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철강 수출 상위국가 한국의 철강 수출 상위국가, 대미국 철강 수출액 지난 2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업체들의 대미 철강 수출 규모의 57% 수준인 199만6000t이 강관 제품이다. 특히 대미 수출용 유정용 강관은 2016년 42만t에서 지난해 92만t으로 2배 이상 늘었다. 송유관도 같은 기간 35만t에서 53만t으로 증가했다. ■관련기사 [미국발 ‘관세 폭탄’]최악은 피했지만…한국 철강기업 “경쟁력 상실, 비상”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3.05
브라질 연금지출 비율 브라질 국내총생산 대비 연금지출 비율 2017년 세계은행에 따르면 연금은 브라질 정부 지출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 1995년 국내총생산(GDP)의 4.6%였던 연금 지출액은 2016년 8.2%로 늘었다. 지난해 1750만명이던 65세 이상 인구는 2060년 5840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연금 비율은 GDP의 17%에 육박하게 된다. OECD는 이런 브라질 연금 제도를 두고 “지속 불가능한 제도”라고 했다. ■관련기사 ‘연금개혁’ 무산된 브라질, 국가신용등급 하락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3.02
지주회사 수익구조 실태조사 주요 지주회사 수익구조 실태조사 대상 앞서 공정위가 국내 57개 공시대상기업집단을 대상으로 상표권 사용료 수취현황·공시실태를 점검한 지난 1월 결과를 보면 코오롱그룹 지주회사 코오롱은 계열사에서 상표권 사용료로만 272억3500만원을 받았다. 한국타이어그룹 지주회사인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도 478억7000만원을 받았다. 두 지주회사는 매출액의 절반 이상이 상표권 수수료였다. ■관련기사 공정위, 총수 일가 ‘돈줄’로 지목된 지주회사 손본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3.02
저가요금제·단말기 가격 비교 국가별 저가요금제 비교, 한국의 국내외 평균 단말기 판매가격(ASP) 비교 시장의 흐름은 정부 바람과는 사뭇 다르다. 정부의 압박에 요금제 개편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고가 요금제 출시에 중점을 두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달 22일 데이터 제공량과 속도에 제한을 두지 않는 8만원대 요금제를 출시했다. ■관련기사 [통신비 낮추기 공약 점검](하)정부 “자율적 저가 요금을” 이통사는 고가 요금제 ‘만지작’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3.02
은행권 정기예금 증감 추이 연도별 은행권 정기예금 잔액과 증감 추이 지난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 은행권 정기예금 잔액은 617조4699억원으로, 1년 전보다 5.2%(30조4933억원) 증가했다. 이는 2011년(12.1%, 60조8095억원) 이후 증가율과 증가액에서 가장 큰 규모다. ■관련기사 1%대 저금리에도 달리 둘 곳 없어서…작년 은행 정기예금 600조원 첫 돌파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3.02
인구 자연증가분 추이 출생아·사망자·인구 자연증가분 추이 출생아는 감소하고 고령화로 사망자들은 늘어나면서 지난해 국내 인구의 자연증가분은 7만2000명에 그쳤다. 통계청 관계자는 “인구 자연증가분은 지난해에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10만명은 넘는 수준이었다”며 “올해 7만명까지 줄어든 것은 굉장히 감소한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혼인 줄고 사회·경제 불안 커져…둘째·셋째는커녕 첫째도 안 낳아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3.02
국회의원 후원금 현황 2017 국회의원 후원회 후원금 현황 더불어민주당의 박주민 의원이 지난해 국회의원 중 가장 많은 후원금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박 의원은 3억4800여만원의 후원금을 받아 국회의원 평균 모금액 1억8000여만원의 두 배 가까운 돈을 모금했다. 가장 적은 후원금을 받은 이는 한국당 배덕광 전 의원으로, 지난해 1440만원을 모금했다. ■관련기사 박주민 의원 3억4800만원 1위, 상위 4명이 민주당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2.28
성폭력범죄 제1심 판결 추이 성폭력범죄 제1심 판결 연도별 추이 법원행정처에 따르면 강간과 추행죄 1심판결에서 벌금형이 나온 비중은 2006년 15.5%에서 2015년 38.2%로 2배 이상 증가했다. 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돼도 말 그대로 돈만 내고 나오면 되는 식인 셈이다. ■관련기사 [포커스]강제추행 법처벌은 ‘솜방망이’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2.28
OECD 국가별 연간 근로시간 OECD 국가별 연간 근로시간 이번 법 개정을 통해 문재인 정부는 ‘노동시간 단축’에 한발 더 다가가게 됐다. 다만 법 개정은 ‘선결조건’이고, 장시간 노동을 실효성 있게 개선하기 위해서는 그 이상의 정책이 따라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주 52시간제가 정착돼도 정부 공약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의 연간 1800시간’에는 못 미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노동시간 단축]휴일근무도 연장근로로 인정…‘저녁이 있는 삶’ 첫발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2.28
근로기준법 개정안 핵심취지 근로기준법 개정안 핵심취지 이번 개정안은 ‘1주일은 휴일을 포함한 7일’이라는 문구를 조문에 명시했다. 이렇게 되면 휴일에 일한 것도 ‘연장근로’로 인정된다. 1주 노동시간이 평일의 40시간과 연장근로 12시간을 더한 52시간으로 제한되는 셈이다. ■관련기사 [노동시간 단축]휴일근무도 연장근로로 인정…‘저녁이 있는 삶’ 첫발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