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북한 축구 비교 한국 vs 북한 축구 비교 상대 전적에서는 한국이 7승8무1패로 앞선다. 1990년 평양에서 열린 친선경기에서 1-2로 패한 이후 한국은 11차례 북한을 만나 4승7무로 무패를 달렸다. 하지만 2008년 이후 최근 7경기(2승5무)에서 한국은 북한을 상대로 1골 넘게 넣은 적이 없다. ■관련기사 북 강한 압박 뚫고 ‘빈틈’ 찾아라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9.10.15
사법행정 범위 공방 사법행정의 범위·한계를 둘러싼 검찰과 피고인들 공방 '사법행정이란 무엇인가.’ 사법농단 사건 근간엔 이 질문이 놓여 있다. 사법행정은 인사·예산 등 법원 운영에 필요한 업무다. 사건의 내밀한 정보를 빼내거나 판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는 사법행정에 포함될까. 검찰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신광렬 판사를 비롯한 사법농단 피고인들은 포함된다고 반박한다. ■관련기사 ["존경하는 재판장님" 사법농단, 법정의 기록](13)사건 정보 빼내고 판사 결정에 영향 주는 행위도 ‘마땅히 할 일’일까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9.10.15
적색 왜성 특징 '적색 왜성'의 특징 적색 왜성은 태양보다 작고 가볍다. 질량이 태양의 0.1~0.5배에 그친다. 태양이 성인 몸무게라면 적색 왜성은 유아에서 초등학생쯤 된다. 표면 온도도 더 낮다. 태양은 섭씨 6000도이지만, 적색 왜성은 3500도를 넘지 않는다. ■관련기사 별의 75% 차지 ‘적색 왜성’ 주변 행성에 생명체 존재 가능성 주목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9.10.15
통과 관측법 원리 통과 관측법의 원리 최근에는 또 다른 방법도 각광받고 있다. ‘통과 관측법(transit method)’이다. 행성이 별 앞을 지나갈 때 미세하게 별빛이 어두워지는 상황을 감지하는 것이다.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놓이는 일식과 비슷한 현상이 우주 공간에서 아주 작은 규모로 일어나는 순간을 잡아내는 방법이다. ■관련기사 ‘외계 행성’은 어떻게 찾아낼까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9.10.15
롯데백화점 매출신장률 롯데백화점 해외명품과 준명품 매출신장률 롯데백화점은 연간 명품 매출 신장률이 24.7%, 신세계는 23.7%에 달한다. 백화점업계에서 이미 명품의 매출 비중은 전체의 15% 수준으로 성장했다. ■관련기사 요즘 백화점…‘있는 분’ 모십니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9.10.14
경기선행지수 추이 OECD 경기선행지수(CLI) 추이 이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8월 OECD 회원국 전체의 경기선행지수(CLI)는 99.06으로 전월보다 0.04포인트 하락해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한창이었던 2009년 9월(98.68)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27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관련기사 기준금리 어디까지 내려갈까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9.10.14
상업용 부동산 수익률 2018년 상업용 부동산 투자수익률, 매체별 분양광고 중요 정보 고시 미준수 현황 최근 시중에 넘치는 부동자금과 각종 개발사업 등의 영향으로 부동산의 자산가치는 높아지고 있다. 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상업용 부동산 투자수익률은 연 6~7%대로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다. 오피스 투자수익률은 7.61%로 전년(6.44%)보다 1.18%포인트 올랐다. ■관련기사 상업용 부동산 분양 광고 ‘수익 뻥튀기’ 조심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9.10.14
SK·키움 선발 매치업 SK-키움, 플레이오프 1차전 선발 매치업 김광현(31·SK)과 제이크 브리검(31·키움)이 14일 인천 SK행복드림구장에서 열리는 2019 KBO리그 포스트시즌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 선발 대결을 벌인다. 둘은 지난해 플레이오프에서 두 차례씩 선발로 충돌했지만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1차전에서는 나란히 부진했다. ■관련기사 1년만의 재회, 1년전을 지운 자가 웃는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9.10.14
마라톤 신기록 변천사 남자 마라톤 주요 세계 신기록 변천사 2003년에는 폴 터갓(케냐)이 2시간 5분대를 깬 2시간4분55초의 기록을 세웠다. 지난 해 킵초게가 베를린 마라톤에서 2시간1분39초의 기록으로 2시간 벽에 다가섰고 이번 비공식 레이스에서 마침내 2시간 벽을 허물었다. ■관련기사 ‘마의 2시간’ 깬 킵초게 “마라톤계 달 착륙”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9.10.14
미국 공직자 이직 현황 역대 미국 행정부별 고위 공직자 이직 현황 트럼프 행정부의 또 하나의 특징은 백악관 고위직과 각료의 이직이 전임 행정부보다 잦다는 점이다. 미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의 캐스린 던 텐퍼스 선임연구원이 지난 8월 발표한 ‘트럼프 행정부의 이직률 추적’ 자료를 보면 8월 2일 현재 백악관의 주요 보직자 65명 가운데 트럼프 취임 이후 49명이 떠났다. 이직률은 75%다. ■관련기사 [조찬제의 월드 프리즘]트럼프는 ‘장관’보다 ‘대행’을 좋아해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9.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