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가계대출 증가액 은행 가계대출 증가액 지난달 말 진행된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공모주 일반인 청약에 ‘빚투(빚내서 투자)’ 수요가 대거 몰리면서 올 4월 가계대출과 신용대출이 모두 사상 최대폭으로 불어났다. SKIET 청약을 위한 대출만 9조원가량 되는 것으로 한국은행이 추산했다. ■관련기사 끝나지 않은 ‘빚투’ 지붕 뚫은 가계대출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1.05.13
항만하역 재해통계 항만하역 재해통계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2010~2019년 ‘항만하역 재해 통계 및 사례’를 보면 지난 10년 동안 산재로 사망한 항만노동자는 33명으로 집계됐다. 부상자는 1193명으로 해마다 3명가량 목숨을 잃고 120명 가까이 다친 셈이다. 실제 사고를 당한 사람은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기사 [단독]항만노동자 매년 3명꼴 사망…위험 방치에 산재 ‘도돌이표’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1.05.13
자영업자 업종 전년 대비 매출 자영업자 업종 전년 대비 매출 코로나19로 인해 지난해 자영업 매출액이 19조원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의 직격탄을 맞은 음식점 피해가 가장 컸다. ■관련기사 작년 자영업 매출 19조4137억 줄어…음식점, 가장 큰 타격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1.05.12
중국 총인구와 연평균 증가율 중국 총인구와 연평균 증가율 ‘14억 인구 대국’ 중국에 빨간불이 켜졌다. 인구 증가율이 계속 둔화되고 고령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향후 1∼2년 내 인구 감소가 시작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어서다. 그동안 거론돼 온 산아제한 폐지와 정년 연장 논의 등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14억명 대국’의 위기감…중국도 인구 감소 대비한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1.05.12
아파트 전세수급지수 아파트 전세수급지수 올 들어 안정을 찾아가던 서울 아파트 전세시장이 다시 불안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아파트 신축 입주 물량 감소로 전세 공급은 부족한 반면 재건축 단지의 이주가 시작되면서 수요는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강남 5200가구 재건축 이주…서울 전세시장 들썩거린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1.05.12
소득분위별 가구소득 감소율 소득분위별 가구소득 감소율 코로나19 충격이 주로 저소득층에 집중되면서 불평등이 더 심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일자리를 잃거나, 일을 하더라도 수입이 줄어든 현상이 소득 1분위(하위 20%)에서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특히 1분위 가구 중 임시·일용직 중심으로 일자리를 많이 잃었고, 자영업가구의 소득은 크게 줄었다. 자녀가 있는 여성 가구는 고용과 소득에서 모두 취약했다. ■관련기사 코로나 직격탄…저소득층 ‘빈익빈’ 키웠다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1.05.11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 중국 정부의 디지털화폐(CBDC) 실험이 초기 단계에서 큰 호응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존 민간 모바일 결제시스템이 공고한 데다, ‘빅브러더’ 감시망에 대한 사용자들의 우려가 크다는 것이다. ‘달러 패권’에 도전하는 디지털 위안의 국제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중국 디지털 위안 실험시작부터 ‘뜨뜻미지근’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1.05.11
감정노동 종사자 실태조사 감정노동 종사자 실태조사 서울 강동구가 지난해 8~11월 관내 공공부문 감정노동자 405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한 결과 감정노동자의 6%가 우울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감정노동자의 5%는 급성스트레스장애를, 2%는 불안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감정노동자 우울장애, 일반 노동자의 4배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1.05.11
고용 보조지표 추이 고용 보조지표 추이 지난해 실업률 지표는 다른 국가에 비해 소폭 늘어났지만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는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식 실업률 지표에는 잡히지 않는 잠재 구직자에 대한 실태 파악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관련기사 ‘실업률 0.2%P 상승’ 선방한 지표가 보여주지 않는 ‘그림자 실업’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1.05.11
세계식량가격지수 변화 세계식량가격지수 변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11개월 연속 상승했다. 지수 상승을 주도하는 국제곡물가격이 쉬지 않고 오르는 데다, 해상운임 상승 여파까지 겹치면서 국내 밥상 물가 관리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관련기사 식량가격지수 11개월 연속 올라…2분기 밥상 물가 ‘불안’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21.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