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바나나·망고 재배면적 추이 최근 10년간 배·바나나·망고 재배면적 추이 재배면적이 줄어드니 생산량도 그만큼 줄었다. 배 생산량은 2008년 47만745t에서 2018년 8월 현재 23만8014t으로 49.4%(23만2731t) 감소했다. 대신 바나나·망고 등 열대과일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관련기사 추석 차례상 ‘배’ 왜 줄었나 했더니…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27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국내 사업자들은 한국 정부의 공공 데이터를 미국 정부가 들여다볼 수 있다는 정보 주권 침해 가능성을 제기했다. 해외 사업자를 견제하려는 여론전 성격이 크지만 전문가들은 근거 없는 우려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 ■관련기사 공공·금융분야 문 열어준 민간 클라우드 시장 장악한 미국계 빅4 기업이 잠식 우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27
스마트폰 제조사별 렌즈 비교 스마트폰 제조사별 카메라 렌즈 비교 올해 초 중국의 화웨이가 프리미엄폰 ‘P20 프로’ 후면에 ‘트리플 카메라’를 내놓으면서 카메라 개수 경쟁은 불붙은 상태다. 삼성전자는 트리플 카메라를 중저가폰 ‘갤럭시A7’에 옮겨 다음달 출시할 예정이다.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카메라 개수를 늘리는 이유는 카메라 기능이 혁신적 요소로 비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눈 3개도 모자라 5개로 ‘찰칵’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9.27
한·미 기준금리 추이 한·미 기준금리 추이 미 연준은 27일 새벽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를 발표한다. 연준은 정책금리를 연 1.75∼2.00%에서 연 2.00∼2.25%로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럴 경우 한·미 금리 차이는 최대 0.75%포인트까지 벌어진다. ■관련기사 더 커지는 한·미 금리 격차…한은, 연내 인상 카드 꺼낼까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27
두산, 총연봉·평균 나이 순위 두산, 최근 4시즌 총연봉·평균 나이 순위 그렇지만 두산이 걷는 길은 조금 다르다. 우승권 전력을 지키면서도 노쇠화도 없다. 올해 두산 선수단의 평균나이는 26세다. 리그에서 두 번째로 젊은 팀이다. 평균 연차 역시 8년(2위)에 불과하다. 2015시즌 한국시리즈 우승 당시 멤버의 27.3세보다 오히려 줄었다. ■관련기사 젊고 강하고…상대엔 ‘산 넘어 산’ 두산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9.27
공공택지 신규 지정 현황 서울·수도권 공공택지 신규 지정 현황 미니신도시 20만호 외에 3만5000호는 17곳 택지를 통해 공급된다. 국토부는 이날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과 협의 절차가 끝난 택지 8곳을 먼저 발표했다. 1만7160호가 공급되는 경기에서는 광명 하안2·의왕 청계2·성남 신촌·시흥 하중·의정부 우정 등 5곳이며 인천에서는 검암 역세권(7800호)이 선정됐다. ■관련기사 [수도권 주택 공급 대책] 서울 옆 ‘신도시’ 2022년 첫 분양될 듯…신혼희망타운 올 12월에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9.27
신규 주택 공급 전망 서울·수도권 신규 주택 공급 전망 국토교통부는 수도권 공공택지를 확보해 30만호, 도심개발을 통해 4만호 등 34만호를 추가로 공급하기로 했다. 이 중 20만호는 서울과 1기 신도시(분당·일산) 사이에 만들어지는 대규모 택지를 통해 공급된다. 시장에서는 위례신도시(677만㎡)의 절반 규모란 점에서 ‘미니신도시’로 받아들이고 있다. ■관련기사 [수도권 주택 공급 대책] 서울 옆 ‘신도시’ 2022년 첫 분양될 듯…신혼희망타운 올 12월에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27
수도권·비수도권 양극화 지표 수도권·비수도권 양극화 지표 일자리 중에서도 양질의 일자리가 수도권에 더 많다. 2014년 국내 1000대 기업의 본사 중 736개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다. 임금도 수도권이 높았다. 2016년 수도권의 월평균 임금은 315만원이었으나 지방은 89% 수준인 280만원이었다. 2015년 연구·개발(R&D) 투자의 67.3%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관련기사 [수도권 주택 공급 대책] 고만고만하던 서울·지방 집값 차이, 20년간 ‘악어 입’처럼 벌어졌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27
아파트 거래가격 변동률 1998년 기준 연도별 아파트 거래가격 변동률 1998년 8월 대비 2018년 8월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전국이 168.32%다. 그러나 서울과 지방의 오름폭은 달랐다. 서울이 237.49% 오르는 사이 6대 광역시는 159.56% 상승에 그쳤다. 1억원 하던 아파트 가격이 서울에선 3억3749만원으로 오르는 사이 6대 광역시에선 2억5956만원으로 상승했다. ■관련기사 [수도권 주택 공급 대책] 고만고만하던 서울·지방 집값 차이, 20년간 ‘악어 입’처럼 벌어졌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9.27
수도권 공공택지 공급안 수도권 공공택지 34만호 추가 공급 방안 방안을 보면 미니신도시 외에 수도권 도심 내 △공공청사 부지 등 국공유지 △이전 대상 군부대 등 군 유휴시설 △학교·공원 등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부지 등에도 6만5000호가 조성된다. ■관련기사 수도권에 ‘미니신도시’ 4~5곳 조성한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