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수질 증언으로 본 북한의 수질 대동강은 “오수, 분뇨 중 절반 정도가 정화되지 않은 채 그대로 유입”되며, 수돗물을 음용수로 마시기 어려운 상황으로 알려졌다. 두만강은 “무산탄광, 회령제지공장, 중국 개산둔 펄프공장 등에서 오염물질이 흘러들어와 수질오염이 심각”하며, 수생식물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고 한다. ■관련기사 [DMZ를 그린존으로](2)북 평양·공업지대 오염…남북 교류 ‘녹색 신뢰’도 중요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6.29
국가직 여성공무원 추이 연도별 국가직 여성공무원 추이 여성 공무원 비율은 전체 공무원 중에서는 46.0%, 국가공무원 중에서는 50.2%, 지방공무원 중에서는 39.2%이다. 여성 국가공무원은 32만9808명으로, 남성 32만6857명보다 2951명이 많다. ■관련기사 공직사회 ‘여초 시대’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29
특정직 여성공무원 특정직 여성공무원 특정직 여성 공무원 비율도 점차 늘고 있다. 교육공무원은 30년 전인 1987년 39.8%(9만4324명)에서 2017년 71.0%(25만7232명)로 크게 증가했다. 경찰공무원은 1987년 여성이 1.2%(818명)에 불과했으나, 2017년 10.7%(1만3558명)로 높아졌다. ■관련기사 공직사회 ‘여초 시대’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29
갤럭시노트9 예상 스펙 갤럭시노트9 예상 스펙 현재까지 주요 외신 보도 등을 종합하면 갤럭시노트9은 6.4인치 크기의 슈퍼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채택해 화면이 갤럭시노트8(6.3인치), 갤럭시S9플러스(6.2인치)보다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6GB 램에 내장 플래시 메모리는 64GB·128GB·256GB 등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8월9일 미 뉴욕서 베일 벗는 ‘갤노트9’…하반기 경쟁 신호탄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6.29
건설산업 혁신 주요 방안 건설산업 혁신 주요 방안 정부는 건설산업의 생산구조 혁신을 위해 원청의 직접시공을 활성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원청이 일정 비율 이상을 직접시공해야 하는 ‘직접시공의무제’ 대상 공사를 현행 50억원에서 100억원 미만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원청의 직접시공 늘려 건설 하도급 부당행위 개선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6.29
상황별 여행지 베스트 3 아시아나 승무원이 추천하는 상황별 여행지 베스트 3 아시아나는 여름휴가철을 맞아 캐빈 승무원 2188명을 대상으로 여행 목적 및 동행에 따른 ‘승무원이 추천하는 여행지’를 설문조사해 28일 결과를 전했다. 이에 따르면 ‘가족과 함께 떠나는 여행지’로는 하와이가 54%(1181명)의 지지를 얻어 1위로 꼽혔다. ■관련기사 올여름 가족과는 ‘하와이’, 혼자서는 ‘도쿄’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29
온라인 쇼핑 거래액 추이 온라인 쇼핑 거래액 추이와 비중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 같은 온라인상 가격 담합 현상을 이미 ‘디지털 카르텔’이란 용어로 규정하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이 2017년 8월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는 디지털 카르텔을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업의 담합행위’로 정의했다. ■관련기사 [특집]애써 찾은 최저가가 알고리즘 담합이라고? 오늘의 뉴스/통계뉴스 2018.06.29
알파세대 알파세대(Generation Alpha) 호주의 사회학자 마크 매크린들의 정의에 따르면 2011~2025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를 의미한다. 현재 0~8세 영·유아들인 이들은 인공지능과 로봇을 비롯한 기술적 진보에 익숙하며 태생적으로 디지털 인류의 성격을 갖는다. 밀레니얼 세대인 부모는 이들을 위해 지출을 아끼지 않는 경향이 있다. 2025년에는 20억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옹알이 때부터 ‘IT 달인’…알파세대가 온다 오늘의 뉴스/시사 키워드 2018.06.28
잉글랜드·벨기에 전력비교 잉글랜드·벨기에 전력비교 두 팀의 통산 맞대결 전적은 15승4무2패로 잉글랜드의 압도적인 우위다. 하지만 2012년 6월 친선전(잉글랜드 1-0 승)을 치른 이후 최근 6년간 맞대결이 없었다. ■관련기사 ‘조 1위’ 축구 종가냐, 황금 세대냐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6.28
마을계획 사업 과정 마을계획 사업 과정 서울시가 2015년 7월부터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찾동) 사업의 하나로 시작한 ‘마을계획’은 마을공동체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주민자치를 실현하려는 정책이다. 마을계획은 주민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마을의 문제를 발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해 실행까지 추진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서울마을계획’ 2년] 개방형 육아사랑방·사람책·배달존 등 13개 구 35개 동 2단계 마을계획 성과 오늘의 뉴스/그래픽뉴스 2018.06.28