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2/18 글 목록

2018/02/18 5

최저임금인상,보유세 인상

최저임금인상,보유세 인상에 정부 정책 올해부터 시간당 7530원으로 최저임금이 인상된 데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이 43.6%로,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대답은 34.0%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보면 생산·기능·노무직(50.7%), 사무·관리·전문직(53.5%), 학생(48.8%)의 긍정평가 비율이 높았다. 반면 농임어업(50.0%), 자영업(46.6%)에선 부정평가 비율이 높았다. 임금 노동자를 직접 고용해야 하는 부담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연령별로는 20~40대가 최저임금 인상을 긍정평가한 반면 50·60대에선 부정평가가 더 많았다 ■관련기사 [설 특집 여론조사]최저임금 인상 효과 ‘긍정 평가’ 높고 부동산 보유세 인상은 60.2%가 동의

2010 지방선거, 2014년 지방선거

2010 지방선거, 2014년 지방선거 ‘44.0%(더불어민주당) > 12.1%(자유한국당)’ → ‘?(지방선거 결과)’. 경향신문이 지난 12~13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설민심 여론조사(경향신문 2월15일 자 보도)에서 나타난 여야 정당 지지율이다. 지지율로만 보면 4개월 앞으로 다가온 6·13 지방선거에서 여당인 민주당의 압도적 승리가 점쳐진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4년 6월4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시 여당인 새누리당(자유한국당 전신)의 설 즈음(2월) 지지율은 40%(한국갤럽 기준)였다. 민주당은 21%에 불과했다 ■관련기사 [6·13 지방선거 이것이 궁금하다]②민주당·한국당 지지율 3.5배 격차···최근 2번 선거와 비교해보니

개헌 주요 분야

개헌 주요 분야, 권력구조 및 정부형태 선호도 개헌 시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 할 분야로는 ‘권력구조 개편’을 꼽는 응답이 35.3%로 가장 많았다. 응답자의 10명 중 7명은 선호하는 권력구조로 ‘대통령제’를 꼽았다. ‘4년 중임 대통령제’를 꼽은 응답이 47.9%로 가장 많았고, 현행처럼 ‘5년 단임제’를 하자는 응답도 27.6%나 됐다. ■관련기사 [설 특집 여론조사]6월 지방선거 때 개헌투표, 찬성 47%·반대 46.5% ‘팽팽’

남북정상회담·개헌 필요성

남북정상회담 개최, 개헌 필요성 경향신문이 설을 앞두고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2~13일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남북정상회담에 찬성하는 여론은 69.0%로 나타났다. 남북 문제 이외의 정국 최대 현안인 개헌을 두고는 전체 응답자의 71.6%가 ‘필요하다’고 답해 ‘개헌할 필요가 없다’는 19.7%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관련기사 경향신문·한국리서치 여론조사]국민 10명 중 7명 “남북정상회담 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