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769 Page)

분류 전체보기 12097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증감폭 2017년 한국의 가계 빚 규모는 처분가능소득의 1.6배에 달하며 가계부채 증가속도는 세계 3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17일 국제결제은행(BIS)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보면 지난해 말 한국의 가계신용(가계 빚)은 가계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연금 비용 등을 제외한 금액)의 159.8%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작년 우리나라 가계부채 증가속도 ‘세계 3위’

연간 근로시간·국민총소득 추이

한국의 1인당 연간 근로시간· 1인당 국민총소득 추이 법정 노동시간이 주당 ‘40시간’으로 규정된 것은 2003년부터다. ‘주 5일제’는 2004년부터 시작됐다. 외환위기 때 대량 실직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자 노동계에서는 “노동시간을 줄여 일자리를 나누자”며 노동시간 단축 논의 물꼬를 텄다. ■관련기사 [노동의 新새벽] ① 일과 여가, 기울어진 운동장 - “8시간만 일하게” 과로 사회 끝낼 ‘노동의 신새벽’ 온다

주당 노동시간 변화

근로기준법상 주당 노동시간 변화 한국에서 1953년 근로기준법 제정 이후 근로시간 단축은 크게 두 번 이뤄졌다. 근로기준법 제정 당시 주당 근로시간은 48시간, 주당 최대 근로시간은 60시간이었다. 1989년 근로기준법이 개정되면서 주당 근로시간은 44시간, 주당 최대 근로시간은 64시간으로 바뀌었다. ■관련기사 재계, 노동시간 단축 때마다 “경쟁력 약화” “시기상조” 반복

화장품 사용 초등학생 비율

메이크업 화장품 사용 초등학생 비율· 메이크업 화장품 처음 사용한 시기 김주덕 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 교수가 작성한 ‘초등학생들의 화장품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를 보면 초등학생 42.4%가 색조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화장을 시작하는 연령대도 점점 낮아지고 있다. ■관련기사 아이들까지 메이크업 시키는 사회, “나는 아동 화장을 거부한다”

업스커팅 관련 법안

업스커팅 관련 법안 불법촬영 처벌 규정이 있는 나라들에서조차 업스커팅은 규제의 사각지대에 있다. 미국은 2004년 ‘비디오 관음 행위 방지법’을 도입해 불법촬영 처벌에 나섰지만 업스커팅은 규제 대상에서 제외돼왔다. 업스커팅을 전면 처벌하는 나라는 호주와 뉴질랜드 정도가 있다. ■관련기사 영국 ‘업스커팅’ 처벌법 개정 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