가…급등 때 종부세 제외 수두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