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캐빈저 출몰 종류 로드킬당한 동물, 주로 누가 먹나 관찰 결과 생태계 청소부로서 가장 많이 활약하는 것은 까마귀류였다. 사체 120개 중 까마귀가 처리한 비율은 42%를 차지했다. 설치류들도 사체를 노리고 나타났지만 사체 전체를 처리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관찰됐다. ■관련기사 주의! 로드킬당하는 동물 수, 추정치보다 많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5.21
LG 지분 구조 LG그룹 지주사 '(주)LG' 지분 구조 LG의 ‘4세 경영’이 본격화한다. LG그룹의 창업주인 구인회 회장-구자경 명예회장-구본무 회장에 이어 구광모 LG전자 상무(40)가 장자 승계 원칙에 따라 경영권을 이어받게 된다. ■관련기사 [구본무 LG그룹 회장 별세]‘장자 승계 전통’ 구광모 이어받아…당분간 전문경영인 체제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5.21
중국 내 뮤지컬 공연 횟수 중국 내 뮤지컬 공연 횟수, 중국 뮤지컬 제작 방식별 구분 예술경영지원센터(예경)가 중국 리서치 회사 도략문화산업연구센터의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11년 854회였던 뮤지컬 공연 횟수는 2016년 2113회로 5년 사이 두 배 이상 늘어났다. ■관련기사 포화상태 한국 뮤지컬, 중국 시장에서 ‘신한류’로 활로 찾는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5.21
산업별 취업자 증가폭 산업 분야별 취업자 수 증가폭 반면 공공행정 분야는 지난해 4월 취업자 수 증가가 2만1000명에 불과했으나 지난 4월에는 8만1000명대로 증가했고,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은 같은 기간 취업자 증가가 6만8000명에서 14만4000명으로 확대됐다. 고용구조의 변화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이 만든 결과이기도 하다. ■관련기사 부동산·건설서 공공·사회복지로…‘고용 주도 산업’ 격변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5.18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기준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기준 변경 시 변화 가장 쟁점이 되는 것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종속회사에서 2015년 말 관계회사로 지위가 변경되면서, 4년간 적자였던 회사가 2015년 말 당기순이익 1조9049억원의 흑자 기업으로 탈바꿈한 과정이 적절했는지 여부다. ■관련기사 혼돈에 싸인 삼성바이오로직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5.18
신흥국 채권 가산금리 신흥국 채권 가산금리 신흥국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채권의 가산금리는 올라가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신흥국 채권의 가산금리는 3월 말 대비 27bp 상승했다. 올 초 대비하면 41bp가 올랐다. 가산금리가 올라가면 자금을 조달할 때 부담이 더 커진다. ■관련기사 아르헨 사태, 글로벌 위기 부르나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5.18
대미 달러 절상·절하율 주요국 대미 달러 절상/절하율 아르헨티나가 페소화 가치 폭락을 이기지 못하고 국제통화기금(IMF)에 300억 달러(32조원) 규모의 구제금융을 요청했다. 원인은 미국의 금리인상이었다. 아르헨티나는 일주일 동안 세 차례나 금리를 인상하며 40%까지 끌어올렸지만 달러 유출을 막지 못했다. ■관련기사 아르헨 사태, 글로벌 위기 부르나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5.18
일본 여성 후보자·당선자 비율 일본 선거의 여성 후보자·당선자 비율 일본에서 여성의 정치 진출은 세계 평균에 훨씬 미치지 못하고 있다. 국제의원연맹(IPU)이 발표한 2017년도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중의원 중 여성 비율은 10.1%로, 193개국 중 158위였다. ■관련기사 ‘남녀 후보자 수 가능한 균등’ 일본 의회 성평등 실험 시작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5.17
지역별 출퇴근 소요시간 경기→서울 출근 통행량 순위, 지역별 출퇴근 소요시간 16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연구원이 국가교통조사 자료를 이용해 전국 통행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16년 기준 서울의 평균 출퇴근 시간은 96.4분이었다. 반면 전남(66.6분), 경북(68.5분), 강원(69.3분) 등은 상대적으로 출퇴근 시간이 짧았다. ■관련기사 서울시민, 출퇴근에 평균 1시간36분 쓴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5.17
4월 산업별 취업자 수 전년 동기 대비 취업자 수 증가폭, 전년 대비 4월 산업별 취업자 수 정부 일자리 정책의 영향으로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4만4000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8만1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상당수 늘었다. 하지만 교육서비스업 등 다른 분야의 위축이 컸기 때문에 전체적인 고용 상황 개선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관련기사 취업자 증가, 석 달째 10만명대…‘고용의 봄’ 멀었나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