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32 Page)

분류 전체보기 12097

문재인 국정분야 평가

문재인 국정분야 평가 문재인 정부 국정 분야 중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이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전체 응답자의 32.6%가 이 문제를 꼽았다. 특히 20대의 40.7%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고용 문제에 민감한 세대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분야별 부정평가는 ‘사회갈등 해소 및 국민통합’(13.9%), ‘집값 안정 등 부동산 정책’(12.5%), ‘인사 문제’(9.9%) 등 순이었다. ■관련기사 [창간기획 - 여론조사]남북관계 개선 “잘한다” 26%…경제·일자리 “못한다” 32%

주유소 기름값 상승액

유류세 환원분 주유소 기름값 반영 속도 지난 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지난 2일 전국 주유소 보통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ℓ당 1543.49원으로 집계돼 유류세 환원 직전인 지난 8월31일 1496.68원보다 46.81원 올랐다. 이는 정부가 9월1일 유류세 인하를 종료한 뒤의 유류세 환원분 58원의 80.7% 수준이다. ■관련기사 유류세 인하 끝난 지 한 달…기름값, 예상 밖 완만한 상승

공공임대주택 유형

공공임대주택 임대 유형 대기자수 4만4938명. 현재 전국 영구임대아파트에 신청을 하고 입주를 기다리고 있는 대기자(예비 입주자)다. 주거취약계층을 위한 매입임대, 전세임대 등은 ‘물량’ 자체가 적을 뿐더러 공고가 나와야 지원이 가능하거나 주택 형태의 공급이 아니라서 사실상 대기 명부조차 없다. ■관련기사 [창간기획]10년을 기다렸지만…‘대기자’ 명단에도 못 들었다

톨게이트 요금수납원 발언

톨게이트 요금수납원 100명의 현장 목소리 경향신문이 요금수납원 100명의 쪽지글을 사용 단어 빈도수로 분석했을 때, 가장 많이 등장한 단어는 대개 고용불안과 관련이 있었다. 직접고용(80회), 정규직(30회)이라는 단어 못지않게 해고(29회), 불안(26회), 비정규직(19회)이라는 단어도 자주 반복됐다. ■관련기사 톨게이트 요금수납원 100명의 현장 목소리…우리는 왜 자회사 정규직을 거부하는가

영구임대아파트 설문조사

서울 'ㄱ영구임대아파트' 최초 입주자 설문조사 자녀 166명 중 직업을 정확히 확인한 이들은 모두 135명이다. 가정주부, 회사원, 무직, 자영업, 노동 및 일용직 순으로 많았다. 주부는 33명이었다. 현재 주부인 이들이 과거에 했던 일은 간호사, 간호조무사, 유치원 교사, 케이블TV 전화상담원 등이다. ■관련기사 [창간기획]공공임대주택 구멍 뚫린 복지…10평 집에 갇힌 ‘빈곤의 대물림’

정경심 관련 의혹

정경심 교수 관련 의혹과 혐의·해명 정 교수는 사모펀드 운용사 코링크프라이빗에쿼티(코링크PE)의 설립과 투자사 경영에 개입했다는 의혹도 받는다. 정 교수는 조 장관이 2017년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임명된 뒤 보유하던 주식을 팔아 코링크PE가 운용하는 펀드 ‘블루코어밸류업 1호’에 자신과 자녀 이름으로 총 10억5000만원을 투자했다. ■관련기사 [정경심 비공개 소환]검찰, 표창장 위조 등 자녀 입시 관련 의혹 8시간 집중 추궁

문재인 지지율 추이

문재인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율 추이(%) 문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46.4%였고, ‘잘 못하고 있다’는 답변은 49.4%였다.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2017년 9월 72.6%, 2018년 10월 66.8%에 이어 연속 하락했다. 20대의 긍정평가는 2017년 89.3%에서 올해 46.3%로 급락했다. ■관련기사 [창간기획 - 여론조사]“문 대통령, 대국민 소통 잘한다” 2년 만에 81%서 48%로

조국 장관 임명 평가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 평가, 한·일 갈등에 대한 정부 대응, 특목고 폐지 및 일반고 전환에 대한 입장, 북한 비핵화 전망 조 장관 임명에 대한 입장은 이념, 정치성향, 연령별로 선명하게 갈렸다. 진보층은 조 장관 임명에 75.4%가 동의했고,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3.0%에 그쳤다. 반대로 보수층에서는 82.9%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동의는 16.0%에 불과했다. 2 대 8로 선명하게 갈라진 것이다. ■관련기사 [창간기획 - 여론조사]54 대 42…‘조국 논란’ 갈라진 한국 선명하게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