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돔’(Heat Dome) ‘열돔’(Heat Dome) 올해 북반구에서 보이는 기록적인 더위의 원인은 ‘열돔’(Heat Dome) 현상 때문이다. 대기권 상층부에서 발달한 고기압이 느리게 이동하면서 마치 솥뚜껑(돔)처럼 뜨거운 공기를 지상에 가두는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주변의 찬 공기가 유입되지 못해 기온이 계속 올라가게 된다.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지역도 열돔의 울타리에 갇혀 있다. ■관련기사 [여적]열돔(Heat Dome) 오늘의 뉴스/시사 키워드 2018.07.20
국가·청해진해운 손배 책임 유족들이 주장한 국가·청해진해운 손배 책임에 대한 법원 판단 법원이 국가의 총체적인 구조 실패 책임을 인정하지 않은 것을 두고 유가족은 반발했다. 소송을 대리한 김도형 변호사는 “민사상 국가의 불법행위 책임은 넓게 인정할 수 있는데도 김 전 정장의 형사사건 유죄 판결만 근거로 내세웠다.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 판결”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304명의 희생자…국가 책임자는 1명뿐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7.20
개인사업자 추이 개인사업자 추이 19일 국세청이 공개한 국세통계를 보면 개인사업자는 지난해 634만2420명으로 전년 대비 32만2088명 늘어났다. 2013년 537만9731명에서 4년 만에 100만명가량 늘어난 것이다. 개인사업자의 대부분은 자영업자로 분류된다. ■관련기사 이미 ‘포화’인데…자영업자, 4년 새 100만명 늘었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0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율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율 노동부는 지난해 7월부터 올 상반기까지 공공부문에서 13만2673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고 19일 밝혔다. 2020년까지 전환하기로 했던 인원 17만4935명의 75.8%에 해당한다. ■관련기사 “사원증 받으니 소속감·희망 생겨” 13만명의 삶이 달라졌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0
북유럽 산불 발생 지역 북유럽 산불 발생 지역 스웨덴 웁살라는 7월 평년 낮 최고기온이 21.9도지만 지난 16일 34.4도로 197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노르웨이 스노사는 지난 16일 낮 최고기온이 역대 최고인 31.6도까지 올랐고 지난 17일 핀란드 투르쿠는 1914년 이후 최고인 33.3도를 기록했다. 모두 평년 기온보다 10도 이상 높은 수치였다. ■관련기사 열받은 북유럽, 동시다발 산불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7.20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 차량별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 현대·기아차는 모델별로 쏘나타 41만~68만원, 제네시스 EQ900은 137만~288만원씩 낮아진다. 기아차 스포티지는 39만~54만원의 개소세 인하 혜택이 주어진다. ■관련기사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 누리려면…올 연말까지 차량 인도 받아라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7.20
보이스피싱 현황 보이스피싱 현황 금감원은 “어떠한 경우에도 ‘검찰’ ‘경찰’ ‘금감원’ 등이 전화상으로 자금 이체와 개인의 금융거래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며 “일단 의심하고, 전화를 끊고, 해당 기관의 대표번호로 직접 전화해 진위를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관련기사 사지도 않은 ‘안마기 결제 문자’로 신고 유도, 검경 사칭 “범인 잡는데 필요하니 돈 보내라”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7.20
서울연구원 정책 제안 서울연구원 6대 분야 정책 제안 서울·평양 간 교류협력 등 남북 협력시대를 맞아 새로운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도 뜻이 모아졌다. 이민규 박사는 서울시가 발표한 ‘서울·평양 포괄적 도시협력 방안’에 대해 “시민교류, 경제협력, 도시인프라 분야의 우선 추진 과제, 중·장기 과제를 선정해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미세먼지 고농도 시즌 선제 대응…온종일 돌봄체제 도입해야”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7.20
재정개혁특위 권고안 비교 재정개혁특위 권고안 및 정부안 비교 재정개혁특위는 공정시장가액 비율을 매년 5%포인트씩 올려 2022년 100%까지 인상하는 방안을 권고했다. 반면 기획재정부는 5%포인트씩 단계적으로 높이는 부분은 수용했으나 2020년 90%까지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100%까지 더 올릴지는 나중에 결정하겠다고 미뤘다. ■관련기사 ‘재정특위’가 뭐하는 곳이더라?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7.20
학교폭력 사안처리 흐름도 서울시교육청 개선안을 반영한 학교폭력 사안처리 흐름도 익명을 요구한 한 교사는 “의원들이 많은 개정 법률안을 냈지만 정작 학폭위 개선의 핵심인 ‘사전 중재’를 담은 안은 없다”면서 “학교장 종결권이 담길 경우 학교의 조직적 은폐를 막을 방법이 없다는 학부모 단체의 주장에 의원들도 눈치를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특집]삭막해진 학폭위 제 기능 잃었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