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029 Page)

분류 전체보기 12097

체육특기자 학사관리·입시 개선 방안

교육부 방안에 따르면 2020학년도 대학입시부터 체육특기자 전형에 학생부가 의무적으로 반영된다. 교과 성적과 출석이 기록된 학생부는 현재 대학별로 반영 여부를 선택하고 있다. 2017학년도 입시에서 체육특기생을 뽑은 92개교 가운데 학생부를 반영한 학교는 59곳(64.1%)이었다. 교육부는 또 대학이 자의적으로 전형을 바꿀 수 없도록 모집인원과 정량평가 기준을 공개하고, 면접·실기평가에 외부인사가 참여하도록 했다. 교육부는 ‘제2의 정유라·장시호’를 막기 위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학생에게만 이중고를 지우는 행정편의 위주 대책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관련기사 운동선수도 공부 안 하면 대학 가기 어렵다

프랑스 대선후보들의 주요 공약

좌우 포퓰리즘이 기성 정치판을 뒤흔들고 있는 프랑스 대선이 보름 앞으로 다가왔다. 오는 23일 대선 1차투표를 앞두고 결선투표(5월7일)에 진출할 두 명의 후보는 아직 분명치 않다. 현재까지 여론조사 결과 극우 민족전선(FN)의 마린 르펜 후보(48)와 중도 ‘전진(앙마르슈)’의 에마뉘엘 마크롱 후보(38)가 선두권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좌파연대 ‘굴복하지 않는 프랑스’의 장 뤽 멜랑숑 후보(65)의 지지율이 급상승하면서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포퓰리즘 후보가 당선될 경우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에 이은 프랑스의 EU 탈퇴(프렉시트)는 물론,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군사부문 탈퇴로 이어지면서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질서의 격변이 불가피하다. ■관련기사 좌우 포퓰리즘 돌풍에 ‘구질서’..

대형 포털들의 대선 관련 신규 서비스

‘팩트 체크’가 새로운 뉴스의 전형으로 떠오르면서 정보기술(IT) 업계도 ‘팩트 체크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에 힘을 쏟고 있다. 5월 조기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IT 업계가 내놓는 새로운 서비스가 시민 정치 참여의 확대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가짜뉴스 꼼짝 마” 포털도 대선판 뛴다

최근 3년간 주요 은행 배당금 및 배당성향

9일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한국씨티·SC제일 등 6개 주요 은행의 사업보고서를 보면 씨티은행의 배당성향이 49.8%로 가장 높았다. 배당성향은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을 말한다. 씨티은행의 경우 지난해 순이익의 절반가량을 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나눠줬다는 의미다. SC제일은행의 배당성향은 35.6%였다. 외국계 은행 두 곳의 배당성향은 지난해 시중은행의 평균 배당성향 32.03%보다 높았다. ■관련기사 외국계 은행 또 ‘얌체 고배당’

국내 맥주소비 추이, 국내 수제맥주 시장 현황, 수입맥주 수입액 현황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 반입된 수입맥주는 총 22만556t으로 2015년 17만t에 비해 30% 가까이 급증했다. 맥주 수입액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6년 기준 1억8158만달러로 전년대비 31.3% 증가, 2014년 이후 2년 만에 66%가 늘어났다. 다양한 맥주를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가 커진 데다 혼술 트렌드가 확산되며 수입맥주의 선전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수입·수제 ‘양수겸장’에 맥 못추는 대기업 맥주

프로농구 플레이오프 대진 및 일정

지난 8일 서울 삼성이 인천 전자랜드를 꺾으면서 2016~2017 프로농구 4강 플레이오프(5전3선승) 대진도 완성됐다. 전자랜드를 힘겹게 꺾고 올라간 삼성은 정규시즌 2위 고양 오리온과 맞대결을 펼치고, 정규리그 1위 안양 KGC인삼공사와 4위 울산 모비스가 한판 승부를 벌인다. ■관련기사 마침내 가려진 프로농구 ‘파이널 4’, 어떤 점을 주목해야 하나

금호타이어 매각 쟁점에 대한 금호 아시아나그룹과 채권단의 입장

금호타이어 매각 문제가 채권단과 원주인인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간 갈등이 격화되면서 안갯속으로 치닫고 있다. 채권단은 회사를 인수할 수 있는 우선매수청구권을 가진 박 회장에게 “4월 19일까지 청구권 행사 의향을 결정해달라”며 ‘최후통첩’을 한 상태다. 반면 박 회장은 채권단에 “자금 동원을 위해 자유로운 컨소시엄 구성부터 허용해달라”며 반발 중이다. 박 회장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법적공방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잘 안굴러가는 금호타이어 인수전

제조물 책임법 개정안 골자

개별 법률에 징벌적 손해배상이 도입된 게 처음은 아니지만, 제조물 책임법의 경우 적용받는 대상 기업 및 소비자가 광범위하다는 점에서 도입 여부가 큰 관심을 모아 왔다. 특히 수백명에 달하는 피해자를 양산한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계기로 기업의 부도덕한 영업행태를 바로잡고, 피해자들이 최소한의 합당한 배상을 받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제조물 책임법에 징벌적 손해배상이 도입돼야 한다는 여론이 높았다. 정치권이 제조물 책임법 개정안을 전격적인 합의를 통해 처리한 것은 이 같은 국민들의 요구를 일정 부분 수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관련기사 징벌적 손해배상제는 ‘솜방망이’

미국, 시리아 공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화학무기 공격 사실이 알려진 지 사흘 만에 시리아 공군기지를 공습했다. 고립주의를 외치던 트럼프가 도리어 중동 전선을 확대하는 길로 들어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리아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을 끌어내리는 ‘레짐 체인지’까지 이어질지 국제사회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관련기사 [미국, 시리아 공습]‘어린이 참상’ 사흘 만에 군사적 응징…‘아사드 축출’ 나서나

현대·기아자동차 세타2 엔진 리콜 대상 차량

그동안 국내에서는 문제없다며 부인해오던 현대·기아자동차의 ‘세타2 엔진’ 결함이 사실로 드러나 17만여대 리콜이 결정됐다. 이미 미국에서는 2015년 비슷한 이유로 약 47만대 리콜을 단행했고 추가로 이번에도 약 120만대 리콜이 확정돼 현대차 엔진의 신뢰도에 금이 갔다. 세타2는 가솔린 직분사(GDI) 엔진으로 그랜저, 쏘나타, K7, K5 같은 현대·기아차 대표 차종의 심장이다. ■관련기사 현대·기아차 ‘국내 세타2 엔진’ 결함 사실로…17만여대 리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