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통계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241 Page)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4307

현대·기아차 생산능력

현대·기아차 국가별 연간 생산능력 이미 인도에 진출한 현대차의 판매 증가율을 보면 2015년 15.7%, 2016년 5.2%, 2017년 5.4%, 2018년 4.3% 등이다. 최근에는 인도 전기차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인도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인도 타밀나두주는 전기차를 포함한 신규 모델 생산을 위한 현대차의 첸나이 공장 확장 방안을 승인했다. 이럴 경우 65만대인 생산능력은 올해 75만대까지 늘어난다. ■관련기사 현대·기아차 ‘탈중국’ 가속…인도·동남아로 거점 이동

외국인 주민 비중

외국인 주민 유형별 비중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17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을 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외국인 주민은 모두 186만1084명이고, 이 중 외국인 노동자가 49만6000명, 결혼이민자가 16만1000명, 유학생이 11만7000명으로 주요 유형이었다. ■관련기사 [다시 쓰는 인구론] (7) 우린 이방인을 품을 수 있을까 - ‘그들’이라 불렀던 이주민, 이젠 ‘우리’다

건강기능식품 구매율

연령대별 건강기능식품 구매율, 2030세대 한번이라도 건강기능 식품을 구매해본 비율, 옥션 건강기능식품 세대별 판매 신장률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가 최근 발간한 ‘2017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및 소비자 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2030세대의 건강기능식품 구매 증가율은 6%로 전 연령대 평균(4%)을 웃돌았다. 2030세대가 한번이라도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해본 적이 있는 비율도 2012년 58.3%에서 2016년 72.5%로 4년 사이에 크게 증가한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관련기사 비타민·영양제·보조식품…2030이 더 챙겨 먹는다

아파트 주간 매매가격

최근 5개월간 아파트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 서울 주요 지역의 집값 변동별 거래 현황 한국감정원이 매주 발표하는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을 보면 지난 21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11% 떨어졌다. 지난해 11월12일(-0.01%) 이후 11주 연속 하락세로, 낙폭도 전주(-0.09%)보다 커졌다. 수도권(-0.07%)과 지방(-0.09%) 모두 떨어져 집값은 전국적으로 0.08% 하락했다. ■관련기사 집값 하락세라지만…호가는 멈춰 있고 하방경직성이 강해졌다

가족·직장 내 갈등경험

갈등 대상 및 갈등상황 대처 스타일 먼저 ‘가족관계에서 주로 누구와 갈등을 자주 겪는지’를 물었습니다. 응답 결과, 배우자(22%), 자녀(12%), 어머니(10%), 형제자매(9%), 아버지(9%), 고부(6%)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에는 ‘직장생활에서 주로 누구와 갈등을 자주 겪는지’를 물었습니다. 응답자는 상사(22%), 동료(14%), 부하(6%), 타 부서(6%), 거래처(5%) 등의 순으로 답했는데요, 갈등이 없다는 의견도 27%나 되었습니다. ■관련기사 [데이터로 여는 공공의 창] 갈등 그리고 행복 - 직장 상사님들, 부하와 갈등 없다고요? ‘권위적 소통’일 가능성 크답니다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매년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이 발표될 때마다 가장 비싼 집으로 거론되는 서울 용산구 한남동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의 단독주택(대지면적 1758.9㎡·연면적 2861.83㎡)의 올해 공시가격은 270억원으로 지난해(169억원)보다 59.7% 올랐다. 원종훈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세무팀장에 따르면 이 회장이 올해 내야 하는 보유세는 3억6097만원으로 지난해(2억4064만원)보다 50% 증가한다. ■관련기사 [단독주택 공시가격 조정]가격 급등한 ‘용·강·마’ 고삐…가격 따라 세부담 ‘차등화’

표준단독주택 상승률

표준단독주택 상승률 상위 지역 시·군·구별로 보면 전국 평균보다 높게 상승한 지역은 28곳인 반면 222곳은 평균보다 낮게 상승했다. 상승률 상위 5곳은 모두 서울 지역이었다. 용산구(35.40%), 강남구(35.01%), 마포구(31.24%), 서초구(22.99%), 성동구(21.69%) 순이었다. 경남 거제시(-4.45%), 창원 마산회원구(-4.11%), 전북 군산시(-3.69%) 등은 내렸다. ■관련기사 [단독주택 공시가격 조정]서울 시세 10억원 단독주택 올해 보유세 19만원 오른다

손배·가압류 관련 통계

손배·가압류 이후 동료의 노조 탈퇴 응답자의 94.9%는 손배·가압류 이후 동료가 노조를 탈퇴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조합원 수가 “절반 이상 줄었다”는 응답도 64%에 달했다. 손배·가압류 남성노동자 201명에게 건강 상태를 물었을 때 “건강이 나쁘다”는 응답은 34.8%에 달했다. 비슷한 연령대의 일반 남성에 비해 12.4배나 높은 수치다. ■관련기사 [‘손배 가압류’가 남긴 것] 노동자 30% “자살 충동”…손배 가압류는 ‘희망 압류’였다

중국 소매판매 증가율

중국 소매판매 증가율, 중국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쏟아지는 중국의 경제 부양책 중국 정부는 내수 확대를 위해 중산층의 소비 확대에 큰 기대를 걸고 있지만 소비 심리가 얼어붙은 것도 문제다. 2013년 11월 13.7%에 달한 소매판매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은 꾸준히 하락해 지난해 11월 8.1%까지 떨어졌다. 지난해 1~12월 누적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5.9%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최저 성장률 찍었던 중국 ‘최악은 아직 오지 않았다’

D램 가격 추이

D램 가격 추이 그러나 이들의 수요가 어느 정도 충족되자 반도체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4분기 D램의 평균 판매가격이 3분기보다 11% 하락했으며, 낸드플래시의 평균 판매가격도 21% 떨어졌다고 밝혔다. 지난 16일 기획재정부가 마련한 ‘반도체 전문가 간담회’에서는 D램 가격이 최소 20%까지 하락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관련기사 영업이익 신기록에도 웃을 수 없는 반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