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엄김치간 위치 뮤지엄김치간 위치 서울 인사동 뮤지엄김치간(間)은 국내 최초 김치박물관이다. 1986년 김치박물관이란 이름으로 삼성동에 문을 열었다가 2015년 인사동으로 자리를 옮겨 뮤지엄김치간으로 재개관했다. 뮤지엄김치간은 김치의 유래와 종류부터 담그는 방법, 김장 도구와 보관 공간까지 모두 보여준다. ■관련기사 박물관도 맛~있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12.13
이천농업테마공원 쌀문화관 박물관 이천농업테마공원 쌀문화관 위치 쌀문화전시관은 이천농업테마공원에 자리 잡았다. 이천농업테마공원은 15만㎡가 넘는 부지에 쌀문화전시관, 체험용 경작지인 다랑논, 쌀먹거리촌, 임금님표 이천 농식품 홍보·판매장 등이 있어 산책 삼아 둘러보기 좋다. ■관련기사 박물관도 맛~있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12.13
막국수 체험박물관 막국수 체험박물관 위치 막국수를 테마로 한 춘천막국수체험박물관은 건물부터 막국수를 뽑는 국수틀과 가마솥을 본떠 지었다. 박물관 1층은 전시관으로 꾸며 춘천 막국수의 유래와 메밀 재배법, 막국수 조리 과정 등을 보여준다. ■관련기사 박물관도 맛~있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12.13
금산인삼관 위치 박물관 금산인삼관 위치 서울 인사동 뮤지엄김치간(間)은 국내 최초 김치박물관이다. 1986년 김치박물관이란 이름으로 삼성동에 문을 열었다가 2015년 인사동으로 자리를 옮겨 뮤지엄김치간으로 재개관했다. 뮤지엄김치간은 김치의 유래와 종류부터 담그는 방법, 김장 도구와 보관 공간까지 모두 보여준다. ■관련기사 박물관도 맛~있다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12.13
국산 딸기 수출액 국산 딸기 수출액 국산 딸기는 수출 효자 품목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딸기 저장기간이 일주일 정도에 불과해 대부분 동남아 지역으로 수출되고 있지만 수출액은 꾸준히 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자료를 보면 2012년 2244만1000달러(약 253억5000만원)였던 딸기 수출액은 2014년 3159만9000달러, 지난해 4298만2000달러(약 485억7000만원)로 늘었다. ■관련기사 “일본산 천하 딸기 시장, 토종 ‘설향’이 접수”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2.13
주52시간제 근무 실태 주52시간제 근무 실태 조사 대한상공회의소는 11일 대기업과 중소기업 317개사를 대상으로 주 52시간 근무제 실태를 조사한 결과 24.4%가 초과 근무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8월 고용노동부의 조사결과인 16.4%보다 8%포인트 높은 수치다. ■관련기사 주 52시간제 적용 기업 4곳 중 1곳 “초과근무 여전”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2.13
출생 및 사망자 수 서울 출생 및 사망자 수 서울에서는 지난해 하루 평균 179명이 태어났다. 이는 1981년 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200명 선이 무너졌다. 2012년 하루 257명이던 신생아는 이듬해 230명으로 내려앉았고 2016년 206명으로 감소했다. 65세 이상 인구는 136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6만여명 늘었다. 이 중 30만4000명(22.3%)은 독거노인이다. ■관련기사 아기 울음 줄어드는 서울 출생, 하루 200명선 붕괴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2.13
산업별 취업자 증감 올해 월별 취업자 증가폭, 11월 산업별 취업자 증감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이 주도했다. 이 업종에서만 취업자 수가 16만4000명 증가했다. 정보통신업과 농림어업에서도 각각 8만7000명, 8만4000명 늘었다. 공공행정에서는 전월(3만1000명)과 비슷한 3만2000개의 일자리가 늘었다. ■관련기사 일자리 늘었지만…대부분 ‘단기’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