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1 글 목록 (11 Page)

2020/01 113

'권고 1안'의 사회상

권고 1안의 사회상 한국이 유엔에 제출할 ‘2050 국가 저탄소 발전전략’의 토대가 되는 ‘2050 저탄소사회비전포럼 권고안(초안)’에서 ‘넷제로’(온실가스 순배출량 제로) 시나리오가 제외됐다. 지난 9월 열린 기후행동정상회의에 참석한 65개국은 2030~205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했지만, 아직 한국은 정책적·기술적·비용적인 측면에서 넷제로를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이유에서다. ■관련기사 “한국,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 ‘제로’ 목표 설정 불가”

등록금을 마련하는 방법

등록금을 마련하는 방법 대다수 국민들은 현재의 등록금 수준이 가계에 부담이 되는 수준이라 여기고 있었다. 등록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수강하는 학점의 양에 비례해 등록금을 내는 ‘학점비례 등록금제’를 도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70% 이상이 찬성 의사를 나타냈다. ■관련기사 대학생 10명 중 3명, 등록금은 ‘빚내거나 일하거나’

중.장년층 경제 상황 변화

중.장년층 경제 상황 변화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18년 기준 중·장년층 행정통계 결과’를 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만 40~64세 중·장년층의 소득(근로·사업소득) 중앙값은 2141만원으로 2017년보다 136만원(6.8%) 증가했다. 금융권 대출액 중앙값은 4459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331만원(8.0%) 늘었다. ■관련기사 소득 6.8% 늘 때 빚은 8% 증가 ‘울고 싶은 중·장년’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여당인 민주당의 지지율과 비슷한 흐름으로 올해 내내 출렁거렸다. 갤럽의 1월 2주 조사에서 ‘잘하고 있다’는 48%, ‘잘못하고 있다’는 44%였다. 12월 첫 주 조사에서 ‘잘하고 있다’ 48%와 ‘잘못하고 있다’ 45%와 비교하면 거의 비슷하다. ■관련기사 여야 지지율, 돌고 돌아 원점으로

정당 지지율

올해의 정당 지지율(%) 안일원 리서치뷰 대표는 “올해 여론조사 결과를 되돌아보면 황 대표의 선출 이후 한국당의 지지율 상승, 조국 전 장관의 지명 이후 민주당 지지율 하락이라는 두 번의 큰 분기점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분기점을 지나면서 황 대표의 리더십에 대한 실망, 조국 전 장관의 사퇴로 분기점 이전으로 되돌아갔다. 연말의 여론조사 결과 역시 연초의 수준으로 다시 돌아갔다. ■관련기사 여야 지지율, 돌고 돌아 원점으로

국가채무비율 추이

국가채무비율 추이, 재정지출 증가율 국가채무비율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의 비율이다. 정부가 거둬들인 돈보다 지출을 늘리면 국가채무비율은 늘어난다. 한국의 국가채무비율은 올해 기준 37.2%로 주요 선진국에 비해 양호한 수준이다. ■관련기사 [키워드로 보는 2019 경제](7)국가채무비율 적정 상한선 논란…“경기 대응 발목 잡을라”

올해의 국민청원

2019년 국민청원 베스트10 청와대 국민청원 사이트에서 올해 가장 많은 인원이 참여한 청원은 ‘자유한국당 정당해산 청원’이었다. 4월 22일 올라온 이 청원의 참여인원은 183만1900명. 지난해 최고 참여인원을 기록한 ‘강서구 피시방 살인사건 심신미약 감형 반대 청원’(119만2049명)을 훨씬 뛰어넘는 수치다. ■관련기사 [표지 이야기]2019년 핫 이슈 ‘올해의 OO’

선거법 개정안 비교

선거법 개정안 패스트트랙 원안· 4+1 협의체 단일안 비교 4+1 협의체는 최종안에서 국회의원수를 현행 선거법(253+47)대로 유지했다. 패스트트랙 원안(225+75)과 차이가 크다. 앞서 여야는 소선거구 중심의 현 선거제가 사표를 양산해 시민 의사를 반영하지 못하고, 거대 양당만 득세하기 쉽다는 점에서 비례의석 확대를 추진했다. ■관련기사 [4+1 ‘선거법’ 합의]거대정당 비례 줄고 소수정당 늘어…‘연동형 비례’ 생색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