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예방사업 투자와 피해 재해예방사업 투자와 피해 비교 1995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7조6324억원이 재해예방사업에 투입됐다. 행정안전부는 이 덕분에 올해엔 현재까지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피해가 최근 10년 평균 대비 27%(15명→11명), 재산피해는 60%(3532억원→1436억원)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일상이 된 기후 재난] (2) 민관 공동대응 필요하다 - 갈수록 예측 불가능한 재해…‘국민 체감형’ 매뉴얼 내놔야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23
조선산업 활력제고 방안 조선산업 활력제고 방안 주요 내용 정부는 또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조선업계에 7000억원의 신규 자금 지원과 1조원 규모의 만기 연장을 해주기로 했다. 산업위기대응지역 내 기자재업체의 약 1조원 규모 대출·보증에 대해선 올해 말로 예정된 만기를 내년 말까지 연장해주기로 했다. ■관련기사 자금난·일감 부족 ‘중소 조선사’ 살린다…1조7천억 금융지원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23
제주조릿대 분포도 제주조릿대 분포도 제주도세계자연유산본부는 19일 한라수목원에서 열린 ‘제주조릿대 관리방안 연구(2016~2020년) 3차년도 용역보고회’에서 제주조릿대가 한라산 해발 1400m 이상 지역의 88.3%를, 한라산국립공원의 95.3%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제주조릿대, 한라산 95% ‘점령’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22
1인당 쌀 소비량 1인당 쌀 소비량 우리 국민의 1인당 쌀 소비량은 2017년 기준 61.8㎏으로 1986년(127.7㎏)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쌀이 갈수록 남아돌면서 정부의 쌀 재고량은 2014년 말 141만7000t에서 2017년 말 244만3000t으로 급증했다. ■관련기사 쌀로 만들면 맥주·소주도 “주세 낮추자”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22
내수 의복산업 성장률 내수 의복산업 성장률 이 같은 패션 브랜드의 ‘양극화’는 어정쩡한 브랜드의 설 자리가 사라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패션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소비자들은 경제적인 여유가 있으면 고가 브랜드와 가성비 브랜드의 중간 위치에 있는 브랜드를 택하기도 하지만, 불황의 시기엔 그 같은 모험을 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가심비·가성비 따라 ‘의류 브랜드 양극화’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22
한섬·유니클로 매출 한섬 매출, 유니클로 한국 시장 매출 고급 의류업체들은 요즘이 호황이다. 현대백화점의 의류기업 ‘한섬’의 매출액은 2015년 6167억원에서 지난해 1조2286억원으로 2년 만에 2배 뛰었다. 이와 반대로 ‘가성비 갑’인 SPA브랜드도 잘나간다. 유니클로의 매출은 단일 브랜드로는 처음으로 2015년 1조원대를 돌파한 이래 2017년에는 1조2376억원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가심비·가성비 따라 ‘의류 브랜드 양극화’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22
한국 조선소 수주량 세계 신규 선박 발주량과 한국 조선소 수주량 추이 특히 한국은 세계 발주량의 절반에 가까운 1030만CGT(224척·시장점유율 44.5%)를 따내며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710만CGT(341척)로 2위, 일본은 총 267만CGT(125척)로 3위다. 올해 들어 중국을 제치고 탈환한 선두를 계속 유지한 만큼 정부는 연말까지 약 1200만CGT를 수주해 2014년 수주 실적에 근접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선박 신규 수주량 반짝 1위…‘조선업의 봄’은 아직 멀었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22
간편식 상표 출원 현황 주요 가정간편식 상표 연도별 출원 현황 대표적인 간편 조리식품인 즉석밥을 보면 2013년에는 모두 43건의 상표가 출원되는 데 그쳤으나 지난해에는 285건이 출원돼 5년 새 6배 넘는 증가세를 보였다. 혼밥·혼술 등의 단어가 들어간 상표는 최근 5년간 모두 164건이 출원됐는데 2013년 17건에서 2015년 31건, 지난해에는 45건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련기사 늘어난 싱글족, 혼밥 브랜드도 ‘급증’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21
서울 매수우위지수 추이 최근 '서울 매수우위지수' 추이 KB국민은행 ‘주간 아파트 매수·매도 동향’에서 지난 5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수우위지수는 67.2를 기록했다. 지난해 4월 3일(65.4)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 9월 3일 171.6까지 치솟았던 매수우위지수가 두 달 만에 104.4포인트나 떨어지며 연중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다. ■관련기사 주택시장은 안정을 찾아가는 걸까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21
문해력·연령대 상관관계 한국 학생의 학습 효율성, 문해력과 연령대의 상관관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 직업 전망 조사 우리나라 만 16세 학생들은 2012년도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읽기 부문 2위 등 최상위권을 차지했지만, 같은 OECD의 성인역량조사(PIAAC)에선 조사에 참여한 22개국 중 12위(문해력 부문)로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문해력과 연령대의 상관관계 그래프를 보면 30대에 최고점을 찍고 서서히 내려가는 외국과는 달리, 한국은 20대 초반 최고점을 찍고 급전직하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관련기사 [송현숙의 만만한 시사] (6) 수능으로 본 교육 경쟁력 -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서 ‘어떤 교육을 할 것인가’로 담대한 전환을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